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형태적 수렴 특성을 이용한 하구 분류 | 신현정, 류호상, 이관홍 | pp.1-22 |
|
|
지석묘의 입지특성과 축조방식에 대한 지형학적 고찰 : 효산리·대신리를 중심으로 | 박철웅, 김인철 | pp.23-36 |
|
|
다변량 크리깅과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간석지 표층 퇴적물 분류 | 이상원, 박노욱, 장동호, 유희영, 임효숙 | pp.37-49 |
|
|
기반암 하상 미지형과 슈미트 해머 반발 값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김종연 | pp.51-69 |
|
|
침식기준목을 이용한 파도리 해식애 사면의 침식·후퇴율 산정 | 장동호, 박지훈 | pp.71-82 |
|
|
인간간섭에 따른 변산반도 사빈해안의 지형변화 | 최훈, 이민부 | pp.83-96 |
|
|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수제리-수렴리의 해안단구와 제4기 환경변화 | 황상일, 신재열, 윤순옥 | pp.97-108 |
|
|
한라산 백록담 서북벽 암온의 향별 특성 | 김태호 | pp.109-121 |
|
|
우리나라 동천구곡의 지형경관 | 기근도 | pp.123-134 |
|
|
근세 지도를 이용한 토사유출 및 항만구조물 주변의 지형변화 분석 | 배선학, 강상혁 | pp.135-142 |
|
|
2011년 3월 일본 동북지방 태평양 연안 지진재해시의 쓰나미 재해와 지각변동 | 崔成吉, 松本秀明, 平野信一, 朴志焄 | pp.143-151 |
|
|
판 내부 융기 운동의 다양한 스케일과 매커니즘 | 신재열 | pp.153-163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Interactions between Beach and Coastal Dune in Chungcheong Province, Central West Korea ![]() |
미소장 |
2 | 건설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1996, 격포우회도로축조 및 포장공사 토질조사보고서. | 미소장 |
3 |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the Natural Landscapes of the Pyonsan-Bando Peninsula National Park | 소장 |
4 | 국립환경과학원, 2010, 해안지역의 자연경관 특성 및보전방안 연구(2007~2009), 환경부. | 미소장 |
5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미소장 |
6 | 西海岸의 海岸侵蝕 | 소장 |
7 | 黃海岸의 干潟地 發達과 그 堆積物의 起源 : 錦江 東津江 河口間의 干潟地를 中心으로 | 소장 |
8 | 邊山半島 의 海岸地形 에 關한 硏究 | 소장 |
9 | 김수연, 2006, 인천연안 갯벌 간척에 따른 해안 환경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A Study o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River Channel of the Lower Geum River basin after Construction of Estuary Barrage | 소장 |
11 | 남혜정, 2005, 해안 지역의 환경 변화와 관리 방안에관한 연구: 안면도 사빈과 사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농어촌진흥공사, 1999, 방조제 축조 후 연안의 해안지형과 퇴적환경 변화 연구. | 미소장 |
13 | 류재현, 1984, 변산반도 일대의 지질구조와 층서학적인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The sedimentology and luminescence chronology of a coastal dune sequence at Unyo Beach, T?ean-Gun | 소장 |
15 | 박동원, 1985,“ 김제·정읍일대에분포하는뢰스상적황색토에 대한 연구”, 지리학, 32, 1-10. | 미소장 |
16 | A Study on the Morphology of the Coastal Dunes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 |
미소장 |
17 | Properties and provenance of loess-paleosol sequence at the Daebo Granite area of Buan, Jeonbuk Province, South Korea | 소장 |
18 | 서정모, 2003, 한국 서해안 변산 해빈의 지형 및 퇴적학적 연구, 군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A Luminescence Dating for Relict Dune from the Sindu Dunefield | 소장 |
20 | 오재경·최규홍, 1999,“ 변산반도연근해표층퇴적물의 특성과 퇴적환경”, 한국해양학회지, 4(2),107-116 | 미소장 |
21 | 오선희, 1992, 금강과 만경강 역과 모래의 비교연구,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양재혁, 2007, 한반도 남해안의 해안지형 특색 및 발달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유계선, 2011, 인간 간섭에 의한 아산만의 해안 환경변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Three Dimensional Analysis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on the Coastal Landform of the Sacheon Bay, South Sea of Korea | 소장 |
25 | A Study oil the Geomorphic Changes in Yeonbaek Coastal Plain by Using Satellite Images and Topographical Map, West Coast of North Korea | 소장 |
26 | 이윤화, 2005, 한국 서·남해안의 갯벌 지형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Impacts of Large-scale Reclamation on Environment in Korea | 소장 |
28 | Change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system around the Baramarae Beach, Anmyeondo Area in West Coast of Korea ![]() |
미소장 |
29 | Vulnerability Assessment under the Sea Level Rise Based on Climate Change in Chungnam Coastal Ares | 소장 |
30 | 전승수·김승범, 1995,”백악기 격포리층(전라북도 부안군): 호저 급경사 삼각주 퇴적층”, 지질학회지, 31(3), 215-236. | 미소장 |
31 | 우리나라 河口沖積層의 層相構造 | 소장 |
32 | Erosion and Recovery of Coastal Dunes after Tropical Storms | 소장 |
33 | 우리나라 西海岸 의 Shore Platform 硏究 ; 邊山半島 의 格浦里一帶 를 中心 으로 | 소장 |
34 | 최성길, 1984,“ 변산반도 일대의 구정선지형 고찰: 격포리와 대항리를 중심으로”, 지리학연구, 9,571-582. | 미소장 |
35 | 최 훈, 2012, 변산반도 사빈해안의 환경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최 훈 ·이민부, 2011,“ 변산반도 일대 사빈해안의 수리·퇴적 환경변화”, 지리학대회 발표논문 요약집, 197-198. | 미소장 |
37 | 한국해양연구원, 2009, 2003·2006·2007·2008,새만금 해양환경보전대책을 위한 조사연구. | 미소장 |
38 | 해양수산부, 2005, 격포항 다기능 어항 기본설계용역보고서. | 미소장 |
39 | Bird, E.C.F, 2008, Coastal Geomorphology(2nd), John Wiley & Sons Ltd. | 미소장 |
40 | Carter, R.W.G., 1988, Coastal Environments: An Introduction to the Physical, Ecological and Cultural Systems of Coastline, London: Academic Press. | 미소장 |
41 | Coastal sensitivity to environmental change: a view from the beach ![]() |
미소장 |
42 | Hesp, P.A., Short, A.D., 1999, Handbook of Beach an Shoreface Morphodynamics, John Wiley & Sons, Chicester | 미소장 |
43 | Nordstorm, K.F. Psuty, N.P., Carter, R.W.G., 1990, Coastal Dunes: Form and Process, John Wiley & Sons Ltd. | 미소장 |
44 | Woodroffe, C.D. 2003, Coasts: form, process, and 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5 | Zenkovich, V.P., 1967, Processes of Coastal Development, Edited by Steers, J. A., Interscience Publisher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