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대상청구권의 인정근거와 적용범위 / 오수원 인기도
발행사항
광주 : 朝鮮大學校法學硏究院, 2011.12.31
수록지명
法學論叢. 제18집 제3호 (2011년 12월), pp.303-335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212435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대상청구권의 인정근거와 적용범위 / 오수원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대상청구권에 관한 입법례 3

III. 대상청구권의 인정근거 8

IV. 대상청구권의 적용 범위 15

V. 결론 30

【참고문헌】 31

【Abstract】 33

초록보기 더보기

우리 민법에는 대상청구권을 규정하고 있지 아니하다. 그럼에도 대상청구권을 부인하는 견해는 찾아 보기가 어렵다. 대상청구권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는 입법례를 보면 『프랑스민법』 제1303조는 채무자의 책임 없는 사유 즉, 불가항력의 경우에 한하여 인정하고 있고, 『독일민법』 제285조는 채무자의 책임유무에 불구하고 채권자에게 대상청구권을 인정한다. 규정이 없는 우리 민법에서 대상청구권을 인정한다면 그 근거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인지 및 그 적용범위가 문제된다. 우선 그 인정근거에 관하여는 공평설, 조리설, 신의성실의 원칙설, 일반원칙설 등이 있으나 이는 추상적이고 불확정정인 개념들이며, 이러한 개념으로부터 구체적인 채권자의 권리가 나온다고 하는 것은 타당하지 못하다. 이행불능이라는 개념은 물리적·절대적 불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사회의 거래관념상 불능인 경우도 포함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이 없다. 채무의 목적으로 대가나 대상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이행불능으로 처리하기 보다는 그 대상을 원물의 변형물로 보아 거래관념상 이행이 가능한 것으로 처리함이 마땅하다. 채무불이행에서 목적물이 불가형력으로 소멸한 경우에는 통상 그 대상이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이행불능으로 인한 채무불이행이나 위험부담은 이러한 경우가 주로 대상이 된다. 그러나 그 대가나 대상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이를 이행불능으로 보기보다는 그 대상에 대한 이행이 가능한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점에서 대상청구권은 이행불능을 규정한 『민법』 제390조의 반대해석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채무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급부가 이행불능된 경우에는 손해배상을 하도록 하는 명문의 규정(『민법』 제390조)이 있으므로 이러한 명문의 규정이 없는 경우에 문제가 된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채무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급부가 이행불능 되었지만 그 대상이 남아있는 경우에 거래관념상 채무이행이 가능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대상청구권의 문제는 채무자의 이행불능으로 인한 대상을 채권자에게 반환하도록 하는 것이 공평하다는 공평의 이념이 바탕에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채권의 발생의 원인을 묻지 아니하고 즉, 그것이 법의 규정에 의한 것인지 법률행위에 의한 것인지, 후자의 경우에는 쌍무계약에 의한 것인지 편무계약에 의한 것인지를 묻지 아니하고 채무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인한 이행불능으로 취득한 대상을 채권자로 하여금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사회유해성에 기초한 형법의 정당성 판단 박광현 pp.3-3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입법형태에 따른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 인정여부 윤상민 pp.33-6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교통사고현장에서 의식불명된 자에 대한 강제채혈의 증거능력 :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도2109 판결 김경수 pp.65-8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진술거부권불고지와 증거의 증거능력 : 대법원 2009. 3. 12. 선고 2008도11437 판결 이세화 pp.87-11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스포츠 선수의 계약만료 후 이적에 관한 법적 문제 : 자유계약선수의 이적에 대한 보상제도를 중심으로 장민 pp.113-14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연예인 전속계약의 효력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10. 7. 29. 선고 2010다29584 판결 이충훈 pp.143-17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역사문화도시의 조성에 관한 고찰 : 안동시를 중심으로 하여 손진상 pp.171-21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경찰법상 집회·시위현장에서의 경찰채증에 대한 연구 구형근 pp.219-24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조망이익이 법적인 보호의 대상이 되기 위한 요건 : 대법원 2007. 6. 28. 선고 2004다54282 판결 金路倫, 정연부 pp.249-27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법인 아닌 재단의 목적변경 : 독일의 논의를 기초로 한 시론적 고찰 김진우 pp.277-30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대상청구권의 인정근거와 적용범위 오수원 pp.303-33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미국에서의 비만책임 논쟁 : Pelman v. McDonald's Corp.을 중심으로 김민배 pp.337-36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유럽연합에 있어서 제3국관련 자본거래의 자유 정성숙 pp.367-39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보험계약자의 고지의무 : 대법원 2011. 4. 14. 선고 2009다103349 판결 임재호 pp.397-41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미완성발명과 명세서기재불비의 법적요건과 판단기준 권태복 pp.421-45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상표법 제51조에 관한 소고 최두진 pp.455-47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미국 배심재판에서 전문증거와 대면권 David H. Taylor 저 ; 김종구 역 pp.483-51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일본의 전문법칙의 예외적용에 관한 실무현상과 과제 : 검찰관 면전조서를 중심으로 春日勉 저 ; 강혁신 역 pp.519-53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중국의 위법증거배제원칙 및 그 완성에 대한 연구 吴高庆 저 ; 이진권 역 pp.539-55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