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소설에 나타난 영화 체험의 양상과 그 재현의 의미 : 강영숙의 「어떤 싸움」과 윤성희의 「공기 없는 밤」을 중심으로 / 김중철 1

1. 들어가는 말 1

2. 강영숙과 「어떤 싸움」-극장과 도시의 삶 3

1) 공감과 소통의 공간 3

2) 도시적 삶의 상처와 치유 5

3. 윤성희의 「공기 없는 밤」-영상과 회상의 중첩 9

1) 허구와 현실의 중개 9

2) 가족의 빈자리 채우기 13

4. 나오는 말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0

초록보기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use and meaning of a motion picture as a motif or a subject matter in a novel. This thesis treated it focusing on A Struggle by Kang, Young-sook, and A Night Without Air by Yoon, Seong-hee. In these works, movie as subject matter is not a romantic or fantastic story, and is not a only matter for amusement or spare time. In these works, movie or theater is a mediation for communication and sympathy. One of distinctive features in the contemporary novel is that the image media like movie and television were frequently appeared as a motif or an essential material for the genre. It is an interesting feature that most contemporary novels frequently created a significant number of characters who watched, is watching, or will be watching movie. Moreover, incidents or events in a novel occurred by those image media. Some scenes in movie are also occasionally adopted. The selection and choice of a subject matter is a result of a writer's careful attention and cognition. Therefore the multiple use of a motion picture in a recent novel proves a growing interest in a visual media, and awareness of their new significance. Also the use of visual media signifies a tactics to gain popularity while applying the publics interest in motional picture. These features prove that the novel and motion picture were overturned their roles in which they had provided essential motifs each other, or underwent to equal positions. Now a film is a new stimulus and an essential nutriment for a novel that has to create new stories continually. The use of motion picture as a subject matter or motif in a novel presen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 and motion picture legitimately becomes a crucial participant to take a part in a story-telling while overcoming their simple level of borrowing techniqu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표지의 기능 : 대학생들의 발표수업을 대상으로 김영철 pp.7-30

보기
한글 筆寫本 『뎡감녹』의 文法形態에 관한 고찰 : 단국대학교 율곡도서관 소장본의 표기를 대상으로 柳勝國 pp.31-59

보기
사제동행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의 비판적 검토와 사례를 통한 제언 박용현 pp.61-90

보기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의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지용 pp.91-120

보기
單音節 固有語의 硬音化 樣相에 대한 硏究 : 合成語 'X-Y'에서 'Y'의 硬音化를 中心으로 林玄烈 pp.121-149

보기
비언어 의사소통으로서의 침묵의 기능과 의미 분석을 통한 유형 분류 張英熙 pp.151-174

보기
用言의 名詞形과 冠形詞形에 介入하는 '-ㅗ/-ㅜ'의 機能 考察 : 後期中世國語 時期에 限하여 趙宰亨 pp.175-206

보기
星湖 李瀷의 詩 創作論 硏究 : 梅花詩를 中心으로 김재룡 pp.207-227

보기
동아시아 무속의례의 이야기 수용 연구 : 굿·나희·가구라를 중심으로 김정호 pp.229-264

보기
새로이 창출된 마을신앙의 전승방식과 그 기능변화 : 경기도 광주시 정지리 지위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대 pp.265-293

보기
17세기 술 소재 假傳의 聖學 收容과 英雄의 形象化 연구 유권석 pp.295-315

보기
조선족 우렁각시 설화의 변이 양상과 의미 주재우 pp.317-343

보기
1960년대 이청준 소설에서 '진실’의 존재론 : 「가수(假睡)」를 중심으로 김영찬 pp.345-366

보기
소설에 나타난 영화 체험의 양상과 그 재현의 의미 : 강영숙의 「어떤 싸움」과 윤성희의 「공기 없는 밤」을 중심으로 김중철 pp.367-387

보기
한설야의 『대동강』창작과 개작의 평가와 그 의미 남원진 pp.389-417

보기
대학 글쓰기에서 '자기 서사 쓰기'의 교육방법 연구 손혜숙, 한승우 pp.419-450

보기
일상적 장소성과 관계적 공간성의 두 변증법 : 『서울 , 어느 날 소설이 되다』와 『서울, 밤의 산책자들』을 중심으로 조명기 pp.451-478

보기
동시(童詩)의 장르 정체성과 경계의 텍스트들 : 윤동주 동시의 장르 분류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숙 pp.479-513

보기
떠도는 근대 여성, 그가 꿈꾸는 '거주'에의 욕망과 실패 : 나혜석의 소설과 수필을 중심으로 진설아 pp.515-538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