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사회복지관 평가의 BSC성과측정모델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만호 ; 박순미 ; 송영달 1
[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4
1. 균형성과측정모델(BSC)의 이해 4
2. 사회복지시설 평가 7
3. 사회복지관 평가와 BSC모델 적용의 가능성 9
III. 연구방법 12
IV. 사회복지시설평가 지표 분석 및 논의 13
1.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분석 13
2. 분석 내용 및 논의 16
V. 결론 20
[참고문헌] 22
Abstract 25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성 : 조직 특성/리더십,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신준섭 | pp.1-26 |
|
보기 |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영리·비영리성이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양난주, 임세희, 한성윤 | pp.27-52 |
|
보기 |
지방정부 재정운용과 정치적 경기순환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비와 경제개발비 지출을 중심으로 | 권승, 차재권 | pp.53-80 |
|
보기 |
영국 보수-자민 연정의 민관협력 고용서비스에 대한 비판 : 워크프로그램(Work Programme)을 중심으로 | 김수영 | pp.81-114 |
|
보기 |
사회복지관 평가의 BSC성과측정모델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만호, 박순미, 송영달 | pp.115-139 |
|
보기 |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기관의 서비스 관리 연구 : 구조-과정-결과 모형을 중심으로 | 이정남 | pp.141-164 |
|
보기 |
공식화된 빈곤층의 자립의지에 관한 질적 연구 | 최종혁, 김수완 | pp.165-200 |
|
보기 |
성과관리형 자활사업에서 포괄적 성과지표 도입에 관한 연구 | 신동면, 김도한 | pp.201-229 |
|
보기 |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김경호, 차은진 | pp.231-262 |
|
보기 |
미혼모자시설의 서비스 네트워크 실태에 관한 연구 | 김지혜, 장연진, 성정현 | pp.263-296 |
|
보기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업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장윤영, 권지성, 김명성, 김유라 | pp.297-331 |
|
보기 |
사회복지조직 활동기준원가분석(activity-based costing)의 실제와 의의 : 장애인복지관의 재활서비스를 중심으로 | 최재성, 조미형, 장용석, 이상우, 최영광, 한은영, 민준호 | pp.333-361 |
|
보기 |
사회복지사의 재가노인 사례관리 실천경험 | 남기민, 방혜선 | pp.363-394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연창. 2012.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의 구성타당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공회대학교. | 미소장 |
2 | 김경자. 2006. “사례분석을 통한 공기업의 BSC 구축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미소장 |
3 | 김동주. 2006.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경영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균형성과표와 계층분석적 접근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미소장 |
4 | 김영생․김선태․김철희․김종일․장세현․이순호. 2007. 성과혁신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BSC). 서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5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the Disabled Welfare Institutions Using BSC and AHP | 소장 |
6 | A Study on Developmen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 Using BSC for Public Service: A Case of Elderly Welfare Service | 소장 |
7 | A Study on the Integ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cusing on Social Welfare Centers in Gwangju City | 소장 |
8 | 김주영. 2008.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의 구성타당도에 관한 연구: 2007년 장애인생활시설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 미소장 |
9 | 김주원. 2007. 전략적 성과관리제도 도입을 위한 BSC 기초 연구. 강원: 강원발전연구원. | 미소장 |
10 | A Study on the Third Assessment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Japan - case study around the Nagasaki Prefecture Government in Japan- | 소장 |
11 | case study of BS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and activiti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 소장 |
12 | Articles : A Study on Application of BSC(Balanced Scorecard)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 소장 |
13 | A Study on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 소장 |
14 | A Contents Analysis on the Local Governments` Strategic Vision | 소장 |
15 | 방은숙. 2007. “지역사회복지관 BSC 성과관리시스템 적용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최고관리자 관점에서의 탐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미소장 |
16 | 보건복지가족부․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09. 사회복지시설평가(Ⅰ). | 미소장 |
17 |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0a. 인증제 도입 및 평가체계 개선방안. | 미소장 |
18 |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0b. 사회복지시설 평가결과 활용방안. | 미소장 |
19 | After compensation of ratings from social welfare facilities evaluation by equating methods | 소장 |
20 | A Study on Development in Role Sharing and Connective Model between Si-Gun-Gu Social Welfare Council and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 소장 |
21 | 윤재영. 2005. “정부의 사회복지관평가를 위한 핵심성과지표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미소장 |
22 | Where Does the Evaluation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tand and Where It Should Go? | 소장 |
23 | 이상훈. 2008. “대학의 BSC 도입을 위한 성과지표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 미소장 |
24 |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 | 소장 |
25 | 이종환. 2006. “장애인시설 평가지표의 구성타당도에 관한 연구 : 2004년 사회복지시설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미소장 |
26 | A Study on the Balanced Scorecard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 : A case of the K-Agency | 소장 |
27 | Study on Applicability of BSC as the Performance Appraisal Method of the Government Investment Organization | 소장 |
28 | How to Establish Accreditation System in Social Welfare Agency | 소장 |
29 | BSC 평가모델 도입 및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소장 |
30 | BSC모델의 특성과 한계 : 비영리사회복지조직 성과측정을 중심으로 | 소장 |
31 | Study on the Korea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 소장 |
32 | 최봉학. 2011. 한 권으로 끝내주는 BSC-성과창출에서 보상까지. 이담북스. | 미소장 |
33 | A Review of Adoptability of BSC(Balanced Scorecard) to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 소장 |
34 | Review over the Trend and Issues of Organizational Evaluation in Social Service Settings | 소장 |
35 | BSC를 활용한 비영리조직의 성과측정 도구 개발 | 소장 |
36 | Kaplan, R.S., and Norton, D.P. 1992. "The Balanced Scoreco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70(1). pp.71-79. | 미소장 |
37 | Kaplan, R.S. 1999. The Balanced Scorecord for Public-Sector Organizations, Balanced Scorecard Collative. HBS Publishing. | 미소장 |
38 |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as a Strategic Management System ![]() |
미소장 |
39 | Kaplan, R.S. 1996(b). Link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Strategy, California Management Harvard Business Review. Fall. 64~68 | 미소장 |
40 | Kaplan, R.S. 2001(a). The Strategy-Focused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Harvard. | 미소장 |
41 | Transforming the Balanced Scorecard from Performance Measurement to Strategic Management: Part 1 ![]() |
미소장 |
42 | Niven, R. Paul. 2003. Balanced Scorecard Step by 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 New Jersey : John Wiley & Sons, Inc | 미소장 |
43 | Olve, Nils-Goeran, Roy, J., & Wetter, M. 1999. Performance Drivers: A Practical Guide to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Chichester : John Wiley & Sons, Inc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