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교육의 체제화에 대하여 : '시민 기르기'에서 '기능인 만들기'로 | 박영신 | pp.17-40 |
|
|
신자유주의 경제체제가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명배 | pp.43-66 |
|
|
안드레아 알시아토의 엠블럼에 나타난 종교적 모티브 | 이필은 | pp.67-82 |
|
|
신자유주의 시대의 문화자본주의 | 이영자 | pp.83-110 |
|
|
소득 불평등의 국제 비교와 한국의 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 : 자본주의 다양성론 입장에서 | 이상붕, 한준 | pp.111-132 |
|
|
관용과 환대, 그리고 이방인 : 하버마스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 김광기 | pp.133-160 |
|
|
1960~70년대 여성운동의 국제화와 한국여성단체협의회의 활동 | 김영선 | pp.161-183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민승규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연구보고서(2006). | 미소장 |
2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stitutional Complementarities in Coordination of the sphere of Distribution and Production: Focus on the Determinants of Income Inequality | 소장 |
3 | 신광영 「세계화와 소득불평등-한국,미국,브라질의 사례연구」, (서울: 집문당 2007) | 미소장 |
4 | 이상붕 “외환위기 이후 전개된 한국 부의 불평등 실태와 구조 분석-계급,지역 및 연령집단을 중심으 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미소장 |
5 | Institutional Complementaries of Production and Welfare: Some Evidences from the Advanced Welfare Capitalist Countries | 소장 |
6 | 여유진/김미곤/김태환/양시현/최현수 “빈곤과 불평등의 동향 및 요인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2 005-11(2006). | 미소장 |
7 | 정무권 “한국 발전주의 생산 레짐과 복지 체제의 형성: 동아시아 복지 국가 유형화를 위한 모색” 한국 정치학회 춘계대회 발표논문(2005). | 미소장 |
8 | 정무권, “세계화, 민주화, 한국의 발전주의 생산레짐과 복지체제의 재편” 「사회정책」, 14권2호(2007). | 미소장 |
9 | 경제 위기 이후의 빈곤과 복지정책 | 소장 |
10 | 황선자 “세계화와 노동시장제도가 임금불평등에 미친영향에 대한 연구: OECD 주요국과 한국을 중 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8). | 미소장 |
11 | Diverse Disparities ![]() |
미소장 |
12 | Globalization and the Welfare State: Four Hypotheses and Some Empirical Evidence ![]() |
미소장 |
13 | Bruno, Amable, The Diversity of Modern Capitalis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 미소장 |
14 | Deininger, Klqus/Olinto, Pedro,“ Asset Distribution, Inequality, and Growth,”The World Bank, Working Papers, WPS 2375 (2000) | 미소장 |
15 |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 |
미소장 |
16 | Ebbinghaus, Bernhard,“ Can Path Dependence Explain Institutional Chage?: Two Approaches Applied to Welfare State Reform", Max-Planck Institute for the Study of Societies, Discussion Paper 05/2(2005). | 미소장 |
17 | Ebbinghaus, Bernhard/Manow, Philip (엮음), Comparing Welfare Capitalism: Social Policy and Political Economiy in Europe, Japan, and the US (New York: Routledge Press, (2001). | 미소장 |
18 | Hall, P. A.,/D. Soskice(ed.). Varieties of Capitalism-the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Comparative Advanta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 미소장 |
19 | Pontusson, Jonas, Inequality and Prosperity: Social Europe Vs. Liberal Ameri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 미소장 |
20 | Wage Inequality and Varieties of Capitalism ![]() |
미소장 |
21 | Soskice, D., "Divergent Production Regimes: Coordinated and Uncoordinated Market Economies in the 1980s and 1990s," H. Kitschelt/P. Lange/G. Marks,/J. D. Stephens(엮음), Continuity and Change in Contemporary Capitalism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 미소장 |
22 | IMF World Outlook database(2007) | 미소장 |
23 | OECD Health data(2008) | 미소장 |
24 | OECD LFS database(2009) | 미소장 |
25 | OECD PSE-Aggregated data(2009) | 미소장 |
26 | OECD STAT(2008) | 미소장 |
27 | UN Statistical database(200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