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전문계고 졸업자의 진로준비행동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고등학교에서 받은 진로지도의 관련성 검증 / 김소영, 홍세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03.30
수록지명
조사연구 = Survey research. 14권 1호 (2013. 3), pp.93-116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3057045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전문계고 졸업자의 진로준비행동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고등학교에서 받은 진로지도의 관련성 검증 / 김소영 ; 홍세희 1

[요약] 1

I. 서론 2

II. 문헌고찰 4

1. 진로준비행동 4

2.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5

III. 연구방법 8

1. 연구대상 8

2. 측정변인 9

3. 연구모형 10

4. 분석방법 11

IV. 연구결과 12

1. 잠재프로파일의 수 결정 13

2.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의 형태 15

3. 진로준비행동 잠재프로파일과 독립변인의 관련성 16

V. 결론 및 논의 17

참고문헌 21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문항의 응답패턴을 고려하여 잠재프로파일을 나누고, 각 집단과 고등학교 재학 당시 받은 진로지도 및 개인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졸자취업진로조사(HSGOMS)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취업을 바라는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는 응답패턴에 따라 ‘소극적 정보탐색 집단’과 ‘적극적 정보탐색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선배나 전문종사자의 강연을 듣거나 진로상담을 경험한 학생들은 적극적 정보탐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학교에서의 직업정보제공을 받은 적이 있는 학생일수록 소극적 정보탐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에서 지속적인 상담프로그램과 다양한 정보수집 활동에 적용 가능한 지침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in vocational preparation behaviors of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and to test its relationship with vocational education and individual backgrounds on determining latent profil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High School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HSGOMS) panel data.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latent profiles in vocational preparation behaviors: 'passively-exploring group‘ and 'actively-exploring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students who actively attended vocational lectures and/or experienced career counseling showed a higher tendency to belong to the actively exploring group. However, students who were given vocational information from school showed a higher probability to belong to the passively-exploring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preliminary materials for guiding career preparation of adolescents especially for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참고문헌 (5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ffect of achievement motives, internal work value, and career barrier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소장
2 2008. ≪전문계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상담가이드 개발 연구≫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센터. 미소장
3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발표 자료 네이버 미소장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 개정교육과정 개요≫. 미소장
5 A Pane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소장
6 자기효능감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진로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7 청소년의 가정환경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소장
8 (2000).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 동문사. 미소장
9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소장
10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as Curriculum on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s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소장
11 The Career Maturity and Education Aspiration of the Adolescents in Poor Families 소장
12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ediated by Career Self-Efficacy 소장
13 청소년기 애착이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빈곤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14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장
15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소장
16 희망, 부모지지, 진로장벽이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장
17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실현의 관계 소장
18 (2007). 진로교육지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소장
19 2008.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18(2): 1-19. 미소장
20 2005.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을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19:... 미소장
21 2008.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소장
22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23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심리적 특성 소장
24 A Structural Analysis of Career Stress, Career Barriers,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소장
25 2008. “성격적 특성이 진로미결정과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성별 조절효과.” ≪산학경영연구≫ 21(1): 51-71. 미소장
26 2001.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진로탐색 활동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심리학연구≫ 15(3): 257-280. 미소장
27 2008.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운영 모델 구축: 총괄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미소장
28 2003.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분석.” ≪학생상담연구≫ 1: 101-113. 미소장
29 학교현장에서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소장
30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n the Korean Adult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ttainment 소장
31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Vocational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light Services-related Studies 소장
32 2006. ≪초․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운영방안≫ 한국진로교육학회 22차 춘계학술대회. 미소장
33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네가지 유형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 실업계고교를 중심으로 소장
34 2012 청소년 통계 네이버 미소장
35 한국고용정보원. 2011. ≪고졸자 취업진로조사 User's Guide≫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조사분석센터. 미소장
36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선진패러다임을 위한 진로교욱의 이론과 실재≫ (제2판).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37 2008. “교과 통합적 진로지도를 위한 몇 가지 방안.” 콜로키엄 자료. 미소장
38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네이버 미소장
39 A person-oriented approach in research 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네이버 미소장
40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Career Choice Behavior 네이버 미소장
41 PERSONNEL PSYCHOLOGY CALL FOR PAPERS: INNOVATIONS IN RESEARCH-BASED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42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by Linda M. Collins; 네이버 미소장
43 1981. Career Counseling: Models, methods and materials. New York: McGraw-Hill. 미소장
44 2001.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Learning through Work.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45 Finite-Mixture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Response-Based Segmentation and Unobserved Heterogeneity 네이버 미소장
46 Job search and employment: a personality-motivational analysis and meta-analytic review. 네이버 미소장
47 Good item or bad—can latent class analysis tell?: the utility of latent class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survey questions 네이버 미소장
48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49 OECD.(2004). Career Guidance and Public Policy. OECD.: Paris. 미소장
50 1988. “History and Theory of The Assessment of Career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in W.B. Walsh and S.H. Osipow(eds).... 미소장
51 An Empirical Pooling Approach for Estimating Marketing Mix Elasticities with PIMS Data 네이버 미소장
52 Is job search related to employment quality? It all depends on the fit. 네이버 미소장
53 1978. “Estimation Dimensions of a Model.” Annals of Statistics 6: 461-464. 미소장
54 (1988).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W. B. Walsh & S. H. Osipow(Eds.), Career decision making(pp. 33-76).... 미소장
55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56 Consistent, inconsistent and undecided career preferences and personality 네이버 미소장
57 1998. Market Segmentatio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Boston, MA: Kluwer Academics. 미소장
58 The Early History of the Career Decision Scale.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