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전문계고 졸업자의 진로준비행동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고등학교에서 받은 진로지도의 관련성 검증 / 김소영 ; 홍세희 1
[요약] 1
I. 서론 2
II. 문헌고찰 4
1. 진로준비행동 4
2.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5
III. 연구방법 8
1. 연구대상 8
2. 측정변인 9
3. 연구모형 10
4. 분석방법 11
IV. 연구결과 12
1. 잠재프로파일의 수 결정 13
2.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의 형태 15
3. 진로준비행동 잠재프로파일과 독립변인의 관련성 16
V. 결론 및 논의 17
참고문헌 21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제18대 대선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조사기관 편향 | 박종희 | pp.1-30 |
|
보기 |
무응답가구의 특성 분석 사례연구 | 김서영, 박라나 | pp.31-67 |
|
보기 |
가계금융·복지조사의 무응답 처리를 위한 유용한 보조정보 선정 | 변종석, 이석훈, 정구현 | pp.69-91 |
|
보기 |
전문계고 졸업자의 진로준비행동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고등학교에서 받은 진로지도의 관련성 검증 | 김소영, 홍세희 | pp.93-116 |
|
보기 |
의례공동체로서 군중 : 프랑스 실업자운동의 민족지적 연구 | 김승연 | pp.117-141 |
|
보기 |
조사원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효과 분석 : 현장실험 결과를 중심으로 | 서우석, 김옥태, 조성겸, 김정란 | pp.143-174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effect of achievement motives, internal work value, and career barrier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소장 |
2 | 고재성․서현주․정시원․정명진. 2008. ≪전문계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상담가이드 개발 연구≫한국고용정보원 진로교육센터. | 미소장 |
3 | 교육과학기술부. 2010.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발표자료.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 http://www.mest.go.kr/web/1105/ko/board/view.do?bbsId=147&boardSeq=16872 에서 8월 27일 인출. | 미소장 |
4 |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 개정교육과정 개요≫. | 미소장 |
5 | Pane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 소장 |
6 | 자기효능감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진로성취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소장 |
7 | 김성환․박상우. 2006. “청소년의 가정환경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연구≫ 16(3): 199-214. | 미소장 |
8 | 김충기. 2000. ≪진로교육과 진로상담≫ 서울: 동문사. | 미소장 |
9 |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소장 |
10 |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as Curriculum on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s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소장 |
11 | The Career Maturity and Education Aspiration of the Adolescents in Poor Families | 소장 |
12 |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ediated by Career Self-Efficacy | 소장 |
13 | 청소년기 애착이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빈곤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소장 |
14 |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 소장 |
15 |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소장 |
16 | 안혜경. 2008. ≪희망, 부모지지, 진로장벽이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kill on a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소장 |
18 | 오호영․이지연․윤형한. 2007. ≪진로교육지표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19 | 유미정․최애경. 2008.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18(2): 1-19. | 미소장 |
20 | 유영미․문승태. 2005.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전문대학 비서학 전공생을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19: 129-153. | 미소장 |
21 | 이상준․김나라․윤여인․고재성. 2008.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22 |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소장 |
23 |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과 심리적 특성 | 소장 |
24 | A Structural Analysis of Career Stress, Career Barriers,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 소장 |
25 | 이현정․김기석. 2008. “성격적 특성이 진로미결정과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성별 조절효과.” ≪산학경영연구≫ 21(1): 51-71. | 미소장 |
26 | 이현주. 2001.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진로탐색 활동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심리학연구 ≫ 15(3): 257-280. | 미소장 |
27 | 임언․정윤경․최동선․김나라․장명희․정명희․장석민. 2008.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운영 모델 구축: 총괄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미소장 |
28 | 임은미․이명숙. 2003.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분석.” ≪학생상담연구≫ 1: 101-113. | 미소장 |
29 | 학교현장에서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 소장 |
30 | Effec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n the Korean Adult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ttainment | 소장 |
31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Vocational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light Services-related Studies | 소장 |
32 | 최동선. 2006. ≪초․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운영방안≫ 한국진로교육학회 22차 춘계학술대회. | 미소장 |
33 | 최영미. 1998. ≪진로결정수준과 진로행동의 네 가지 유형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통계청. (2011.5.4). 2011 청소년 통계. http://epic.kdi.re.kr/epic/epic_view.jsp?menu =1&num=113504에서 2012년 8월 27일 인출. | 미소장 |
35 | 한국고용정보원. 2011. ≪고졸자 취업진로조사 User's Guide≫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조사분석센터. | 미소장 |
36 |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선진패러다임을 위한 진로교욱의 이론과 실재≫ (제2판).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37 | 홍후조. 2008. “교과 통합적 진로지도를 위한 몇 가지 방안.” 콜로키엄 자료. | 미소장 |
38 | Akaike, H. 1974.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110: 716-723. | 미소장 |
39 | A person-oriented approach in research 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
미소장 |
40 |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Career Choice Behavior ![]() |
미소장 |
41 | PERSONNEL PSYCHOLOGY CALL FOR PAPERS: INNOVATIONS IN RESEARCH-BASED PRACTICE ![]() |
미소장 |
42 | Collins, L.M. and S.T. Lanza. 2010.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New York: Wiley. | 미소장 |
43 | Crites, J.O. 1981. Career Counseling: Models, Methods and Mater ials. New York: McGraw-Hill Book Co. | 미소장 |
44 | Fenwick, T. 2001.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Learning through Work. San Francisco: Jossey-Bass. | 미소장 |
45 | Finite-Mixture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Response-Based Segmentation and Unobserved Heterogeneity ![]() |
미소장 |
46 | Job search and employment: a personality-motivational analysis and meta-analytic review. ![]() |
미소장 |
47 | Good item or bad—can latent class analysis tell?: the utility of latent class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survey questions ![]() |
미소장 |
48 |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 |
미소장 |
49 | OECD. 2004. Career Guidance and Public Policy. OECD. | 미소장 |
50 | Phillips, S.D. and N.J. Pazienza. 1988. “History and Theory of The Assessment of Career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in W.B. Walsh and S.H. Osipow(eds). Career Decision Making 1-13. | 미소장 |
51 | An Empirical Pooling Approach for Estimating Marketing Mix Elasticities with PIMS Data ![]() |
미소장 |
52 | Is job search related to employment quality? It all depends on the fit. ![]() |
미소장 |
53 | Schwartz, G. 1978. “Estimation Dimensions of a Model.” Annals of Statistics 6: 461-464. | 미소장 |
54 | Slaney, R.B. 1988.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W.B. Walsh and S.H. Osipow(eds.), Career Decision Making.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55 |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 |
미소장 |
56 | Consistent, inconsistent and undecided career preferences and personality ![]() |
미소장 |
57 | Wedel, M. and W.A. Kamakura. 1998.Market Segmentatio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Boston, MA: Kluwer Academics. | 미소장 |
58 | The Early History of the Career Decision Scale.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