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미술적 사고에 대한 탐구 / 김황기 1
〈요약〉 1
I. 서론 1
II. 학문적 사고의 중요성 3
III. 미술적 사고 5
1. 미술적 사고의 차원 5
2. 미술적 사고의 작용 7
3. 미술적 사고의 특징 16
IV. 결론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1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지각의 변증법적 이미지 사유를 통한 미학적 접근 방안 : 발터 벤야민의 지각 이론을 중심으로 | 이민정 | pp.1-24 |
|
보기 |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 이재영 | pp.25-48 |
|
보기 |
미술적 사고에 대한 탐구 | 김황기 | pp.49-69 |
|
보기 |
숙의를 통한 융복합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 미술과-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선아, 이삼형, 김시정, 이승희, 박선희 | pp.71-96 |
|
보기 |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은유의 활용에 관한 연구 : 미술 작품의 은유적 해석을 중심으로 | 손지현 | pp.97-122 |
|
보기 |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 한국 STEAM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상의 검토 | 김정효, 안도 쿄우이치로 | pp.123-152 |
|
보기 |
스마트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 연구 : 중학교 공간디자인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 최혜원, 박은덕 | pp.153-176 |
|
보기 |
중학교 미술교사들의 교과서 선정기준과 절차에 관한 연구 | 정현일, 정희정, 강래형, 김현지, 최혜민 | pp.177-204 |
|
보기 |
韓國 근대 산수화의 조형성 고찰 : 노수현, 이상범, 변관식의 회화를 중심으로 | 이광수 | pp.205-236 |
|
보기 |
다문화미술교육에서 우리나라 학생 대상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이형구 | pp.237-259 |
|
보기 |
자전적(自傳的) 이해로서의 교사 네러티브와 미술비평교육에 대한 재고(再考) | 박남정 | pp.261-292 |
|
보기 |
아동의 점토활동에 나타나는 표현의도와 의미를 통해 본 입체표현 발달의 재탐색 | 박라미, 최지연 | pp.293-314 |
|
보기 |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어린이미술관을 중심으로 | 이성도, 최하영, 조인호, 심효진, 김규연 | pp.315-344 |
|
보기 |
디지털 마인드맵을 활용한 감상수업이 메타인지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이경아 | pp.345-374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 Study on Educational Meanings of the Body in Philosophy of Merleau-Ponty | 소장 |
2 |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concept of "Mo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 소장 |
3 | 정혜진(2007). 호모크레아토: 예술가의 조건 . 서울: 미진사. | 미소장 |
4 | 조희경․최경희(2005). 과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5 | Csikszentmihalyi, M. (2003). Beyond boredom and anxiety. (이삼출 역). 몰입의 기술 . 서울: 더불어 책. (원저출판, 2000) | 미소장 |
6 | Damasio, A. R. (1999). Descartes' error. (김린 역). 데카르트의 오류: 감정,이성, 인간의 뇌 . 서울: 중앙문화사. (원저출판, 1994) | 미소장 |
7 | Gadamer, H. G. (2000). Wahrheit und Methode. (이길우․이선관․임호일․한동원 역). 진리와 방법 . 서울: 문학동네. (원저출판, 1960) | 미소장 |
8 | Gardner, H. (2007). Multiple intelligences. (유경재, 문용린 역). 다중지능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원저출판, 1983) | 미소장 |
9 | Gardner, H. (2008). Five minds for futures. (김한영 역). 미래마인드: 미래를성공으로 이끌 다섯 가지 마음 능력 . 서울: 재인. (원저출판, 2006) | 미소장 |
10 | Kriger, V. (2010). Was ist ein kunstler? (조이한․김정근 역). 예술가란 무엇인가 . 서울: 휴머니스트. (원저출판, 2007) | 미소장 |
11 | May, R. (1999). The courage to create. (안병무 역). 창조와 용기 . 서울: 범우사. (원저출판, 1975) | 미소장 |
12 | Mckim, R. H. (1989). Thinking visually. (김이환 역). 시각적 사고 . 서울: 평민사. (원저출판, 1984) | 미소장 |
13 | Polanyi, M. (1992). Meaning. (김하자․정승교 역). 지적 자유와 의미 . 서울:범양사.(원저출판, 1889) | 미소장 |
14 |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2007). The spark of genius. (박종성 역). 생각의 기원 . 서울: 에코의 서재. (원저출판, 1999) | 미소장 |
15 | Steiner, R. (2003). Theosophie. (양억관․타카하시 이와오 역). 신지학 . 서울:물병자리. (원저출판, 1924) | 미소장 |
16 | West, T. (2011). In the minds eye. (김성훈 역). 글자로만 생각하는 사람 이미지로 창조하는 사람 . 서울: 지식갤러리. (원저출판, 2009) | 미소장 |
17 | Zeki, S. (2003). Inner vision. (박창범 역). 뇌로 보는 그림 뇌로 그리는 그림 .서울: 시공사. (원저출판, 2000) | 미소장 |
18 | Arnheim, R. (1969). Visual thinking. L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19 |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Becoming Students of Art ![]() |
미소장 |
20 | Csikszentmihalyi, M. & Robinson, R. E. (1990). The art of seeing: An inter -pretation of an aesthetic encounter. California: A joint publication of the Paul Getty Museum and the Getty Education Institute for Arts. | 미소장 |
21 | Fergurson, E. (1992). Engineering and the minds. Cambridge, Mass: MIT Press. | 미소장 |
22 |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 미소장 |
23 | John-Steiner, V. (1985). Notebook of the mine: explorations of thinking. Albuquerque: University New Mexico Press. | 미소장 |
24 | Metropolis, N., Donald, M., Rota, Gian-Carlo, & Los Alamos Scientific Laboratory. (1987). New directions in physics. Boston: Academic Press. | 미소장 |
25 | Sacks, O. (1983). Awakenings. New york: Summit.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