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차기 정부의 국정기조 : 전략과 과제 / 박재창 1
논문요약 1
I. 서론 2
II. 국정기조의 내포적 의미 평가 3
1. 일방주의의 한계 3
2. 일원주의의 과제 4
III. 4.11 총선 이후의 정치지형 변화 6
1. 보수와 진보로 양분된 정당체계 6
2. 수도권 중심의 신지역주의 가시화 8
3. 제3 유권자 집단의 등장 10
IV. 국정기조의 방향과 전략 11
1. 국민통합 12
2. 공생발전 13
3. 지구경영 15
4. 남북공존 16
V. 결론 18
참고문헌 21
[저자소개] 22
Abstract 23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고착화와 전환의 실패 : 출연연 문제의 기원과 성격 | 정병걸 | pp.5-25 |
|
보기 |
중소기업지원 정책변동 패턴 분석 : 김대중, 노무현 및 이명박 정부 간 비교를 중심으로 | 박상원 | pp.27-58 |
|
보기 |
차기 정부의 국정기조 : 전략과 과제 | 박재창 | pp.59-80 |
|
보기 |
확장된 공기업 민영화의 경제적 효과분석 : 생산성분석을 중심으로 | 박정수 | pp.81-104 |
|
보기 |
대체적 분쟁해결(ADR) 연구경향과 향후 과제 | 하혜영 | pp.105-130 |
|
보기 |
광역시-자치구 체제의 개편 주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석태 | pp.131-154 |
|
보기 |
영국과 우리나라 공공부문 유연근무제의 비교연구 | 진종순 | pp.155-18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자본주의적 공간분화와 정치과정의 전개 | 소장 |
2 | 2040세대와 사회경제적 현실 | 소장 |
3 | 김용기, 강성원, 이동원, 박준, 문외솔, 최홍(2010). 「한국 중산층의 변화와 경제사회적 결과」.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미소장 |
4 | 김주일(2005). 「수도권 집중과 균형발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 미소장 |
5 | 권태선(2012). 대통령의 자격과 공공의식. 「한겨레」(2012.04.23). | 미소장 |
6 | 박병률(2008). 일자리 창출도 ‘수도권 집중’ 심각. 「경향신문」(2008.11.09). | 미소장 |
7 | 박준(2009). 「한국사회의 갈등과 경제적 비용」.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 미소장 |
8 | 이지은(2011). 2002년 보수>중도>진보, 2011년 중도>진보>보수. 「한겨례」 (2011.05.15). | 미소장 |
9 | 장세훈(2011). ‘정치.경제.세대.이념’ 서울 4대 중간층이 표심 갈랐다. 「서울신문」 (2011.10.29). | 미소장 |
10 | 보수 혐오의 세대동맹 : 2040의 '따로 또 같이' | 소장 |
11 | 정해구(2012). 2013 체제의 시대정신과 민주통합당의 시대적 역할. 민주정책연구원 특별기획. |
미소장 |
12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2012). 제19대 국회의원선거. |
미소장 |
13 | 조재우(2011). 경제적 양극화- 정치적 양극화 연관...중산층 위기 '반여'로 표출. 「한국일보」(2011.10.28). | 미소장 |
14 | 조중빈(2012). 한국정치, 희망은 있다. 「한국경제」(2012.04.12) | 미소장 |
15 | 지주형(2011).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서울: 책세상. | 미소장 |
16 | 코리아여론연구소(2012). 19대 총선평가. |
미소장 |
17 | 통계청 나라지표(2011). 10대 수출입 품목. |
미소장 |
18 | 홍장기(2008). 이명박 정부 철학의 빈곤. 「한겨레」(2008.07.24). | 미소장 |
19 | 황장석(2009). 세종시 흔드는 건 신지역주의 음모. 「동아일보」(2009.11.05). | 미소장 |
20 | The Fundamental Governing Principles and Policy Agendas of Newly-Elected President's Government | 소장 |
21 | Inglehart, Ronald(1990).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2 | Kooiman, J.(1994). Governance and Governability: Using Complexity, Dynamics, and Diversity. In J. Kooiman(ed), Modern Governance: New Governance-Society Interaction. London: Sage Publications. 35-48. | 미소장 |
23 | Organski, A.F.(1965). The Stages of Political Development. Alfred Knopf. | 미소장 |
24 | Scho"n, D. and M. Rein.(1994). Frame Reflections: Toward the Resolution of Intractable Policy Controversies. N.Y.: Basic Book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