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明代 마카오의 海上貿易과 東西文化의 교류 / 이경규 1
1. 머리말 1
2. 포르투갈인의 마카오 정주와 해상무역 3
3. 마카오와 동서문화의 교류 6
4. 맺음말 13
참고 문헌 15
[요약] 17
葡萄牙人進入澳門之前已經有了媽閣廟,Macao是葡語的音譯.就是澳門早就與福建商人來往,至晩明成化年間建立了媽祖廟,因此葡人在澳門沒有居住地的時侯,澳門與內陸經常來往,澳門以對外開放窓口有一定的條件. 1557年葡人在半島南部第一次確定他們的根據地,與中國內陸地方開始正常的商業交流,在廣東可以買絲綢等與中國的關係更擴大了.當時把香料․綿絮․陶瓷器․銅․火藥․金做進出口商品比絲綢和銀經濟的規模比較底,因爲絲綢與銀的交易結果成立富裕的商人階層.當時中國以及日本的密輸者們把中國絲綢供給日本九州或者與安南․東南亞交易了.葡人的貿易活動給耶穌會的遠東傳敎提供經濟的基盤. 一般來講耶穌會傳敎士16-18世紀對東西文化交流有重要的作用,學術傳敎也是這樣交流過程的突出的特徵.傳敎士門的遠東傳敎活動的基地就是澳門.澳門以一個特殊的地域,經過澳門展開多樣的東西文化交流,爲了傳敎士的活動提供各種便宜. 傳敎士在澳門做各種準備始終收到澳門現地的物質的保障.其中聖保祿學院是典型的地方. 把理解漢文和熟習於中國禮儀的傳敎士派到中國內地而傳敎范禮安建意耶穌會原來把中․小學規模的聖保祿學院擴大昇格了大學.耶穌會容納范禮安的建意以後聖保祿學院1594年12月1日正式成立了. 以遠東第一的西洋式大學聖保祿學院位置在天主敎東洋傳敎與東西文化交流上的主要的地位是國內外學者的一致的看法.所以把學敎稱呼‘遠東的傳敎之母’․‘双語精英的要籃’.聖保祿學院的永遠的價値在世界文化傳播上與西方敎育機關幷駕齊驅. 澳門利用地域上的長處提供東西方文化的聚會與交流的氣分,而以一個港口城市提拱了經濟活力.特別,澳門聖保祿學院是出了傳敎士們的寄着地以外在東西文化交流上負着重要的歷史機能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천상병의「소릉조(小陵調)」연구 | 김권동 | pp.1-22 |
|
보기 |
오영진의『배뱅이굿』에 나타난 1940년대 조선의 로컬리티 | 김현생 | pp.23-45 |
|
보기 |
이현화 희곡에 나타난 폭력과 에로티시즘 연구 | 방정민 | pp.47-73 |
|
보기 |
『한강한전』에 나타난 여성의 가문 의식 | 서혜영 | pp.75-100 |
|
보기 |
전상국 소설에 나타난 '통혼'과 '귀향'의 의미 | 양선미 | pp.101-121 |
|
보기 |
明代 마카오의 海上貿易과 東西文化의 교류 | 이경규 | pp.123-140 |
|
보기 |
원효 성사와 성 프란치스코의 종교 사상 비교 : '무애행'과 '탁발'을 중심으로 | 석창훈 | pp.141-162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동양학연구회 편,『마카오 1999년』,우석,1999. | 미소장 |
2 | 沈定平,『明淸之際中西文化交流史』-明代:調適與會通-,商務印書館,2001. | 미소장 |
3 | [法]裴化行著,蕭濬華譯,『天主敎十六世紀在華傳敎志』,上海,商務印書館,1936. | 미소장 |
4 | [葡]多明戈斯·馬·戈·多斯·桑托斯著,孫成敖譯,『澳門:遠東第一所西方大學』. | 미소장 |
5 | [英]搏克薩,「十六-十七世紀澳門的宗敎和貿易中轉港之作用」,『中外關係譯叢』第5輯,上海,譯文出版社,1991. | 미소장 |
6 | 徐曉望,「澳門媽祖閣碑記與淸代泉州·澳門之間的貿易」,『媽祖硏究』,厦門大出版社,1989. | 미소장 |
7 | 마카오와 마祖信仰 | 소장 |
8 | 龍思泰著,吳義雄‧郭德焱‧沈正邦譯,章文欽校注,『早期澳門史』,東方出版社,1997. | 미소장 |
9 | The Portuguese in China and Japan: The Rise and Fall-of Their Eastern Trade. 1557-1640- ![]() |
미소장 |
10 | 張廷茂,「16-18世紀中期澳門海上貿易與東西文化交流」,『海交史硏究』2000年第1期,泉州海外交通史博物館. | 미소장 |
11 | 文德泉,「中葡貿易中的瓷器」,吳志良主編,『東西文化交流』,澳門,澳門基金會,1994. | 미소장 |
12 | 莫拉,「澳門與巴西需要加强的古老對話」,『文化雜誌』中文版第22期,澳門,澳門文化司署,1995. | 미소장 |
13 | 阿瑪羅,「中醫對聖保祿學院藥房的影響」,『文化雜誌』中文版第30期,澳門文化司署,1997. | 미소장 |
14 | 『徐文定公集』卷60,『文化雜誌』中文版第30期,澳門文化司署,1997. | 미소장 |
15 | 李元淳, 「明淸來西學書의 韓國思想史的意義」,『韓國天主敎會史論文選集』第一輯,1976. | 미소장 |
16 | 명청대 동서교섭의 전개양상과 그 사상사적 특성 | 소장 |
17 | 方豪,『中西交通史』5,中華大典編纂委員會,民54. | 미소장 |
18 | 徐宗澤,『中國天主敎傳敎史槪論』,臺灣,商務印書館,1938. | 미소장 |
19 | Benjamin Videira de Pires, S.J., Os Estremos Conciliamose, Macau, Instiuto de Macau, 1988. | 미소장 |
20 | 劉羨泳,『雙語精英與文化交流』,澳門,澳門基金會,1994 | 미소장 |
21 | 多明戈斯․馬烏里書奧․戈麥斯․多斯․桑托斯,『澳門遠東第一所西方大學』 1994年葡中英三語版,澳門,澳門基金會,1994. | 미소장 |
22 | 寇塞羅,「澳門天主聖母(或聖保祿)會員敎堂」,『文化雜誌』中文版第30期. | 미소장 |
23 | 馬拉特斯塔,「聖保祿學院(或聖保祿)會員敎堂(1601-1640)」,『文化雜誌』中文版第30期.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