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대비 쓰기 수업사례 : 고등학교 보충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 최형심 ; 천승미 1

[초록]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1.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과 평가의 환류효과 3

2. 쓰기교육과 평가 5

III. 쓰기 수업과 평가의 실제 10

1. 보충반 학생들의 실제 수업 사례 11

2. 인터넷 기반의 쓰기 평가 사례 17

IV. 결론 및 제언 20

[부록] 23

참고문헌 26

Abstract 28

초록보기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의 4가지 기능을 모두 평가하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의 도입이 발표되면서 학교 현장은 기존의 읽기 듣기 위주의 수업에 변화를 가져와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말하기 쓰기 수업이나 평가에 대해 축적된 현장 경험은 부족하고 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 교사들은 현행 입시제도와 변화되는 교육 환경에 모두 대응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인문계 고등학교 보충반(수준별 수업 하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 됐던 과업 중심의 쓰기 활동과 인터넷 기반쓰기 평가 경험을 나눔으로써 학교 현장의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analysis of the English writing class taught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 proficiency and address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Even though the NEAT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has been introduced to integrate the 4 English skills -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 within English classes, there have been several barriers preventing this realization in Korean high schools. In general, Korean English teachers have expressed the burden of both creating practical content for unfamiliar speaking and writing classes, and providing evaluation that guarantees objectivity and reliability.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a writing class model centered on task-based activities and standardized evaluations patterned after Internet-based testing. Authentic language use requires writing skills with an understanding of discourse structure. However, current writing instruction routinely has centered around sentence-level composition. To rectify this, the inclusion of teaching and testing discourse-based writing will be presented. In conclusion, several advancements will be introduced to improve writing classes in Korean high school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과 북한 농업집단화 소설의 인물형상 비교 고찰 : 장편소설『석개울의 새봄』과『맑은 하늘』을 중심으로 이호옥 pp.5-34

보기
백석의 러시아 문학 번역에 관한 소고 : 남·북한의 평가를 중심으로 배대화 pp.35-56

보기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대비 쓰기 수업사례 : 고등학교 보충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형심, 천승미 pp.57-84

보기
기우설화에 나타난 신성성(神聖性) 연구 노성미 pp.85-106

보기
이상(李箱)의『오감도(烏瞰圖)』「시제1호(詩第一號)」의 문학사적 맥락(文學史的 脈絡)과 함계 읽기 김흥년 pp.107-130

보기
'앞·뒤'와 '위·아래'의 비교 연구 손평효 pp.131-158

보기
교육제도 운영의 통제권 배분 성과와 과제 : 박근혜정부 이전을 중심으로 김성열 pp.159-182

보기
초등교사들이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시 고려하는 '좋은' 수업 특성 고창규 pp.183-213

보기
한국어 문화 교재의 단원 구성 분석 박영미 pp.215-233

보기
2차 영어 중등교사 임용 논술시험 문항 탐색 : 2009~2012학년도 문항을 중심으로 박은영 pp.235-253

보기
한국 전후소설의 성담론 방식 연구 : 근대적 주체의 젠더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김은정 pp.255-280

보기
내러티브 교과과정을 활용한 표현활동 수업 윤은향, 김진희 pp.281-304

보기
중국 전통 민간금융의 특징과 역할에 관한 연구 : 민간 상호부조 조직인 합회(合會)를 중심으로 최준환 pp.305-333

보기
유배문학의 산실, 남해도(南海島) : 김구, 김만중, 류의양을 중심으로 한정호 pp.335-355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