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9세기 후반 민중운동과 公論 / 배항섭 1
I. 머리말 1
II. 민란과 공론 6
III. 동학농민전쟁과 공론 18
IV. 맺음말 27
참고문헌 31
〈ABSTRACT〉 34
This article examined the political implication contained in the changed gongnon(公論-public opinion) that which aspects the existed salimgongnon(士林公論) or hyangjunggongnon(鄕中公論) have been changed by the newly formed public opinion in the process of people's movement in the latter part of the 19th century focused on the Imsul Riot and Dong’ hak Peasant War occurred in 1862. Specially, in this article, the changes & implications indicated in the people's movement in the latter part of the 19th century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aspects of the formational process & public opinion, scope of participants, matters that were subjects of public opinion.
The salimgongnon or hyangjunggongnon in the Josun dynasty were led by yangban-noble class people, as such pyeongmin-general public was excluded from it. But circumstances indicated a difference upon entering into the 19th century civil upheaval phase. Upon confronted with hyangjunggongnon -organized by the gov't through yangban having close relationship or through mobilization & threat- the interest of pyeongmin, those pyeongmin formulated their own public opinion through ri-hoe(理會), dong-hoe(洞會), myeon-hoe(面會) etc. and stood against gov't authority as well as yangban. Such civil riot affected to the political circumstances of the central gov't as well as it accompanied punishments which include execution, sent to exile of the riot instigator or expel or imprison leader of riot.
On the other hand, different from civil riot, the public opinion of Dong’ hak Peasant War was formulated through consolidating opinion among people mainly by nation-wide Dong hak believers by overcoming village unit closure. Furthermore, different from salimgongnon there were none excluded, social stratum or status group basically targeted directly to central gov't in terms of subject or content of the public opinion different from civil riot that affected indirectly to central gov't with a Concentric structure connecting dong-ri→myeon→gun-hyun
This corresponds with the thought that Peasant Army was capable to think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politics, envisioning a political system based on law of agreement can be a proposition of a substitute policy against politics of public opinion by salimgongnon which were organized for the benefit of a particular party or small groups, fictionalized officials 士.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고려 인종대 '惟新'정국과 정치갈등 | 蔡雄錫 | pp.1-36 |
|
보기 |
『世宗實錄』地理志를 통해 본 朝鮮初 貢物 分定의 실제와 특성 : 厥貢·土貢·土産 항목의 검토를 중심으로 | 蘇淳圭 | pp.37-86 |
|
보기 |
조선 전기 三年喪制의 확립과 民의 성장 | 이석규 | pp.87-123 |
|
보기 |
조선시대 왕세자의 혼인의례 | 장병인 | pp.125-169 |
|
보기 |
영남대동법 시행 초기 지방재정의 개편과 그 성격 | 문광균 | pp.171-206 |
|
보기 |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통치논리와 교육정책 : '동화'의 의미와 '제국신민'화의 전략 | 나카바야시 히로카즈 | pp.207-250 |
|
보기 |
세조(世祖)의 국정운영 방식 연구 : 세종의 공론정치와 비교를 통해 | 박현모 | pp.251-281 |
|
보기 |
1862년 농민항쟁과 소통의 정책 | 송찬섭 | pp.283-312 |
|
보기 |
19세기 후반 민중운동과 公論 | 배항섭 | pp.313-347 |
|
보기 |
일제시기 지역사회와 식민지 공론장 : 장시갈등을 중심으로 | 허영란 | pp.349-381 |
|
보기 |
『평택 대곡일기』를 통해서 본 1960~70년대 초 농촌마을의 공론장, 동회와 마실방 | 김영미 | pp.383-416 |
|
보기 |
도현철, 『조선전기 정치사상사』(2013, 태학사)에 대한 서평 | 강문식 | pp.417-425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金允植, 『續陰晴史』 上(국사편찬위원회, 1960) | 미소장 |
2 | 김인걸・한상권 편, 1986, 『조선시대 사회사연구 사료총서』 2, 보경문화사 | 미소장 |
3 | 南原郡宗理院, 1924, 『宗理院史附東學史』 | 미소장 |
4 | 東學農民戰爭百周年紀念事業推進委員會 編, 1996, 『東學農民戰爭史料叢書』 1・2・3・5・9・10・15・22・23・25, 사운연구소 | 미소장 |
5 | 『東學亂記錄』 上(국사편찬위원회, 1959) | 미소장 |
6 | 韓國學文獻硏究所 編, 1979, 『동학사상자료집』 1・2, 아세아문화사 | 미소장 |
7 | 『龍湖閑錄』(국사편찬위원회, 1979) | 미소장 |
8 | 李珥, 『栗谷先生全書』 | 미소장 |
9 | 『壬戌錄』(국사편찬위원회, 1971) | 미소장 |
10 | 張維, 『谿谷集』 | 미소장 |
11 |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6(국사편찬위원회, 1986・1989) | 미소장 |
12 | 愼鏞廈, 李離和, 鄭奭鍾 공편, 1986, 『한국민중운동사자료대계-1894년의 농민전쟁편-』1, 여강출판사 | 미소장 |
13 | 金仙卿 編, 1987, 『한국지방사자료총서』 13, 여강출판사 | 미소장 |
14 | 김용섭, 1988, 『증보판 한국근대농업사연구』 상, 일조각 | 미소장 |
15 | 김준형, 2000, 『조선후기 단성사족층 연구』, 아세아문화사 | 미소장 |
16 | 김준형, 2001, 『1862년 진주농민항쟁』, 지식산업사 | 미소장 |
17 | 망원한국사연구실, 1988, 『1862년 농민항쟁』, 동녘 | 미소장 |
18 | 박충석, 와타나베 히로시 외 지음, 2002, 『국가이념과 대외인식』, 아연출판부 | 미소장 |
19 | 배항섭, 2002, 『조선후기 민중운동과 동학농민전쟁의 발발』, 경인문화사 | 미소장 |
20 | 사이토 준이치 지음, 윤대적 외 옮김, 2009, 『민주적 공공성』, 이음 | 미소장 |
21 | 송찬섭, 2004, 『농민이 난을 생각하다』, 서해문집 | 미소장 |
22 | 위르겐 하버마스 저, 한승완 역, 2001, 『공론장의 구조변동』, 나남 | 미소장 |
23 | 한국사회사연구회 편, 1990, 『사회사연구의 이념과 실제』,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24 | 한국역사연구회 편, 1991, 『1894년 농민전쟁연구』 1, 역사비평사 | 미소장 |
25 | 한상권, 1996, 『조선후기 사회와 소원제도』, 일조각 | 미소장 |
26 | 高錫珪, 1989, 「19세기 前半 鄕村社會支配構造의 성격-<守令-吏・鄕 수탈구조>를 중심으로-」 『外大史學』 2 | 미소장 |
27 | 임술민란 전후 全羅道의 軍政운영과 殖利문제 | 소장 |
28 | 김선경, 1984, 「조선후기의 조세수취와 面里운영」,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갑오 농민 전쟁과 민중 의식의 성장 | 소장 |
30 | 김선경, 2006, 「19세기 농민저항의 정치」 『역사연구』 16 | 미소장 |
31 | 1860年代 農民蜂起의 組織基盤과 民會 | 소장 |
32 | A Study on the Role of the Myon(面) and Administration Group in the 19th Century | 소장 |
33 | 한국정치와 공론성 ![]() |
미소장 |
34 | 조선후기 鄕村社會統制策의 위기 ![]() |
미소장 |
35 | 朝鮮後期 村落組織의 변모와 1862年 農民抗爭의 組織基盤 ![]() |
미소장 |
36 | 19세기 전반 官主導 鄕村統制策의 위기 | 소장 |
37 | 조선후기 재지사족의 「居響觀」변화 | 소장 |
38 | 18세기 里定法의 展開 ![]() |
미소장 |
39 | 15세기의 민본이데올로기와 그 변화 | 소장 |
40 | 박경하, 1987, 「왜란 직후의 향약에 대한 연구」 『중앙사론』 5 | 미소장 |
41 | 제1차 농민전쟁 시기 농민군의 행동양태와 지향 | 소장 |
42 | Changes of the Ruling order and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ulture in the 19th century | 소장 |
43 |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 전남 장흥 지역의 사례를 단서로 | 소장 |
44 | 宋亮燮, 1995, 「19세기 良役收取法의 변화-洞布制의 성립과 관련하여-」 『韓國史硏究』 89 | 미소장 |
45 | 임술민란기 부세문제 인식과 三政改革의 방향 | 소장 |
46 | 1862년 진주농민항쟁의 조직과 활동 | 소장 |
47 | The Construction of the Organization to Remedy of the Problem of Three State Finance System(三政釐整廳) and Ijeongchaek(釐整策) in the year of 1862. | 소장 |
48 | 19세기 임술민란에 있어서의「향회」와「요호」 | 소장 |
49 | 安秉旭, 1986, 「朝鮮後期自治와 抵抗組織으로서의 鄕會」 『聖心女大論文集』 18 | 미소장 |
50 | 安秉旭, 1993, 「19세기 민중의식의 성장」 『1894년 농민전쟁연구 3』(한국역사연구회 편), 역사비평사 | 미소장 |
51 | 이규대, 2000, 「19세기 동계와 동역」 『한국 근현대이행기 사회연구』(김호일 편저), 신서원 | 미소장 |
52 | 朝鮮初期 官人層의 民에 대한 認識 ![]() |
미소장 |
53 | Village associations(洞契)" functions in Yangban villages(班村) in the 19th century"s latter half, and changes they went through | 소장 |
54 | 이해준, 1990, 「조선 후기 동계・동약과 촌락공동체 조직의 성격」 『조선후기 향약연구」(향촌사회사연구회 편), 민음사 | 미소장 |
55 | 19세기 말 咸安鄕會의 기능과 성격 | 소장 |
56 | 靑吾, 1926년 4월, 「東亂雜話」 『신인간』 1 | 미소장 |
57 | 최갑수, 2003, 「서양에서 공공성과 공공영역」 『진보평론』 9 | 미소장 |
58 | 崔承熙, 1981, 「書院(儒林)勢力의 東學 排斥運動 小考」 『韓㳓劤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