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무용교육자 전문성의 핵심 차원으로서 심성적 자질의 재조명과 함양 방안 / 홍애령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01.30
수록지명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제19권 제1호 통권50호 (2012년 1월), pp.23-4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3082586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무용교육자 전문성의 핵심 차원으로서 심성적 자질의 재조명과 함양 방안 / 홍애령 1

국문초록 1

I. 무용교육의 명과 암 1

II. 전문성에 대한 지배적인 관점 3

1. 무용교육자와 전문성의 개념 3

2. 전문성의 두 차원 4

III. 무용을 잘하는 두 가지 방식 5

1. 기술적 합리성에 근거한 무용 잘하기 5

2. 실천적 합리성에 근거한 무용 잘하기 6

IV. 무용교육자의 심성적 자질과 함양 방법 6

1. 심성적 자질의 재발견 6

2. 심성적 자질의 함양방법 9

V. 결론 및 제언 12

참고문헌 14

Abstract 20

초록보기 더보기

최근의 무용교육은 창의성과 감성, 인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대중적인 관심과 양적인 증대를 실현했다. 그러나 내실을 들여다보면 무용교육의 핵심이 되는 교육목적과 내용, 무용교육자의 전문성에 대해 공적으로 합의된 바가 부족하다. 이에 무용교육은 어떠한 성격의 활동이며, 특히 이를 가르치는 교육자는 어떠한 전문성을 지녀야 하는지 심층적으로 탐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무용교육자의 전문성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의 관점을 파악하고, 전문성의 두 가지 차원 중 상대적으로 간과하였으나 중요한 차원인 심성적 자질을 재조명한다. 먼저, '무용을 기술적으로 잘하는 방식'과 관련된 무용기능을 가르치는 교육, 공연 기예로서 무용에 접근하는 관점을 반성하고, '무용을 예술적으로 잘하는 방식'과 관련된 무용정신을 가르치는 교육, 공연 예술로서 무용에 접근하는 관점을 지향한다. 다음으로 국내외 무용교육관련협회에서 요구하는 교육자의 자격표준과 윤리강령의 사례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요구하는 심성적 자질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지 파악하고, 이를 함양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참고문헌 (1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Dance Teacher and Dance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2 강신복(1998). 연구자와 현장교사: 만남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동계워크샵 논문집(pp. 1-6). 서울:한국스포츠교육학회. 미소장
3 특집 : 자아 수련 이론과 그 현대적 의미 ; 고봉(高峯)의 성리학(性理學)과 수양론(修養論) 네이버 미소장
4 Constructive Network of Collabor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Physical Educators. 소장
5 A Study on Dancer Teache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Job Satisfaction 소장
6 퇴계의 修養學 소장
7 무용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질적 연구 소장
8 (The)influence of leadership on dance ability achievement 소장
9 김재은(2007). 창의성과 무용교육. 서울: 한학문화. 미소장
10 Analysis of Artistic Competencies Scale in Dance Education 소장
11 국내 무용교육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연구동향 소장
12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Belief and Self-man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Dance 소장
13 역량기반 치의학교육의 개념과 교육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 ADEA의 역량 규정을 중심으로 소장
14 박은희(2008).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 전문 인력양성을 위한 방안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15 Explo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Pedagogical Mind-set in a Humanities-Oriented Pre-service PETE class 소장
16 Teacher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Dance Teacher Research 소장
17 Mathematics teacher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ommunities 소장
18 배진모(2003). 부모와 무용교사의 기대가 학생의 무용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19 서복관(1991). 중국예술정신. 서울: 동문선. 미소장
20 A Qualitative Research on Teacher Professional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t Middle School Level 소장
21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3), 1-21. 미소장
22 손천택(1998). 현장개선연구를 통한 체육교사와 연구자의 만남. 한국스포츠교육학회 동계워크샵 논문집(pp. 13-20). 서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미소장
23 A Qualitative Study on Quality of Successful Korean Dance Instructors 소장
24 The search fo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professional instructional expertise 소장
25 키에르케고르(S. Kierkegaard) 간접전달의 인식론적 의의 네이버 미소장
26 How can we teach and Learn tacit knowing by Language?: A paradox of education and its solution with reference to Chuang Tzu and Kierkegaard 소장
27 배움공동체와의 비교를 통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교육방법론 소장
28 오현주(2008). 한국 전통춤 교수법의 인문적 접근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29 Research on Expertise in Teaching 소장
30 유창경(2009). 한국무용정신 가르치고 배우기: 무용교사의 실천과 전공학생의 인식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31 An Exploratory Examination of Talent Development in Dance 소장
32 이문용(1998). 연구자와 현장교사: 만남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동계워크샵 논문집(pp. 7-12). 서울:한국스포츠교육학회. 미소장
33 이승배(2008). 초등교사의 체육교육 실천공동체 형성과 교수 전문성 개발에 관한 해석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34 이원주(2007). 중학교 체육-무용교육자의 무용교육과 평가에 대한 인식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35 이윤식(2001). 장학론.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36 무용교사의 언어적 행동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장
37 장명주(2011). 현대무용 잘 가르치기: 창작지향 무용교수의 어려움과 가능성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38 정원정(2005).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교육자의 교수행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미소장
39 Teacher Education and Spirituality 소장
40 정현우(2010). 체육교사 간접교수행동의 교육적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41 조보경, 이상돈, 이범진(2005). 무용 지도자의 리더십과 창의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4),273-282. 미소장
42 진연심(2002). 무용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의 기대와 지각에 관한 연구. 이화교육논총, 12, 307-318. 미소장
43 최성은(2004). 발레의 정신을 가르치기 위한 지도방법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44 The Influence on the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by the Organization Climate of Professional Dance Company 소장
45 최수일(2009). 수업분석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수학교사의 전문성 제고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46 Teaching to Learn 소장
47 최의창(2002). 인문적 체육교육. 서울: 무지개사. 미소장
48 최의창(2003). 체육교육탐구(제2판). 서울: 태근. 미소장
49 최의창(2009). 체육전문인교육. 고양: 생능출판사. 미소장
50 최의창(2010).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서울: 레인보우북스. 미소장
51 체육전문인 전문성의 재검토 소장
52 Dance Literacy -Reexamining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as Culture & Art Education 소장
53 최의창(2011c). 2009년도 기초연구과제지원사업 2차년 보고서: 무용의 정신은 가르칠 수 있는가. 미간행 보고서, 서울: 한국연구재단. 미소장
54 최지영(2008). 여성과학자의 성장과정 연구: 전문성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3(2), 153-176. 미소장
55 한명희(2007). 영성과 교육:21세기 대안교육을 위하여. 미래사회와 종교성연구원 편(2007). 종교성,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pp. 25-65). 서울: 학지사. 미소장
56 한영란(2004). 교사와 영성교육. 서울: 내일을 여는 책. 미소장
57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Spirituality 소장
58 허명(2006). 교사양성 교육과정: 중등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진단과 발전 방향-자연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006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심포지엄 발표 자료집(pp. 608-612). 서울: 한국교육과정학회. 미소장
59 교사의 영적 성숙을 위한 교사교육과정의 변화 방향 탐색 소장
60 홍수민(2010). 발레 교수학습과정의 문제점 및 대안적 교육모형 탐색: 예술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61 A Study of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xpertise of Dancer 네이버 미소장
62 홍애령, 최의창, 박혜연, 임수진, 김나이(2011). “당연하죠. 어떻게 껍데기만 가르치나요?”: 발레정신의 교수방법 탐색. 제49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p. 293). 서울: 한국체육학회. 미소장
63 홍은숙(2007). 교육의 개념: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64 The Functional View in Dance and Problems in Dance Education 소장
65 The Study on Dance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s of Aesthetic Experience 소장
66 Arnold, P. (1988). Education, movement, and the curriculum. Lews, UK: Falmer. 미소장
67 Ausdance(n.d.). Code of ethics for dance teachers. Retrieved June 20, 2011, from http://www.ausdance.org.au/professional_practice/dance-industry-code-of-ethics.html 미소장
68 Bennett, W. J. (1993). The book of virtues: A treasury of great moral stories. New York: Simon & Schuster. 미소장
69 Bereiter, C., & Scardamalia, M. (1993). Surpassing ourselves: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implications of expertise. Chicago: Open Court. 미소장
70 Canadian Dance Teaching Standards(n.d.). Canadian dance teaching standards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Retrieved June 20, 2011, from http://www.synergydance.ca/index.php?page_id=65 미소장
71 Dance Education, Skill, and Behavioral Objectives 네이버 미소장
72 Choi, E., Hong, A., & Hong, S. (2010). What does the ballet teacher teach?: Exploring the spiritual dimension of ballet as the content of ballet education. In KAHPERD (Ed.), 2010 KAHPERD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proceedings(p. 378). Seoul: KAHPERD. 미소장
73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네이버 미소장
74 de Groot, A. (1978). Thought and choice in chess. The Hague, The Netherlands: Mouton. 미소장
75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76 Ericsson, K. A., Tesch-Romer, C., & Krampe, R. T. (1990). The role of practice and motivation in the acquisition of expert-level performance in real life: An empirical evaluation of a theoretical framework. In M. J. A. Howe (E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exceptional skills and talents(pp. 109-30). Leicester, England: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미소장
77 Developing Plans for Professional Growth 네이버 미소장
78 Hakkarainen, K., Palonen, T., Paavola, S. & Lehtinen, E. (2004). Communities of networked expertise: Profession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Amsterdam: Elsevier. 미소장
79 Hatano, G., & Inagaki, K. (1986). Two courses of expertise. In H. Stevenson, H. Azmuma, & K. Hakuta (Eds.),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in Japan(pp. 262–272). New York: W. Y. Freeman and Company. 미소장
80 Commentary: Reconceptualizing School Learning Using Insight from Expertise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81 Hoffman, S. J. (2009). Introduction to kinesiology(3rd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미소장
82 Kassing, G. & Jay, D. M. (2003). Dance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um design. Champaign, IL: Human Kinetics. 미소장
83 Kim, W., Hong, A., & Jeon, S. (2011). Three voices: Self-reflective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ors. In KAHPERD (Ed.), 2011 KAHPERD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proceedings(p. 224). Seoul: KAHPERD. 미소장
84 Koff, S. R. (2004). Ethics of being a dance educator. In E. Anttila, S. Hämäläinen, T. Löytönen,& L. Rouhiainen (Eds.), International Dance Conference: Ethics and Politics Embodied in Dance proceedings(pp.86-90). Helsinki: Making a Difference in Dance. 미소장
85 Laban, R. V. (1974). Modern educational dance. London: Macdonald & Evans. 김주자 역(1993). 현대의 무용교육. 서울: 현대미학사. 미소장
86 MacIntyre, A. C. (1984).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2nd ed.). Notre Dam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미소장
87 McCutchen, B. (2006). Teaching dance as art in education. Champaign, IL: Human Kinetics. 미소장
88 McFee, G. (1994). The concept of d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미소장
89 McLaughlin M. W., & Talbert J. E. (2001).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teach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90 Miller, J. (1990). Holistic learning: A teacher's guide to integrated studies. 김현재 외 역(2000). 홀리스틱 교육과정. 서울: 책사랑. 미소장
91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2007a). Standards for dance in early childhood. Silver Spring, MD: NDEO. 미소장
92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2007b). Standards for learning and teaching dance in the arts: Ages 5-18. Silver Spring, MD: NDEO. 미소장
93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2007c). Standards for a K-12 model program. Silver Spring, MD: NDEO. 미소장
94 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2009).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for dance art. Silver Spring, MD: NDEO. 미소장
95 Oakeshott, M. (1967). Rationalism in politics and other essays. London: Metheuns. 미소장
96 Polanyi, M. (1967). The tacit dimension. New York: Doubleday & Company. 미소장
97 Royal Academy of Dance(n.d.). Code of conduct & professional practice. Retrieved June 20, 2011, from http://www.rad.org.uk/files/ART255_Code%20of%20Conduct%20English.pdf 미소장
98 ScotDance Canada(2006, June). Code of ethics for dancers. Retrieved June 20, 2011, from http://scotdancecanada.ca/wordpress/wordpress-content/uploads/2011/04/ScotDanceCanadaCodeof Ethics-REVISEDNovember2010.pdf 미소장
99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미소장
100 Sergiovanni, T. J. (1995). The principalship: A reflective-practice perspective(3r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미소장
101 Making a Dif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What Professors and Practitioners Must Build Together 네이버 미소장
102 Smith-Autard, J. M. (2002).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2nd ed.). London: A & C Black. 미소장
103 Steiner, R. (1977). Rudolf steiner, an autobiography. Stebbing, R. (Trans.). Blauvelt: Steiner Books. 미소장
104 Stenhouse, L. (1975). An introd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London: Heineman. 미소장
105 Stinson, S. W. (2004). Professional ethics and personal values: Intersections and decisions in dance education. In E. Anttila, S. Hämäläinen, T. Löytönen, & L. Rouhiainen (Eds.), International Dance Conference: Ethics and Politics Embodied in Dance proceedings(pp. 23-35). Helsinki: Making a Difference in Dance. 미소장
106 서울문화재단. www.sfac.or.kr. 미소장
107 영국국제댄스교사협회. www.idta.co.uk. 미소장
108 영국황실댄스교사협회. www.istd.org. 미소장
109 한국무용교사협회. www.danceteacher.or.kr. 미소장
11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www.arte.or.kr.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