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자기교육의 개념화 / 조화태 1

〈요약〉 1

I. 서론 1

II. 교육학의 전통적 관점과 자기교육 5

III. 자기주도적 '학습'과 자기주도적 '교육' 8

IV. 교육의 지향점으로서의 자기교육 15

V. 자기교육론의 전개를 위하여 22

VI. 맺는말 : 자기교육론과 평생교육학 28

참고문헌 30

저자정보 32

〈Abstract〉 33

초록보기

‘자기교육’이라는 용어는 전통적인 교육학의 논리와 관점에서 보면 개념적으로 성립하기 어려운 용어이다. 학교태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중심의 교수-학습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을 보는 전통적인 교육학은 교사의 존재와 그의 의도에 따른 가르침을 교육의 조건으로 개념화하여 왔으며, 교사를 교육의 주체로 삼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개인의 의지와 결단, 노력과 실천 등의 내적 동기와 힘에 이끌리는 인간형성의 과정으로서의 교육을 ‘자기교육’으로 개념화하고, 개인이 스스로의 성장과 형성을 이루어 나가는 교육의 주체가 되는 ‘자기교육’이 인간형성을 위한 활동으로서의 교육의 본원적이며 궁극적인 측면이라는 점을 논하고자 한다. 그리고 개인을 자신의 인간형성을 이루어 나가는 교육의 주체로 인정하는 ‘자기교육’의 개념을 수용할 때, 학교태와 교수-학습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을 보는 전통적 교육학의 편협하고 왜곡된 관점과 오랜 통념을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논하고자 한다. 또한 ‘자기교육’의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자기교육론의 이론적 성립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 그 시사점을 평생교육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From the conceptual scheme of traditional educational theory, in which teacher’s activity of teaching constitutes the essential element of education, the term ‘self-education’ seems to be absurd and illogical, since it poses an individual learner as an educator for oneself in place of teacher. Due to its sole emphasis on school-based education, traditional educational theory has assumed teacher a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student as the object. What is missing in these conceptions is the idea of an individual as the subject of self-initiated education for his/her own self-formation and self-creation. This article conceptualizes the self-initiated education as self-education, which is induced from an individual’s will to growth and self-dignity and his/her efforts for self-formation, Bildung. This article argues that self-education, which has been lost in school-based education theory, is the intrinsic and prime dimension of education which should be given light on to replenish the ideal of education, self-actualization. This article also conceptualizes ‘egagogy’* as the study of self-education, and explores it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life-long education theory should try a theory of self-education to redeem the self-initiative manifested in individual’s life-long endeavor for his/her own self-formation and self-actualization.

* a coinage which combines ‘ego’ and ‘agog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기교육의 개념화 조화태 pp.1-33

보기
평생교육사 역할의 중요도와 교육요구도 분석 박근수, 김주후 pp.35-57

보기
성인교육 퍼실리테이터 역량 개발 : 필요 수준과 현재 수준 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백수정, 이희수 pp.59-85

보기
공공기관 평생교육사의 직업이미지 인식 유형 분석 김혜영 pp.87-114

보기
대학 교양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스마트 e-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연구 권성호, 한승연, 이준, 방선희 pp.115-152

보기
대학 CTL의 지속 프로그램과 중단 프로그램 분석 및 성공적인 운영전략 연구 박은숙, 이은실, 유정아 pp.153-174

보기
원격대학 교수자가 지각하는 교수매체 선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중심으로 최경애, 박경선 pp.175-199

보기
사이버대학 질 관리 현황 평가 및 질 관리 개선 방안 정영란, 장은정 pp.201-231

보기
성인학습동아리 활동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 방송대 학습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지희숙 pp.233-255

보기
Making sense of MOOCs : musings in a maze of myth, paradox and possibility John Daniel pp.257-284

보기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Represented from the Academic Journals 소장
2 김신일(1994). ‘학습주의’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제도의 문제. 한국교육학의 맥, 이성진 (편). 서울: 나남.205-227. 미소장
3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패러다임 네이버 미소장
4 김신일(2005b). 학습시대의 교육학 패러다임. 학습사회의 교육학, 김신일ㆍ박부권 (편). 서울: 학지사.61-101. 미소장
5 Children`s Educational Activity : Searching for the Archetype of " the Educating Man " 소장
6 An analysis of the academic tendencies and the developmental task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ince 2000 소장
7 박부권(2005). 학습사회의 교육과 학습. 학습사회의 교육학, 김신일ㆍ박부권 (편). 서울: 학지사. 103-143. 미소장
8 배영주(2005). ‘학습주의’ 관점에서 본 자기주도학습론. 학습사회의 교육학, 김신일ㆍ박부권 (편). 서울:학지사. 201-221. 미소장
9 학교 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의 의미 소장
10 An Examination of Identity of the Science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Science of Social Education through Analysing Definitions of Concepts 소장
11 A Critical Review on the Origin and Logic of Conceptual Confusion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Process of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in the End of 1990s 소장
12 장상호(1991).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 교육학연구, 91-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 연구소. 미소장
13 장상호(1994). 또 하나의 교육관. 한국교육학의 맥, 이성진 (편). 서울: 나남. 291-326. 미소장
14 교육의 재개념화에 따른 10가지 새로운 탐구영역 소장
15 장상호(2005). 학문과 교육(중I).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6 장상호(2009a). 학문과 교육(중I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미소장
17 장상호(2009b). 학문과 교육(중II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미소장
18 정범모(1968). 교육과 교육학. 서울: 배영사. 미소장
19 정범모(1997). 인간의 자아실현. 서울: 나남출판사. 미소장
20 Brauchen wir den Bildungsbegriff in der P?dagogik? 네이버 미소장
21 동학의 종교경험과 '마음 살핌'의 자기교육 소장
22 인간 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3 Das paedagogische Verstaendnis des Bildungsbegriffs von Wilhelm von Humboldt 소장
24 "학습주의 교육" 패러다임 논의에서 Bildung 개념의 흔적 혹은 부재(不在) 소장
25 자기교육론 서설 소장
26 Re - evaluation of teachers' right under an educational law in Korea 소장
27 한숭희(2001).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평생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미소장
28 The Nature of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A Search of the Origin and Possible Path for Theoretical Self-construction 소장
29 한숭희(2005). 학습연구의 다층성과 학습주의 위상. 학습사회의 교육학. 김신일ㆍ박부권 (편). 서울: 학지사. 147-170. 미소장
30 Social Education is from Mars, Lifelong Education is from Venus 소장
31 Apple, M. W. (1979). Ideology and curriculum.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Ltd. Augustinus, A. De Magistro. (김영국 역, 1983). 교사론. 서울: 소망사. 미소장
32 Dearden, R. F. (1972). Autonomy and education. In R. F. Dearden et al (eds.).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 London and Boston: Routledge and Kegan Paul. 448-465. 미소장
33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Company. 미소장
34 Dewey, J. (1922). Human nature and conduct. New York: Henry Holt. 미소장
35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Company. 미소장
36 Foucault, M. (1979).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New York: Vintage. 미소장
37 Green, T. F. (1971). The activities of teaching. London: McGraw-Hill, Inc. 미소장
38 Hollins, T. H. B. (ed.). (1964). Aims of education: The philosophical approach.. Manchester University Press. 미소장
39 Illich, I. (1972). Deschooling society.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미소장
40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Y.: Association Press. 미소장
41 Magee, J. B. (1971). Philosophical analysis in education.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Inc. 미소장
42 Maslow, A. H. (196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Princeton: Van Nostrand. 미소장
43 Patterson, C. H. (1973). Humanistic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미소장
44 Peters, R. S. (1966).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미소장
45 Peters, R. S. (1973). Freedom and the development of the free man. in J. F. Doyle (ed.). Educational judgments: Papers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119 - 142.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미소장
46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Houghton-Mifflin. 미소장
47 Rorty, R. (1979). Philosophy and the mirror of natur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48 Rorty, R. (1982). Hermeneutics, general studies, and teaching. Selected Papers from the Synergos Seminars. 2. 1-15. 미소장
49 Rorty, R. (1989a). Contingency, irony, and solidar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50 Rorty, R. (1989b). Education without dogma: truth, freedom, and our universities. Dissent. 36.198-204. 미소장
51 Silberman, C. E. (1970). Crisis in the classroom. New York: Random House. 미소장
52 Snook, I. A. (ed.) (1972). Concepts of indoctrination. Boston: Routledge & Kegan Paul. 미소장
53 Taylor, C. (1987). Human agency and language: Philosophical papers 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54 Thatcher, D. A. (1973). Teaching, lo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alifornia: Goodyear publishing company, Inc. 미소장
55 Usher, R. & Edwards R. (1994). Postmodernism and education. London: Routledge. 미소장
56 White, J. (1990). Education and the good life. London: Kogan Page, Ltd. 미소장
57 Winch, C. (2006). Education, autonomy and critical thinking. New York: Routled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