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따른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및 효과분석 / 박종효, 변기용, 우선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韓國敎育開發院, 2010.07.31
수록지명
韓國敎育 = (The)Journal of Korean education. 제37권 제2호 (2010년 7월), pp.203-23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3085028
주기사항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에 따른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및 효과분석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따른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및 효과분석 / 박종효 ; 변기용 ; 우선영 1

■ Abstract ■ 1

■ 요약 ■ 2

I. 서론 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방법 및 절차 5

II. ISCED-97의 단계별 분류기준 및 쟁점사항 분석 6

1. ISCED-97의 구조 및 분류기준 6

2. ISCED-97 개정과 관련된 주요 쟁점 및 개정방향 8

III. 한국의 현행 교육체제분류 현황과 문제점 14

IV. 개정 ISCED에 기초한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및 개정효과 분석 17

1.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17

2. 시뮬레이션을 통한 개정효과 분석 22

V. 결론 및 제언 24

참고문헌 27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UNESCO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현행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97) 개정에 대비하여, 한국의 교육체제 분류 개정안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와 UNESCO 회의자료 분석을 통해 ISCED 개정의 주요 쟁점과 개선 방향을 확인하였고, 전문가 협의회와 교육기관 방문조사를 통해 한국의 교육체제 분류의 쟁점 및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현재 UNESCO에서 논의중인 네 가지 개정대안별로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안을 개발하여 그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이와는 별도로 개정안의 효과를 탐색해 보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취학이전 교육단계와 고등교육단계 주요지표의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의 교육체제 분류 개정안은 2011년 UNESCO의 국제표준교육분류 최종안이 마련되면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and empirically verify the Kore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n order to submit nation-level suggestions for ISCED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revision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primary issue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s debated at several international OECD and UNESCO meetings. Revisions to the Kore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UNESCO's latest revision, the ISCED level has been extended from 7 levels (ISCED 0-6) to 9 levels (ISCED 0-8). Second, the ISCED level has been changed to not only include kindergarten but also center-based child care institutions. The decision must still be made whether to constrain the entrance age of children to three or older or to grant entrance to younger children. Third, post-secondary non-tertiary education has been changed to include vocation and job training education institutes that are established and run by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Fourth, tertiary education, which had complicated sub-categorized levels, has been simplified and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s awarded and theoretical duration. Simulations have been conducted on main indicator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vised Kore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 Discussion should continue in order to create a better classific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교육과 이주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 대구경북 학부모 면담 분석 이경숙, 김종혁, 김민남, 김부태, 윤선진, 이상원 pp.5-3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 공교육이 학생들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진경애, 한종임 pp.31-5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저소득층 학생, 학부모, 저소득층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의 수학과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김애화, 신동희, 고상숙 pp.57-8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조기유학 청소년과 국내 재학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비교 이순형, 권미경 pp.89-10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세계시민교육의 보편적 핵심 요소와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성열관 pp.109-13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한국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 대학 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최정윤, 신혜숙 pp.131-15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한국 다문화교육정책 전개과정과 담론 분석 : 교과부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정책(2006-2009)을 중심으로 이민경 pp.155-17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교장공모제 시범운영 성과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박상완 pp.177-201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개정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따른 한국의 교육체제분류 개정방안 및 효과분석 박종효, 변기용, 우선영 pp.203-23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5). 교육통계연보. 미소장
2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6). 교육통계연보. 미소장
3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7). 교육통계연보. 미소장
4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8). 교육통계연보. 미소장
5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9). 교육통계연보. 미소장
6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9). OECD 교육지표 2009. 미소장
7 보건복지가족부(2008). 보육통계 2008. 미소장
8 Critical Evaluation of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ISCED-97 소장
9 한유경・정택희(1998). 한국의 교육체제 배치 연구: 국제표준교육분류 개정안(ISCED- 97)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98-16. 미소장
10 Bowlby, J. W.(2002). Post-Secondary Education Attainment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1990s. Applied Research Branch of Strategic Policy. Technical Paper Series, T-02-2E. 미소장
11 OECD(2004). OECD Handbook for internationally comparative education statistics: concepts, standard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Paris: OECD. 미소장
12 OECD(2005). Education at a Glance : OECD Indicators. Paris : OECD. 미소장
13 OECD(2006). Education at a Glance : OECD Indicators. Paris : OECD. 미소장
14 OECD(2007). Education at a Glance : OECD Indicators. Paris : OECD. 미소장
15 OECD(2008). Education at a Glance : OECD Indicators. Paris : OECD. 미소장
16 OECD(2009). Education at a Glance : OECD Indicators. Paris : OECD. 미소장
17 OECD INES(2003). Issues related to the coverage of education statistics and implementaton of ISCED. EDU/UNES/TG(2003)10. 미소장
18 OECD INES(2006). ISCED-97 Issues. EDU/UNES/TG(2006)16. 미소장
19 OECD INES(2009a). Review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ISCED). EDU/EDPC/INES(2009)19. 미소장
20 OECD INES(2009b). Working Party, NESLI, OL Network 회의자료. 미소장
21 OECD INES(2009c). Proposals on ISCED 0 and ISCED2/3. (EDU/EDPC/INES(2009)20. 미소장
22 UNESCO(1997).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SCED-97, Paris: UNESCO. 미소장
23 UNESCO(2009). UOE data collection on education systems. UIS, Montreal, Paris, Luxembourg.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