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시장화시기 북한 주민의 일유형 결정요인 / 김화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통일연구원, 2013.06.30
수록지명
통일정책연구. 제22권 제1호 (2013년 6월), pp.79-11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308891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시장화시기 북한 주민의 일유형 결정요인 / 김화순 1

국문요약 1

I. 연구의 배경 2

II.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4

III. 분석 자료 9

IV. 일유형별 특성 16

V. 북한주민의 일유형 결정요인 분석 21

VI. 결론 및 북한체제 변화에 주는 함의 27

참고문헌 32

Abstract 34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북한주민의 일(work)이 시장(marketplace)을 중심으로 어떻게 재편되며 이러한 재편이 북한체제 변화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지 알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유형(work type)’을 기초개념으로 하여 2010년 이후 북한을 떠난 북한주민 200명을 공식일 종사자, 공식과 비공식일을 병행하는 이중일 종사자, 비공식일 종사자, 무직 및 비경제활동 종사자의 네 집단으로 분류하고, 일유형별 특성과 일유형 분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았다. 인구학적 요인, 인적자본 요인, 지역 요인, 정치체제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6개의 로짓다항 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을 만들어 비교한 결과, 정치체제 요인(정치신분, 당원, 토대)이 북한주민의 일유형 분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정치신분이 상층, 중층일 경우 공식일(formal work)에 종사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토대가 적대계층이거나 비당원인 경우에는 비공식일(informal work)에 종사할 가능성이 높았다. 당원이고 적대계층이 아닐수록 이중일(both formal and informal work)에 종사할 확률이 높았다. 일유형에 따른 체제불만 의식의 차이도 뚜렷하였는데(비공식>이중일>공식일), 흥미로운 사실은 이중일 종사자 체제불만의 수위가 비공식일 종사자의 수준에 거의 근접하였다는 점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시장화 진전과정에서도 ‘정치체제 요인’으로 대변되는 국가의 힘이 ‘일유형’으로 대변되는 북한 노동의 내부 집단 분화(interpopulation differenciation)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증적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한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works of North Koreans are reorganized against marketplace and what such reorganization means to changes in North Korean syste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00 North Korean refugees who had left North Korea after 2010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work type such as formal workers, informal workers, dual workers, unemployment and non-economic workers, and factors influencing work type characteristics and work type differentiation were identified. Comparing using multinominal logit model using demographic factors, human resource factors, regional factors and political system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political system factors (political status, party membership and todae) made the biggest effects on work type differentiation. For example, those who are in upper or middle class in political status have higher probability to have formal works. On the other hand, if they were from antagonized class or don’t have party membership, they are likely to have informal works. When they have party membership and are not from antagonized class, they have better chance to have both formal and informal works. There was conspicuous difference in consciousness on dissatisfaction with system (informal >dual >formal), and interestingly dissatisfaction with system of those who have both formal and informal works has approached near to that of informal work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has identified that the power of nation represented by ‘political system factors’ made important effects on interpopulation differentiation represented by ‘work type’ through an empirical case stud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 :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정책 추진 방향 박영호 pp.1-2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이론적 접근 및 국제화 방안 박인휘 pp.27-5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한 안보와 북핵문제 해결 방안 한용섭 pp.53-7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시장화시기 북한 주민의 일유형 결정요인 김화순 pp.79-11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북한 경제난의 인구학적 영향과 경제에의 함의 문경연, 김판석 pp.113-14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동구 체제전환국의 경제성과에 대한 문헌 연구 및 북한 관련 정책적 시사점 문성민, 양석준 pp.143-17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김정은시대 북한 체제개혁의 과제 : 포스트 마오시기(1976~1978)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동훈 pp.179-20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북한의 대남 주도권 확보와 대남전략 행태 이윤식 pp.211-23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북한의 1945~1960년 중공업 우선 발전전략에 대한 재고찰 이창희 pp.239-26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교육훈련과 취업 정진화, 손상희, 이주관 pp.267-29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북한 인구정치의 기원과 식량체제 홍민 pp.297-33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북한경제의 시장과 정부.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2. 미소장
2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서울: 역사비평사, 2001. 미소장
3 북한주민의 삶의 질: 실태와 인식. 서울:통일연구원, 2011. 미소장
4 북한의 노동정책과 노동력평가 네이버 미소장
5 북한 ‘변화’의 재평가와 대북정책 방향. 서울: 통일연구원, 2009. 미소장
6 북한주민의 직장생활과 노동. 서울: 공보처, 1994. 미소장
7 북한경제의 구조: 경제개발과 침체의 메카니즘.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미소장
8 북한의 노동.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7. 미소장
9 북한의 노동력구조.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1996. 미소장
10 북한 계획경제의 변화와 시장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9-16-03. 서울: 통일연구원, 2009. 미소장
11 북한의 사회경제적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미소장
12 2009년 북한경제 종합평가 및 2010년 전망. 서울: 통일연구원, 2009. 미소장
13 북한의 시장·기업 개혁과 노동인센티브제도.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4. 미소장
14 한국의 직업구조.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미소장
15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변동.” 박성재 외.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변동과 취업지원제도 평가.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11. 미소장
16 A Study on the Employment Type of North Koreans 소장
17 A Study on Everyday Life in North Korea: Meaning and Methodology 소장
18 북한의 ‘생산정치(Politics of Production)’와 노동자 조직의 성격변화에 관한 연구 소장
19 “북한의 근대화과정과 여성의 역할(1045-80년대): 공장과 가정의 정치사회와 여성노동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20 “2000년대 북한 노동자들의 노동일상 구술: ‘정상 노동생활의 주변화’를 중심으로.” 진보평론. 제38호. 2008. 미소장
21 “2003년 <종합시장제> 이후 북한의 ‘주변노동’과 ‘노동시장’: 노동일상의 상황과 구조.” 한국정치학회보. 제43집 3호. 2009. 미소장
22 The Status quo of Complexity on Economic System of North Korea: The Path of Self-Organization on Market Economy 소장
23 체제변동기 북한의 계층·세대·지역 균열 소장
24 북한 시장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 소장
25 Towards a political analysis of markets in North Korea 소장
26 Impact of Social Class Discrimination Policy on the Development of Market Elements in North Korea 소장
27 북한체제의 주변부로의 귀환 소장
28 북한의 노동-2000년대를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29 북한의 1990년대 경제위기와 기업 행태의 변화: 생존추구형 내부자 통제와 퇴행적 시장화 소장
30 “북한의 노동통제와 공장체제.” 한반도 통일논의의 쟁점과 과제. 한신대학교출판부, 2001. 미소장
31 Institutional Appreach For the Labor Regime in North Korea 소장
32 “북한의 노동력 수준의 평가와 실제 사례에 관한 연구.” 선한승 외. 남북협력과 노동정책.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0. 미소장
33 산업화 시기 북한 공장의 노동규율 형성 네이버 미소장
34 “북한의 작업장 문화와 노동자 정체성: 노동통제와 작업동의를 중심으로.” 양문수외. 북한의 노동.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7. 미소장
35 “북한 작업장 관리체계 분석”. 선한승 외. 남북협력과 노동정책.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0. 미소장
36 사회주의 국가의 노동정책 : 소련·중국·북한의 생산성의 정치 소장
37 북한의 시장과 시장경제 : 수령을 대체한 화폐 소장
38 The World of Everyday Life of Labor in North Korea 소장
39 “북한의 붉은 공장과 노동일상세계: ‘아우라’없는 노동일상에 관한 접근.” 고유환 외. 북한의 일상생활 연구: 외침과 속삭임. 서울:... 미소장
40 The Present Status and Research Tasks of Occupational Research in Korea 소장
41 북한 현지지도의 정치경제적 기원에 관한 연구 소장
42 “북한의 사회주의 도덕경제와 마을체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43 “탈북자 면접조사방법.” 북한연구방법론.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3. 미소장
44 “1990년대 말 이후 북한 도시 사적 부문의 시장화와 도시가구의 경제적 계층분화:개별가구의 비공식적 연결망자원의 계층화 매개효과 분석을... 미소장
45 북한의 지역경제협력 접근방식의 특징 소장
46 “북한의 시장활성화와 관련된 체제전환의 계급적 행위 주체 형성의 문제.” 이화여대 ssk세미나 발제문. 2012.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