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중 속담에 나타난 여성비하양상의 비교 고찰 / 공진치오우 ; 이화형 1
[요약] 1
1. 서론 2
2. 개인으로서의 여성에 대한 비하 6
2.1. 여성의 외모에 관한 속담 7
2.2. 성품에 관한 속담 12
3. 가족원으로서의 여성 17
3.1. 딸 17
3.2. 아내 20
3.3. 고부간 23
4. 속담을 통해 본 한중의 여성관 26
4.1. 개인으로서의 여성 26
4.2. 가정의 구성원으로서의 여성 28
5. 결론 29
참고문헌 31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한·중 속담에 나타난 여성비하양상의 비교 고찰 | 공진치오우, 이화형 | pp.1-32 |
|
보기 |
언론 담화에 나타나는 '사회 지도층 인사'에 대한 비판 담화분석적 연구 | 김해연 | pp.33-62 |
|
보기 |
비평적 담화분석 관점에서 살펴본 일제강점기 의거보도 연구 : 이봉창 의거를 중심으로 | 구나경 | pp.63-101 |
|
보기 |
의료기관 행정직원의 의사소통 체험 : 질적 연구 방법론적 접근 | 백승주, 진정근, 박용익, 이혜용, 석소현, 정연옥, 이지언, 안지현, 박성철 | pp.103-125 |
|
보기 |
주사건 시간에 따른 텍스트 유형 연구 | 김민영 | pp.127-156 |
|
보기 |
대통령 취임사는 제의적(epideictic)인가? :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경우 | 이재원 | pp.157-178 |
|
보기 |
텍스트의 장르성과 시간 표현 교육 : 신문 텍스트에서 '-었었-'과 '-ㄴ 바 있-'의 선택을 중심으로 | 제민경 | pp.179-206 |
|
보기 |
텍스트성 기준과 디자인 척도 | 조원형 | pp.207-232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민영(2012), 텍스트 유형에 따른 한국어 시제 기능 연구, 한국외대 박사논문. | 미소장 |
2 | L`emploi du present dans un texte narratif | 소장 |
3 | A New Function of Tense Shift in Novel Texts | 소장 |
4 | Some Issues on the Meaning and the Usages of Tense in Korean | 소장 |
5 | Tense - aspect and Temporal Adverbs in Korean | 소장 |
6 | Die deutschen Tempora unter funktional-kommunikativer Sicht f?r Deutsch als Fremdsprache | 소장 |
7 | 텍스트 유형에 따른 독일어 시제 사용 연구 : 텍스트 유형 '신문뉴스'를 중심으로 | 소장 |
8 | Korean journal of rhetoric ![]() |
미소장 |
9 | 이석규(2001), 텍스트언어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박이정. | 미소장 |
10 | 정희자(2008), 담화와 문법, 서울: 한신문화사. | 미소장 |
11 | 한국텍스트언어학회(편)(2004),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서울: 박이정. | 미소장 |
12 | Brinker, K. (1992), Linguistische Textanalyse, 3. Aufl. Berlin. | 미소장 |
13 | Brinker, K. (1994), Textkonstitution und Textkompetenz. In: Magdolna, B(ed.): Textverstehen-Textarbeit-Textkompetenz. Budapest. S.109-123. | 미소장 |
14 | Brinker, K. (1997), Linguistische Textanalyse, 4. Aufl. Berlin. | 미소장 |
15 | ZUR LINGUISTISCHEN ANALYSE DER TEXTSTRUKTUR ![]() |
미소장 |
16 | Ermert, Karl(1979), Briefsorten. Untersuchungen zur Theorie und Empirie der Textklassifikation, Tübingen: Niemeyer. | 미소장 |
17 | Hopper, P. J. (ed)(1982), Tense-Aspect: Between Semantics and Pragmatics, Amsterdam: John Benjamins. | 미소장 |
18 | Janssen (Eds.), The Function of Tense in Texts (pp. 1-16). Amsterdam: Koninklijke Nederlandse Akademie van Wetenschappen. | 미소장 |
19 | Jay Heinrichs(2008), Thank You for Arguing-What Aristotle, Lincoln, And Homer Simpson Can Teach Us About the Art of Persuasion, NY: Random House Inc | 미소장 |
20 | Quirk et al(1985),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gman. | 미소장 |
21 | The Meaning and Discourse Function of the Past Tense in English ![]() |
미소장 |
22 | Sandig, B. (1972): Zur Differenzierung gebrauchssprachlicher Textsorten im Deutschen. in: Gülich, E./Raible, W.(Hrsg.). Textsorten. Frankfurt/M. S. 113-124. | 미소장 |
23 | Van Dijk, T. (1980): Textwissenschaft: Eine interdisziplinäre Einführung. München. | 미소장 |
24 | Weinrich, H.(1964), Tempus, Kohlhammer, Stuttgart (tr. fr., Le temps, Paris, Seuil, 197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