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국내산 7종 다슬기 추출물의 생리활성 특성 비교 / 김연계 ; 문호성 ; 이문희 ; 박미주 ; 임치원 ; 박희연 ; 박진일 ; 윤호동 ; 김대희 1

[요약] 1

서론 1

재료 및 방법 2

결과 및 고찰 3

사사 7

참고문헌 7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겨울철 사육조건이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인위적인 성성숙 유도 및 번식에 미치는 영향 김대중, 김이청, 최용기, 손맹현, 이정의, 박미선, 허윤성 pp.1177-1183

보기
Spermatogenesis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ermatozoa of brackish water diploid clam, corbicula japonica(bivalvia: corbiculidae) Je-Cheon Jun, Bong-Seok Kim, Ee-Yung Chung, Jin-Hee Kim, Gab-Man Park, Sung-Woo Park pp.1184-1191

보기
한국 서해산 웅어, Coilia nasus 암컷의 성숙과 산란 전제천, 강희웅, 이봉우 pp.1192-1201

보기
선발 육종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부화율 및 자치어 성장 민병화, 이정호, 노재구, 김현철, 박철지, 최상준, 명정인 pp.1202-1210

보기
수온이 찰가자미(Microstomus achne)의 난발생에 미치는 영향 변순규, 이성훈, 황재호, 한경호, 연인호, 김진도, 이종하, 이배익 pp.1211-1216

보기
찰가자미(Microstomus achn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변순규, 이성훈, 황재호, 한경호, 강경완, 김진도, 김이청, 이배익 pp.1217-1225

보기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Estradiol-17β 변동 김대중, 김이청, 손맹현, 이정의, 손상규, 한창희 pp.1226-1229

보기
넙치 배합사료 및 생산료의 경제성 비교분석 황진욱, 김도훈 pp.1230-1246

보기
넙치 실용배합사료 동해안 현장적용시험 김강웅, 허샛별, 김경덕, 손맹현, 박민우, 배승철 pp.1247-1252

보기
넙치 치어의 품질향상된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효과시험 김강웅, 허샛별, 김경덕, 손맹현, 김신권, 박민우, 배승철 pp.1253-1258

보기
Challenge of offshore aquaculture in Korea Jung-Uie Lee pp.1259-1262

보기
Effects of protein and lipid levels in extruded pellet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seasons Kyoung Duck Kim, Yong Jin Kang, Hae Young Moon Lee, Kang Woong Kim, Maeng Hyun Son pp.1263-1269

보기
Genetic phylogeny among three species red seabream, black seabream and rock bream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Mi Jung Kim, Hye Suck An, Kyung Kil Kim, Jung Youn Park pp.1270-1277

보기
Variation in physiological energetics of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bivalvia:arcidae) from Gamak bay, south coast of Korea Yun Kyung Shin, Yoon Seok Choi, Eung Oh Kim, Sang Gyu Sohn pp.1278-1285

보기
연안산 흰점복(Takifugu poecilonotus)과 국매리복(Takifugu vermicularis)의 독성 김지회, 목종수, 손광태, 황혜진, 오은경, 유홍식, 김풍호 pp.1286-1292

보기
온도, pH 및 빛에 대한 Domoic Acid의 안정성 목종수, 이태식, 오은경, 손광태, 황혜진, 김지회 pp.1293-1299

보기
LC-MS/MS를 이용한 어류 및 갑각류의 잔류 Erythromycin 항생제 분석 조미라, 목종수, 이두석, 김민정, 김풍호 pp.1300-1304

보기
양식 어류와 이들 난에 대한 항곰팡이성 약물들의 효과 비교 지보영, 이덕찬 pp.1305-1311

보기
민들조개(Gomphina melanaegis)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생화학적 연구 김수경, 이주, 김영대, 조규태, 이종하, 박민우, 김재원, 공용근 pp.1312-1318

보기
한국 서해안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Miers, 1876)의 난 성숙과 산란 서형철, 장인권, 조영록, 김종식, 김봉래 pp.1319-1326

보기
Maroon clownfish, Premnas biaculeatus 초기 자어의 최적 성장과 생존을 위한 먹이생물 급이 계열 김종수, 노섬, 최영웅, 김원평, 정민민 pp.1327-1333

보기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 대한 Erythromycin 휴약기간 설정 이태식, 박미정, 최혜승, 심길보, 박미선, 신일식 pp.1334-1338

보기
고압처리에 의한 Norovirus Surrogate의 불활성화 이희정, 오은경, 유홍식, 신순범, 박유선, 신윤경, 박정준, 윤호동 pp.1339-1344

보기
양전하 및 음전하 필터를 이용한 해수 중 Norovirus Surrogate의 회수 이희정, 오은경, 유홍식, 신순범, 손명진, 정진이, 김영목, 윤호동 pp.1345-1349

보기
사료 공급율 및 공급횟수가 저수온기에 사육된 넙치 미성어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김경덕, 남명모, 김강웅, 이해영, 허샛별, 강용진, 손맹현 pp.1350-1355

보기
메기, Silurus asotus 사료의 어분 대체 단백질원으로 대두박 및 실용사료 사육효능 평가 김경덕, 임상구, 황주애, 김진도, 강용진 pp.1356-1360

보기
남해안 어류양식장에서 분리된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손광태. 오은경, 박큰바위, 권지영, 이희정, 이태식, 김지회 pp.1361-1367

보기
Fluoroquinolone계 항생제의 경구투여에 따른 양식넙치 및 조피볼락의 체내 잔류량의 변화 김풍호, 이두석, 김진우, 박미선, 김동수, 조미라 pp.1368-1373

보기
경남연안 기수지역에서 분리된 비브리오균의 항균제 내성 오은경, 손광태, 하광수, 유현덕, 유홍식, 신순범, 이희정, 김지회 pp.1374-1382

보기
저수온기 참돔 치어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사료내 지질의 영향 황형규, 김경덕, 박민우, 한석중, 강용진, 김응오, 김대현 pp.1383-1387

보기
국내산 7종 다슬기 추출물의 생리활성 특성 비교 김연계, 문호성, 이문희, 박미주, 임치원, 박희연, 박진일, 윤호동, 김대희 pp.1388-1395

보기
자란만·사량도 패류생산해역의 위생학적 안전성 평가 심길보, 하광수, 유현덕, 김지회, 이태식 pp.1396-1402

보기
한산·거제만해역 패류양식장에 대한 세균학적 위생안전성 평가 하광수, 심길보, 유현덕, 김지회, 이태식 pp.1403-1409

보기
단백질 및 지질함량이 다른 부상배합사료와 생사료의 넙치 사육효과 비교 김경덕, 강용진, 이해영, 김강웅, 장미순, 김신권, 손맹현 pp.1410-1414

보기
가막만 양식 굴, Crassostrea gigas의 산란에 따른 체조성과 생존율 변화 김철원, 김응오, 정희동, 정춘구, 박민우, 손상규 pp.1415-1420

보기
한국산 다슬기의 식품학적 성분 및 품질특성 임치원, 김연계, 김대희, 박진일, 이문희, 박희연, 장미순 pp.1421-1426

보기
국내 시중 유통 자연산 및 양식산 활어의 중금속 함량 목종수, 심길보, 이태식, 송기철, 이가정, 김성길, 김지회 pp.1427-1434

보기
다형질 Animal model에 의한 9개월령 한국산 전복 2 아종의 성장관련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최미경, 양상근, 원승환, 박철지, 한석중, 여인규 pp.1435-1443

보기
9개월령 참굴의 계측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및 육종가 추정 박기열, 김현철, 김병학, 최낙중, 문태석 pp.1444-1447

보기
제주도 넙치 양식현장에서 배합사료 성장 평가 김강웅, 강용진, 김경덕, 손맹현, 최세민, 배승철, 이경준 pp.1448-1452

보기
치어기 조피볼락 사료내 β-1,3 글루칸의 첨가가 성장 혈액 및 전어체 조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철, 김강웅, 박건준, 이준호, 손맹현, 배승철 pp.1453-1457

보기
해조류(톳, 감태) 혼합물의 사료 내 첨가가 넙치의 선천성 면역과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삼, 장지웅, 송진우, 임세진, 정준범, 이상민, 김강웅, 손맹현, 이경준 pp.1458-1464

보기
참전복 치패의 최적사육 기술현황 손맹현, 이정의, 박민우, 임한규, 김대중, 황형규 pp.1465-1471

보기
건조 배합사료로 사육한 양식산 넙치의 어체 품질평가. 1, 지방산 및 구성아미노산 조성 비교 장미순, 강용진, 김강웅, 김경덕, 이해영, 허샛별 pp.1472-1479

보기
LC-MS/MS를 이용한 설사성패류독소의 분석조건 확립 이가정, 스즈키 도시유키, 김풍호, 오은경, 송기철, 김지회 pp.1480-1485

보기
한국 연안산 어류의 중금속 함량 목종수, 심길보, 조미라, 이태식, 김지회 pp.1486-1493

보기
냉동저장을 통한 싱싱회 저장기간 연장에 관한 연구 박진일, 윤소미, 윤호동, 박희연, 변한석, 장미순 pp.1494-1499

보기
사료급이율이 여름철에 사육된 넙치 성어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김경덕, 강용진, 이종윤, 김강웅, 이해영, 장미순, 최세민, 남명모, 이상민 pp.1500-1503

보기
자연산 수컷 참조기 Larimichthys polyactis의 생식년 주기 강덕영, 조기채, 이진호, 강희웅, 김규희, 김효찬 pp.1504-1509

보기
황점볼락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과 난황단백전구체의 변동 김대현, 정지현, 윤성종, 황형규, 이윤호, 김대중 pp.1510-1514

보기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김성연, 문태석, 신윤경, 박미선 pp.1515-1522

보기
사육수 비교환 방식에 의한 흰다리새우의 고밀도 사육. 2, 흰다리새우의 실내 중간양성 장인권, 김종식, 서형철, 조국진 pp.1523-1531

보기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암컷과 동자개 P. fulvidraco X 대농갱이 Leiocassis ussuriensis 잡종 수컷간 역교배체의 초기 생존율 및 염색체 핵형 박상용, 강언종, 남윤권, 방인철 pp.1532-1536

보기
RAG-1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각시붕어 Rhodeus uyekii와 떡납줄갱이 R. notatus 잡종의 동정 윤영은, 이일로, 박상용, 강언종, 김응오, 양상근, 남윤권, 방인철 pp.1537-1540

보기
금강과 만경강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어류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의 AFLP에 의한 유전 다양성 및 집단구조 김근식, 윤영은, 강언종, 양상근, 방인철 pp.1541-1545

보기
동갈돗돔, Hapalogenys nitens 난과 자치어의 생존 및 성장에 미치는 저염분 및 저수온의 영향 강희웅, 전제천, 강덕영, 조기채, 최기호, 김규희 pp.1546-1554

보기
서해 자연산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의 포란수와 부화율 전제천, 강희웅, 김병균, 최기호, 조기채 pp.1555-1562

보기
해산어류에서 분리된 Vibrio harveyi의 혈청학적 특성과 항원성 오윤경, 김명석, 박명애, 김진우, 조지영, 정현도 pp.1563-1573

보기
초기 유생단계 참굴, Crassostrea gigas에 대한 Vibrio의 병원성 박경현, 이영은, 김은희, 손상규 pp.1574-1583

보기
양식산 황복에서 tetrodotoxin 유사 독소의 미량 존재 가능성 제시 김도영, 김주완, 박기석, 강희웅, 전중균, 정준기, 최상훈, 최민순, 박관하 pp.1584-1590

보기
2008년 우리나라 연근해산 어류에 대한 병원체 모니터링 조미영, 지보영, 박경현, 이창훈, 이덕찬, 김진우, 박미선, 박명애 pp.1591-1599

보기
PCR에 의한 Nocardia seriolae의 검출 박명애, 조미영, 김명석, 김재훈, 이덕찬 pp.1600-1605

보기
Oxytetracycline을 근육 주사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약물동태학적 특성 정승희, 최동림, 김진우, 조미라, 서정수, 지보영 pp.1606-1610

보기
In vivo에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속 세균의 병원성 비교 권문경, 조병열, 박수일 pp.1611-1620

보기
Oxolinic acid의 경구투여, 주사 및 약욕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정승희, 최동림, 김진우, 조미라, 지보영, 서정수 pp.1621-1631

보기
하절기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대량폐사에 관한 고찰 최혜승, 명정인, 박명애, 조미영 pp.1632-1639

보기
남해지역 자연산 해산어의 Trichodina 감염 현황 박명애, 김호열, 최희정, 지보영, 조미영, 이덕찬 pp.1640-1643

보기
무지개송어와 산천어의 백점충에 대한 감수성 김이청, 김진도, 지보영, 정승희, 서정수, 박성우 pp.1644-1651

보기
한국 연안에서 채집된 자연산 해산어의 아니사키스 유충 감염 최희정, 전은지, 이덕찬, 조미영, 지보영, 임영수, 박명애, 서정수 pp.1652-1661

보기
양식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및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marine birnavirus(MABV)의 phylogenetic 분석 박신후, 박명애, 조미영 pp.1662-1669

보기
Comparison of immunogenecities of three beta-nodavirus proteins, capsid protein, non-structural protein B1 and B2 in olive flounder Seung Ju Cha, Jeong Wan Do, Myoung Seok Ko, Jin Woo Kim, Jeong Woo Park pp.1670-1679

보기
배양 조건이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의 미생물학적 성상 및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 권문경, 조병열, 박명애 pp.1680-1692

보기
Streptococcus parauberis 인위 감염에 의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심장의 병리학적 변화 김진우, 조미영, 원경미, 김병관, 최희정, 한명철, 박명애 pp.1693-1702

보기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한 연쇄구균증 원인균, Streptococcus parauberis의 병원성 최희정, 조미영, 이재일, 권문경, 최동림, 김진우, 한명철, 이덕찬 pp.1703-1713

보기
Edwardsiella tarda 인위감염에 의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가계별 내성변이 김현철, 손새봄, 정종근, 이정호, 최혜승, 노재구, 박철지, 민병화, 김종현, 김경길 [외] pp.1714-1721

보기
배합사료 및 습사료 투여가 양식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건강도에 미치는 영향 조미영, 오윤경, 박신후, 이해영, 강용진, 박명애 pp.1722-1730

보기
저염분 자극에 의한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의 생리학적 변화 좌민석, 강경필, 최미경, 여인규 pp.1731-1741

보기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 투여된 Edwardsiella tarda와 Streptococcus iniae에 대한 혼합백신의 예방효과와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명석, 김경덕, 김강웅, 박명애, 김진우 pp.1742-1749

보기
Expressed sequence tags analysis of immune-relevant genes in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peripheral leukocytes stimulated with LPS Jeong-Ho Lee, Jae Koo Noh, Hyun Chul Kim, Choul-Ji Park, Byung Hwa Min, Sang Jun Choi, Jeong-In Myeong, Hyung Jun Park, Chan-Il Park pp.1750-1763

보기
오매, Prunus mume 추출물 투여에 따른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면역 반응과 성장 김진도, 김이청, 김광석, 우승호, 박성우 pp.1764-1771

보기
An EST-based approach for identifying genes expressed in the gill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eong-Ho Lee, Jae Koo Noh, Hyun Chul Kim, Choul-Ji Park, Byung Hwa Min, Young-Ok Kim, Jong-Hyun Kim, Kyung-Kil Kim, Woo-Jin Kim, Jeong-In Myeong pp.1772-1778

보기
소하은어의 병소로부터 Flavobcterium succinicans의 분리 및 동정 이창훈, 김필연, 임봉수, 오덕철, 강봉조 pp.1779-1784

보기
Genetic relationships of four korean oysters based on RAPD and nuclear rDNA its sequence analyses Woo-Jin Kim, Jeong-Ho Lee, Kyung-Kil Kim, Young-Ok Kim, Bo-Hye Nam, Hee Jeong Kong, Hyun Taek Jung pp.1785-1793

보기
A report on the mass mortality of the farmed japanes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on the Korean coasts of the East Sea(sea of Japan) Q-Tae Jo, Su-Kyoung Kim, Chu, Lee, Mohammad M. Rahman, Chae-Sung Lee, Bong-Se Oh pp.1794-1797

보기
조석의 침투류에 의한 패류 유생의 착저 (着底) 효과에 관한 기초적 연구 백상호, 박광재, 박영제, 전제천, 조기채, 김이운 pp.1798-1804

보기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키조개, Atrina pectinata의 성장 및 성숙 유도 문태석, 조필규, 김병학, 박기열, 구학동, 신윤경, 임영섭 pp.1805-1812

보기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LAMARCK) 어미의 사육수온에 따른 성 성숙 유도 김병학, 문태석, 박기열, 진영국, 신윤경 pp.1813-1819

보기
독도연안에 서식하는 전복의 유전학적 특성 박철지, 이정호, 노재구, 김현철, 민병화, 명정인 pp.1820-1824

보기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 방류지역의 민들조개 개체군 분포 분석 이주, 이채성, 김수경, 김완기, 조규태 pp.1825-1832

보기
붉은멍게 Halocynthia aurantium 발생에 관한 수온 및 염분의 영향 , 박민우 이주, 이채성, 김수경, 김완기 pp.1833-1841

보기
원유의 WSF(Water Soluble Fraction)가 넙치, Paralicthys olivaceus의 초기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신윤경, 조기채, 장덕종, 진영국 pp.1842-1848

보기
해수 및 담수사육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의 산소소비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정민환, 변순규, 임한규, 민병화, 김영수, 장영진 pp.1849-1855

보기
인공사육에 의한 멸종위기종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성장과 성성숙 특성 양상근, 강언종, 김광석, 방인철 pp.1856-1861

보기
Insecticidal and repellent activities of crude saponin from the starfish asterias amurensis Hee Yeon Park, Ji Young Kim, Hyun Ju Kim, Geon Hwi Lee, Jin Il Park, Chi Won Lim, Yeon Kye Kim, Ho Dong Yoon pp.1862-1866

보기
EST-based identification of genes expressed in the brain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eong-Ho Lee, Jae Koo Noh, Hyun Chul Kim, Chul-Ji Park, Byung Hwa Min, Young-Ok Kim, Jong-Hyun Kim, Kyung-Kil Kim, Woo-Jin Kim, Jeong-In Myeong pp.1867-1873

보기
Molecular expression of opsin gene in growing juvenile mackerel(scomber japonicus houttuyn) Eung-Oh Kim, Seong-Jong Yoon, Kyoung-Hyun Park, Dae-Hyun Kim, Jeung-Wan Do, Eun-Seob Cho pp.1874-1879

보기
Genetic responses of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to environmental shock : high temperatures and long exposure times Eun Seob Cho, Choon Goon Jung, Yun Kyung Shin pp.1880-188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