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 동학(사상)과 농민전쟁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배항섭 1
머리말 1
1. 동학사상=지도이념론 4
2. 종교적 외피론 9
3. 유기적 관련론 16
4. 단절론 25
맺음말 33
참고문헌 37
〈Abstract〉 41
This article intended to explore a fresh understanding after having an intensive review on the various view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onhak and Peasant War that has been an important issue among researches regarding Dong’ hak Peasant War. The relationship between Donhak and Donhak Peasant War is one of the core issues concerning the historical meaning or characteristics of the Donhak Peasant War. Therefore, the study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as been accumulated by many scholars.
The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Donhak Idea and Donhak Peasant War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positions. ① Donhak Idea = Guiding Ideology: an understanding that Donhak Idea is the Guiding Ideology of Peasant War or Donhak Idea itself is the ideology base of Peasant War. ② Religious outer skin theory or organic relation theory: The position that Peasantry War was not possible if there was no organization of Donghak Idea under the background of that era accepted religious outer skin theory raised in the 「The German Peasant War」by Engels.(religious outer skin theory) or the opinion that although the religious theory of Donghak didn't become the guiding principle of Peasant War as it is, but has inner relationship through newly translated Donghak.(organic relationship theory). ③ Disconnection theory: Being the position that none relationship exist between Donghak Idea and Peasant War, but only an organization was provided by Donghak, and Peasant War was broken due to increased awareness of farmers and as well as innovation principle or teachings by Jeon Bong-joon.
Those views have their own arguments but has limitation as well to its respective view. To go beyond the research so far, a fresh approach is requested to the Donghak Peasant War. Above all, the people's movement shouldn't be approached based on Priori understanding of history but be analyzed inner perception of people indicated from its development process or terms desired.
Through which a specific approach should be made in which world those people had a living, how they responded upon faced with violent changes came from the port opening or invasion & exploitations of foreign powers, and what kind of changes were exposed under such process. There could be hidden weapons in it capable to reflect modern period overcome hardship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일본의 초기 제국주의론과 도덕 담론 : 국가적 도덕과 세계적 도덕, 또는 국민적 입장과 인류적 입장 | 권석영 | pp.1-29 |
|
보기 |
政體와 文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언어정치학과 趙素昻 : 漢文字의 盟誓, 조소앙의 선언·성명·강령 집필과『韓國文苑』을 중심으로 | 황호덕 | pp.31-67 |
|
보기 |
한국 사회주의운동의 전환, 레닌을 어떻게 보았는가 : 변혁적 활동가들의 러시아혁명 인식의 과거와 현재 | 황동하 | pp.69-106 |
|
보기 |
「청주운천동사적비」의 건립 시기에 대한 재검토 | 윤경진 | pp.107-140 |
|
보기 |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 동학(사상)과 농민전쟁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배항섭 | pp.141-182 |
|
보기 |
한일회담(1951~65)과 재일조선인의 국적 문제 : 국적선택론에서 귀화론으로 | 이성 | pp.183-225 |
|
보기 |
탈냉전시대 한중일 3국의 미래전략과 역사논쟁 | 이신철 | pp.227-258 |
|
보기 |
이상적이 교유한 청대 문인들의 사회 문화적 정체성 | 정혜린 | pp.259-290 |
|
보기 |
가마쿠라 후기 천황가의 분열과 공가 사회 : 히노가(日野家)와 양황통(兩皇統)의 관계를 중심으로 | 신미나 | pp.291-314 |
|
보기 |
생시몽(Saint-Simon) 그리고 동양 : '정신 진보'의 거대서사와 동양의 부재 | 양재혁 | pp.315-34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구 지음, 도진순 주해, 백범일지 (서울, 돌베개, 2004). | 미소장 |
2 | 東學農民戰爭史料叢書 1, 2, 7, 9, 사운연구소, 1996. | 미소장 |
3 | 東學亂記錄 上(국사편찬위원회, 1959). | 미소장 |
4 | 동학사상자료집 1, 2(아세아문화사, 1979). | 미소장 |
5 |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 6(국사편찬위원회, 1986, 1989). | 미소장 |
6 | 捕盜廳謄錄 下(서울, 보경문화사). | 미소장 |
7 | 한국민중운동사자료대계: 1894년의 농민전쟁편 1(여강출판사, 1986). | 미소장 |
8 | 강재언, 한국근대사연구 (서울, 한울, 1982). | 미소장 |
9 | 김상기, 동학과 동학란 (서울, 한국일보사, 1975). | 미소장 |
10 | 김영작, 한말 내셔널리즘 연구 (서울, 청계연구소, 1989). | 미소장 |
11 | 동학농민혁명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편, 동학농민전쟁연구자료집(1) (서울, 여강출판사, 1991). | 미소장 |
12 |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편, 동학농민혁명과 사회변동 (서울, 한울, 1993). | 미소장 |
13 | 동학학회 편저, 동학, 운동인가 혁명인가 (서울, 신서원, 2002). | 미소장 |
14 | 미쉘 보벨, 안치홍 외, 프랑스혁명과 한국 (서울, 일월서각, 1991). | 미소장 |
15 | 박맹수, 개벽의 꿈 (서울, 모시는 사람들, 20110). | 미소장 |
16 | 에릭 홉스봄 지음, 김동택 외 옮김, 「농민과 정치」, 저항과 반역 그리고재즈 (서울, 영림카디널, 2003). | 미소장 |
17 | 역사학연구소 1894년 농민전쟁연구분과 엮음, 농민전쟁 100년의 인식과쟁점 (서울, 거름, 1994). | 미소장 |
18 | 전석담 지음, 민중조선사 (서울, 범우문고, 1989 재간행본). | 미소장 |
19 | 전석담, 朝鮮經濟史 (서울, 박문출판사, 1949). | 미소장 |
20 | 정용욱 외, 남북한 역사인식 비교강의 (서울, 일송정, 1989). | 미소장 |
21 | 조경달 지음, 박맹수 옮김, 이단의 민중반란 (서울, 역사비평사, 2008). | 미소장 |
22 | 조너선 D. 스펜스 지음, 양휘웅 옮김, 신의 아들 : 홍수전과 태평천국 (서울, 이산, 2006). | 미소장 |
23 | K. 만하임 지음, 임석진 옮김,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 (서울, 청아, 1991). | 미소장 |
24 | 칼 하인리히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 석탑편집부 편역, 맑스-엥겔스선집 (서울, 석탑, 1990). | 미소장 |
25 |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음, 허교진 옮김, 독일혁명사 2부작 (서울, 소나무, 1988). | 미소장 |
26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 갑오농민혁명의 쟁점 (서울, 집문당, 1994). | 미소장 |
27 | 한국역사연구회 편,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4(서울, 역사비평사, 1993, 1995). | 미소장 |
28 |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 3 (서울, 풀빛, 1995). | 미소장 |
29 | 瀨原義生, ドイツ中世農民史の硏究 (東京, 未來社, 1988). | 미소장 |
30 | 鶴卷孝雄, 近代化と傳統的民衆世界 (東京, 東京大出版會, 1991). | 미소장 |
31 | 深谷克己 編, 世界史のなかの民衆運動 (東京, 靑木書店, 2000). | 미소장 |
32 | 대중 유교로서의 동학 : '유교적 근대성'의 관점에서 | 소장 |
33 | 김용덕, 「동학사상연구」, 중앙대학교논문집 9, 1964. | 미소장 |
34 | 東學亂硏究論 ![]() |
미소장 |
35 | 全琫準供卓의 分析 | 소장 |
36 | 동학 혁명의 문화사적 의미 | 소장 |
37 | 朴孟洙, 「崔時亨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박사학위논문, 1995. | 미소장 |
38 | '동학농민전쟁',어떤 사회를 만들려고 했나 | 소장 |
39 | 배항섭, 「제1차 동학농민전쟁 시기 농민군의 진격로와 활동 양상」, 동학연구 11, 2000. | 미소장 |
40 | 1894년 동학농민전쟁에 나타난 토지개혁 구상 ![]() |
미소장 |
41 | People`s perception of things during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into the modern era`: Beyond acknowledging the conflict between `aspiring for Modernity` and `opposing modernity` ―Examination of the people`s perception of issues, like land ownership rig | 소장 |
42 | Changes of the Ruling order and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ulture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course of the Common people's desire for Benevolent rule- | 소장 |
43 | 안병욱, 「갑오농민전쟁의 성격과 연구현황」, 역사문제연구소 편, 한국근현대 연구입문 (서울, 역사비평사, 1988). | 미소장 |
44 | 갑오 농민 전쟁과 동학 | 소장 |
45 |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on donghak peasant movement by marxist historians in the late 1940`s | 소장 |
46 | 유영익, 「전봉준 의거론」,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서울, 일조각, 1994). | 미소장 |
47 | 유영익, 「갑오농민봉기의 보수적 성격」, 갑오농민혁명의 쟁점 (서울, 집문당, 1994). | 미소장 |
48 | 윤사순, 「동학의 유교적 측면」,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동학사상의 새로운 조명 , 1998. | 미소장 |
49 | 李敦化, 「甲午東學과 階級意識」, 開闢 68, 1926년 4월. | 미소장 |
50 | 동학과 농민전쟁 연구의 원형:「東學과 東學亂」,김상기 著 <書評> | 소장 |
51 | 이청원, 「갑오농민전쟁의 성격과 그 력사적 의의」, 력사제문제 3, 1947. | 미소장 |
52 | 정창렬, 「동학과 농민전쟁」, 한국사연구회 편, 한국사연구입문 (서울, 지식산업사, 1981). | 미소장 |
53 | 정창렬, 「동학과 동학란」, 이가원 외 편, 한국학연구입문 (서울, 지식산업사, 1981). | 미소장 |
54 | 정창렬, 「갑오농민전쟁과 갑오개혁」, 한국사연구회 편, 한국사연구입문 2판 (서울, 지식산업사, 1987). | 미소장 |
55 | 정창렬, 「갑오농민전쟁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미소장 |
56 | 조혜인, 「동학과 주자학 : 유교적 종교개혁의 맥락」, 사회와 역사 제17권, 1990. | 미소장 |
57 | 崔承熙, 「書院(儒林)勢力의 東學 排斥運動 小考」, 韓㳓劤博士停年紀念史學 論叢 , 1971. | 미소장 |
58 | 한우근, 「동학사상의 본질」, 인문과학 22, 1969. | 미소장 |
59 | Essential Thought of Tong-Hak Thought ![]() |
미소장 |
60 | 東學의 리더쉽 | 소장 |
61 | 한우근, 「동학과 동학란」, 한국학입문 (서울, 학술원, 1983). | 미소장 |
62 | ’Old law’ and ‘divine law’ in the German peasant war ![]() |
미소장 |
63 | 前間良爾, 「ドイツ農民戰爭」, 中世の農民運動 (東京, 學生社, 1975). | 미소장 |
64 | 趙景達, 「甲午農民戰爭の指導者=全琫準の硏究」, 朝鮮史叢 7, 198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