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서울시 동작대교의 公共 空間化에 관한 연구 / 장기윤 1
[Title] 1
(요약) 2
(Abstract) 2
1. 서론 3
1-1. 연구의 배경 3
1-2. 연구의 목적 3
1-3. 연구의 방법과 내용 3
2. 동작대교와 공공 공간화 3
2-1. 공공 공간화의 전제 3
2-2. 동작대교 분석 4
2-3. 동작대교와 환경인자 6
2-4. 공공 공간화와 공간 프로그래밍 8
3. 결론 10
참고문헌 1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 정다현, 한강공원특화사업 프로그램의 이용 후 평가연구 : 여의도 권역과 반포 권역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2013. | 미소장 |
2 | ∙ 정석희 외, “도시수변공간의 이용특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강변공간개발 과제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보고서 2002. | 미소장 |
3 | ∙ 송경섭, "한강의 waterfront 개발에 관한 연구_한강 르네상스 계획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 미소장 |
4 | ∙ 김승회, “공공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대학교, 2011. | 미소장 |
5 | ∙ 김선영, “공공 공간으로 본 도시형 오픈 스페이스와 광장 디자인“, 인천 가톨릭 대학교, 2009. | 미소장 |
6 | ∙ 이영민, 한강의 동작대교와 반포대교 구간과 그일대를 중심으로 녹지와 공공영역의 리좀적 네트워크 형성에 대하여,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6. | 미소장 |
7 | 한강 시민 공원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에 관한 고찰 | 소장 |
8 | ∙ 강욱, “현대도시에서의 공공성 및 공공 영역의 재해석을 통한 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 현대 도시에서 확장된 의미로서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3. | 미소장 |
9 | ∙ 이은비, “도시건축공간을 통한 도시건축 공공성 확보 방안”, 서울대학교, 1998. | 미소장 |
10 | ∙ 김준희, “도시공간과 노점상의 권리 연구 : 1980년대 노점상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 미소장 |
11 | A Psychoanalytical Comment on the Lefébvre’s Theory of the Space and the Urban Space focused on his Production of Space | 소장 |
12 | ∙ 박영민, “르페브르의 실천전력과 사회 공간”, 공간과 사회 통권 9호, 1997. | 미소장 |
13 | Study on Perception of Journalism on Space Shown in the Reports Related to Stall Vendors | 소장 |
14 | ∙ 김희석, “거리환경 개선을 위한 노점관리 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 미소장 |
15 | ∙ 임충신, “물의 향천적 흐름: 건축적 이미지”, 대한건축학회지 36호, 199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