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서울시 동작대교의 公共 空間化에 관한 연구 / 장기윤 1

[Title] 1

(요약) 2

(Abstract) 2

1. 서론 3

1-1. 연구의 배경 3

1-2. 연구의 목적 3

1-3. 연구의 방법과 내용 3

2. 동작대교와 공공 공간화 3

2-1. 공공 공간화의 전제 3

2-2. 동작대교 분석 4

2-3. 동작대교와 환경인자 6

2-4. 공공 공간화와 공간 프로그래밍 8

3. 결론 10

참고문헌 10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융합이 시대의 흐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연구 대상지인 동작대교가 지니고 있는 자연과학적 접근에서 나타나는 환경 인자를 근간으로 하여, 분석된 환경 인자 데이터를 디자인과 어떻게 융합할 수 있는 가에 대한 디자인 가능성과 제안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江의 환경 인자 중 특히 비물리적 인자의 하나인 流速을 중심으로 이의 분석결과를 동작대교의 공공 공간화에 관한 연구에 있어 기본적인 공간 배치와 제반 디자인에 대한 주 영향요소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직관과 감각에 의한 디자인과 구별되는 자연과학과의 융합을 통한 디자인 연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로서 동작대교를 선정한 이유는, 한강에 존재하는 수많은 교량 가운데 동작대교가 서울에 있는 27개 교량 중 물리적 위치 측면에서 14번째, 환언하면 상대적 거리 관점에서 서울의 중심에 위치하는 교량이므로 이는 공공의 입장에서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더라도 중립적인 위치 특성을 지닌다고 여길 수 있는 바 본 연구 제목에 나타나는 공공관점에서 선정대상의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동시에 이용자의 접근에 있어 대중교통 수단의 적극적인 활용 또한 공공관점에서 중요하므로 교량이면서 지하철이 동시에 통과하는 몇 안 되는 교량 중 하나인 동작대교는 다양한 측면에서 교량에 대한 공공 공간화 연구사례로서 잠재력이 크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므로 교량의 공공공간화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첫째, 교량의 위치적 중립성에 대한 분석과 아울러 대중교통 수단 중 특히 지하철에 의해 연결되는 공공의 접근성을 연구하였다. 둘째, 流速을 중심으로 하는 환경 인자에 대한 분석 내용을 공간배치와 디자인에 반영한 연구 내용을 기술하고 마지막으로 지역 간 단순 연결 및 통과형 교통 공간에 머물러 왔던 동작대교에서 체류형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가 되기 위한 필수요소로서 공간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동작대교의 공공 공간화에 관한 종합적 연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The convergence has recently become a stream of tim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nverging a design of Dongjakbridge with the analyzed data of the environmental factor of the bridge through the natural scientific approach. Our research approach is performed not by intuition or sense, but by using the natural science. That is, we utilize analyzed data of the velocity of the river, which is environmental and a non-physical factor, as a main factor of the basic space arrangement design. Dongjakbridge was selected for the research topic due to its locational neutrality. Specifically, the bridge is 14th among 27 bridges in Seoul and located in the middle of Seoul in terms of relative distance. Therefore, it can be accessed from any direction. Additionally, Dongjak bride has become accepted as a great potential place for an example of public spatialization becaus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 is important from a public view point. This bridge is one of only a few bridges that serve as a vehicular bridge as well as a subway passage. Therefore, to make the bridge spatialization; first, the analysis of its positional neutrality and also public subway accessibility is studied. Second, using analyzed results of environmental factors focusing on the river velocity, the space arrangement and design is mentioned. Lastly, a space program which has the ability to alter the role of the bridge from a simple connection or transport passage to a stay-type public place is studied. Therefore,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public spatialization of Dongjakbridge is perform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critical analysis of the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Lee, Kang Jin pp.1-10

보기
Designing energy-saving products : evaluation of eco-feedback designs Chang, Hanna Hawon pp.11-19

보기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a critical analysis of the CRM implementation process in UK arts organization Lee, Kang Jin pp.21-34

보기
Virtual camera movement bring the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action video games for the player : analysis on cutscenes in resident evil 2 and resident evil 6 as an example Ruan, Xiaoyin, Cho, Dongmin pp.35-44

보기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ultural practice Lee, Kang Jin pp.45-51

보기
Design approaches to virtual architecture in a digital design studio Kim, Mi Jeong, Lee, Ju Hyun, Cho, Myung Eun pp.53-61

보기
Media technologies and everyday life Lee, Kang Jin pp.63-68

보기
명품패션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의 추구혜택이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북경 소비자를 중심으로 채은주, 김숙진 pp.69-78

보기
성폭력 외상 후 스트레스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의 메타 문헌분석 이승희, 현은령 pp.79-90

보기
모바일 게임의 목표달성 방식과 이용자 선호도 : 「카카오게임」분석을 중심으로 김종무, 강내원 pp.91-99

보기
수제화 제작을 위한 3차원 족형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대한 연구 오혁근, 김홍규, 이지희 pp.101-109

보기
해석학적 차원에서의 디자인 함축성 변화에 대한 비교 고찰 : Angelika Jahr의 디자인사적 프레임(Top Design des 20. Jahrhundert)을 중심으로 최성운 pp.111-120

보기
LED무대세트 모션그래픽 입체 공간감 표현연구 : 우리나라 지상파방송 3사 TV 음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오호준 pp.121-131

보기
재해대피소 내 이재민 프라이버시 확보 수단으로서의 파티션 구조물에 관한 사례연구 이호숭 pp.133-143

보기
블로그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민간 및 공공 정보의 사례 비교 손상희 pp.145-155

보기
전통시장의 기능성 및 사용성 증대를 위한 방문객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연구 : 충청북도 12개 시, 군의 전통시장 지도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아, 송연호, 장효민 pp.157-167

보기
노자미학 관점에서 통시적 미니멀리즘 디자인의 기원 박문형 pp.169-179

보기
도시 외부로 확장된 현대미술 전시공간의 유형 및 사례연구 이하나, 서주환, 여화선 pp.181-191

보기
태블릿 PC 환경에서 시니어 세대의 색채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미경, 박진완 pp.193-202

보기
사용편의성 향상을 위한 선풍기 디자인 연구 : 콘셉트 디자인을 중심으로 황정행 pp.203-212

보기
터치 인터랙션을 채용한 현장진단기기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 멀티채널 카트리지 Cardiac Biomarker를 중심으로 정의태, 연명흠 pp.213-222

보기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메트로 희망나눔 직거래 장터를 중심으로 이혜민, 김승인, 오선우, 김예슬 pp.223-233

보기
영상의 몽타주에 형성된 리듬구조 특성 : 영화 <Delicatessen>을 중심으로 최승원, 박상현 pp.235-244

보기
도시광산산업 활성화를 위한 가전제품 수거와 처리시스템 제안 : 서비스디자인 방법론 중심으로 배장은, 권상경, 백승아, 김승인 pp.245-254

보기
창의적 사고 함양을 위한 교과서 편집디자인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임헌혁, 최재혁 pp.255-268

보기
TV정치광고의 이미지 전략과 영상의미작용에 관한 사례 연구 : 제18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를 중심으로 강소영, 김도식 pp.269-279

보기
수요자 중심 진료를 위한 지역기반 의료유통서비스시스템 모델구축방법에 대한 연구 정주연, 정지우 pp.281-290

보기
CADY 웹사이트 건강정보의 디자인 개선 연구 연명흠, 안지영, 정의태 pp.291-300

보기
수요 및 선호도조사에 따른 농산물 포장디자인 개발 전략 연구 김은정, 서주환 pp.301-310

보기
캐릭터 피규어와 제작 프로세스에 대한 고찰 김준수 pp.311-320

보기
시대변화에 따른 디자인 영역 확대에 대한 소고 : 보이지 않는 영역을 중심으로 신동재, 김희현 pp.321-329

보기
디지털 만화의 내추럴 인터페이스 모델 : 손 제스처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백수희, 김치훈 pp.331-340

보기
도시원예를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연구 :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강선미, 김승인, 신슬기, 임은지, 윤원경 pp.341-350

보기
기업 아이덴티티(Corporate Identity : CI)와 제품 사용자의 기업 선호도와의 관계 연구 : 가전제품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김영석 pp.351-362

보기
여대생의 유사(me-too) 화장품 브랜드 사용 특성과 브랜드 이미지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정아, 한귀자 pp.363-370

보기
유아동의 기본 생활 습관 주도성 향상을 위한 동화의 효율적 모바일 앱 디자인에 관한 고찰 길시은, 최유주, 전지윤 pp.371-381

보기
서울시 동작대교의 公共 空間化에 관한 연구 장기윤 pp.383-392

보기
경관정보에 기반한 농어촌 환경색채 연구 : 경기도 이천시를 중심으로 여화선, 서주환, 이지은 pp.393-402

보기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에서의 참여유형 카테고리 제안 이지혜, 김종덕 pp.403-412

보기
장면 구조를 이용한 2D-3D 영상 변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명하, 홍현기 pp.413-422

보기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Visual Merchandising(VMD) 디자인 구현 사례 및 분석 김경선, 전지윤 pp.423-432

보기
소셜 커머스 환경에서 사용자 특성 이해를 위한 유저다이어리 연구 이동민 pp.433-442

보기
벽지디자인 제품에 반영된 트렌드 연구 : 'Heimtextil 2013/14' 트렌드를 중심으로 엄경희, 표재연 pp.443-451

보기
디지털 물을 이용한 퍼포먼스의 안무 및 공연 기법에 관한 연구 김주섭 pp.453-462

보기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서울시 보행 활성화 방안 연구 : '피맛골 테마거리'를 중심으로 한혜정, 장성희, 김승인 pp.463-473

보기
디자인경영 확립을 위한 서비스디자인과 KPI의 디자인컨설팅 구조 체계 정광호, 박문형 pp.475-484

보기
사용자 경험(UX)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암환자를 위한 PHR(Personal Health Record)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이종선, 구만재 pp.485-494

보기
전통 중국 가구(家具) 디자인의 현대화 : 디자인의 중국화를 중심으로 이상옥 pp.495-504

보기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사이코패스 캐릭터 분석 최승락, 김현기 pp.505-516

보기
피지컬 컴퓨팅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 김현조 pp.517-530

보기
인터넷 기사의 맥락과 광고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 주목도와 광고태도에 관한 연구 김성윤 pp.531-541

보기
해양디자인을 위한 기술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최진식, 박억철 pp.543-552

보기
공공장소에서 관람자 인터랙티브 3D 프로젝션 매핑 디자인 장승은, 김상욱 pp.553-558

보기
서비스스케이프 내 경험 레벨에 따른 서비스 경험 모델링 기법 개발에 대한 연구 : 서비스 공간에서의 사용자 경험 시각화를 중심으로 고소연, 박남춘 pp.559-572

보기
최적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실시간 심건강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설계 및 UI 디자인 조진수, 김태완 pp.573-580

보기
영화 <아바타>와 <트론>에 표현된 파란색과 세계관 김경애 pp.581-589

보기
MAKINORI의 표현효과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최임정, 임혜숙 pp.591-601

보기
대학교 디자인전공 영어수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법 연구 : 산업디자인전공 영어전용강좌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문찬, 전영순 pp.603-612

보기
중소기업의 디자인 경영을 위한 토털 임팩트 디자인의 제안 박용원 pp.613-624

보기
디지털 라이프 패러다임을 적용한 그래픽디자인 개발 김세웅, 김병완 pp.625-634

보기
텍스타일 제품에 나타난 리디자인 사례연구 엄경희, 김국원 pp.635-645

보기
지속가능한 청소년 봉사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제안 :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활용을 중심으로 박다혜, 권현우, 김민정, 김승인 pp.647-655

보기
실시간 동작인식 및 렌더링 기술을 이용한 체감형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김명하, 홍현기 pp.657-665

보기
LED를 이용한 체적형 3D 디스플레이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램프-에코루미나리 사례를 중심으로 김주섭, 이중재 pp.667-676

보기
글로벌 자동차브랜드 시트커버 디자인 사례 연구 엄경희, 김형주 pp.677-686

보기
몰입형 게임화에 따른 효과적 체험마케팅 연구 : 번트 슈미트(Bernd Schmitt)의 5가지 전략적 체험모듈을 중심으로 강아영, 김희현 pp.687-695

보기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 정다현, 한강공원특화사업 프로그램의 이용 후 평가연구 : 여의도 권역과 반포 권역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2013. 미소장
2 ∙ 정석희 외, “도시수변공간의 이용특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강변공간개발 과제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보고서 2002. 미소장
3 ∙ 송경섭, "한강의 waterfront 개발에 관한 연구_한강 르네상스 계획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미소장
4 ∙ 김승회, “공공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대학교, 2011. 미소장
5 ∙ 김선영, “공공 공간으로 본 도시형 오픈 스페이스와 광장 디자인“, 인천 가톨릭 대학교, 2009. 미소장
6 ∙ 이영민, 한강의 동작대교와 반포대교 구간과 그일대를 중심으로 녹지와 공공영역의 리좀적 네트워크 형성에 대하여,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6. 미소장
7 한강 시민 공원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에 관한 고찰 소장
8 ∙ 강욱, “현대도시에서의 공공성 및 공공 영역의 재해석을 통한 디자인 접근에 관한 연구 : 현대 도시에서 확장된 의미로서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3. 미소장
9 ∙ 이은비, “도시건축공간을 통한 도시건축 공공성 확보 방안”, 서울대학교, 1998. 미소장
10 ∙ 김준희, “도시공간과 노점상의 권리 연구 : 1980년대 노점상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미소장
11 A Psychoanalytical Comment on the Lefébvre’s Theory of the Space and the Urban Space focused on his Production of Space 소장
12 ∙ 박영민, “르페브르의 실천전력과 사회 공간”, 공간과 사회 통권 9호, 1997. 미소장
13 Study on Perception of Journalism on Space Shown in the Reports Related to Stall Vendors 소장
14 ∙ 김희석, “거리환경 개선을 위한 노점관리 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미소장
15 ∙ 임충신, “물의 향천적 흐름: 건축적 이미지”, 대한건축학회지 36호, 199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