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Purpose: Serum creatinine is a late marker of acute kidney injury (AKI). We assessed the diagnostic value of plasma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for predicting acute kidney injury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with sepsis.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adult sepsis patients. Plasma NGAL levels were measured upon admission to the hospital, and clinical data and serum creatinine were collected daily during the hospital stay. The primary outcome measure was the occurrence of AKI based on criteria from the Acute Kidney Injury Network (AKIN). Results: A total of 178 patients were included, with 13 patients (7.3%) that developed AKI during their hospital stay; 9 and 4 were classified as AKIN stage 1 and 2, respectively. Six patients out of the 13 with AKI died. Mean plasma NGAL levels were 277 ng/mL in patients without AKI and 852 ng/mL in patients with AKI.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0.883 (95% confidence interval 0.803 to 0.964), the sensitivity was 91.7%, and the specificity was 80.5% for the prediction of AKI (using a cut-off value of 353.5 ng/mL). Conclusion: Plasma NGAL is a useful early marker that predicts the development of AKI in adult sepsis patients.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병원간 전원에 대한 부산지역 응급실 의사들의 입장 | 조석주, 황성연, 이준호, 김형회, 이성화, 박맹렬, 박순창 | pp.131-141 |
|
|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서 뇌출혈 유무에 따른 특징 및 예후 차이 분석 : 후향적 분석 | 장연식, 임용수, 조진성, 김진주, 현성열, 양혁준, 이근 | pp.142-148 |
|
|
A comparison of compression rates on the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Young Hoon Hong, Chong Kun Hong, Kyoung Yul Lee, Han Ho Jeong, Jung Hyun Kim, Yong Hwan Kim, Jun Ho Lee, Kwang Won Cho, Seong Youn Hwang | pp.149-156 |
|
|
패혈증 환자의 급성 신손상 발생 예측에 있어 혈장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측정의 유용성 | 이제엽, 김진용, 박상오, 이경룡, 백광제, 홍대영 | pp.157-163 |
|
|
일산화탄소 중독에서 지연성 합병증 예측에 대한 자기공명영상의 효과 | 최익준, 오용해, 김갑득 | pp.164-173 |
|
|
응급실 소아 손상 환자의 중증도 예측을 위한 PRISM Ⅲ의 유용성 | 이상훈, 박경혜, 박득현, 조준호, 박하영, 권인호, 여운형, 이준엽, 김양원 | pp.174-180 |
|
|
응급진료센터에 내원한 지역획득 폐렴 환자에서 델타뉴트로필을 이용한 패혈성 쇼크 발생 예측의 유용성 | 주영선, 이누가, 김현종, 유제성, 정현수, 정성필, 이한식, 이종욱 | pp.181-187 |
|
|
Indoxacarb 살충제 중독 환자의 임상양상 | 정상민, 이경우, 강태신 | pp.188-198 |
|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for a layperson through conventional instructor-led training and a self-learning program using the CPR anytime kit | Soo Hoon Lee, Kyuseok Kim, Jae Hyuk Lee, Taeyun Kim, Changwoo Kang, Chanjong Park, Joonghee Kim, You Hwan Jo, Joong Eui Rhee, Dong Hoon Kim | pp.199-208 |
|
|
일차반응자의 기본 소생술 교육에 따른 질 측정 변수의 분석 | 문준동, 최성혁 | pp.209-215 |
|
|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rough role play and direct observation | Hyun Soo Chung, Barry Issenberg, Je Sung You, Junho Cho, Min Joung Kim, In Cheol Park, Hahn Shick Lee, Sung Phil Chung | pp.216-223 |
|
|
소아 대변막힘 환자의 복부 단순영상에서 대변량 평가 방법 비교 | 최정호, 곽영호, 김도균, 이진희, 정진희, 김한범, 정재윤, 서동범, 천정은, 최영훈 | pp.224-229 |
|
|
복어 섭취 후 발생한 요붕증의 치료 경험 | 위대한 | pp.230-235 |
|
|
Lemierre 증후군 1례 | 김용인, 한상균, 박성욱, 민문기, 박맹렬 | pp.236-240 |
|
|
Meralgia Paresthetica를 아십니까? | 김건배, 권인호, 박원녕, 구홍두 | pp.241-245 |
|
|
고래회충감염으로 발생된 소장폐색 및 천공 1예 | 윤대흥, 이희봉, 선경훈, 조수형 | pp.246-249 |
|
|
Methemglobinemia from antifreeze containing sodium nitrite | Gang Wook Lee, Yong Jin Park, Sun Pyo Kim, Seong Jung Kim, Soo Hyung Cho, Nam Soo Cho | pp.250-253 |
|
|
질산(Nitric Acid) 증기 흡입 후 위장장애를 동반한 화학성 폐렴 1예 | 이지한, 황정인, 한규홍, 민진홍, 박정수, 김훈, 이석우, 안진영, 강준호 | pp.254-257 |
|
|
카페인 경구제제를 과량 복용한 후 발생한 심실성 이단연맥(bigeminy) 1예 | 이상진, 김성은, 김찬웅, 이동훈 | pp.258-262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