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시험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초기 성적을 조사하기위해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A와 B계통의 20주령 토종오리 168수를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시험설계는 A와 B계통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계통 당 6반복, 반복 당 14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산일령은 평균 154.6일, A와 B계통이각각 154.5일과 154.7일, 시산난중은 평균 67.3 g, 각각 69.1g과 65.5 g, 시산 시 체중은 평균 3,146 g, 각각 3,187 g과3,105 g으로 나타났다. 초산일령은 평균 173.7일, A와 B계통이 각각 175.8일과 171.5일, 초산난중은 평균 75.1 g, 각각75.2 g과 74.9 g, 초산 시 체중은 평균 3,235 g, 각각 3,245g과 3,225 g으로 나타났다. 시산일령, 시산 난중과 초산 난중, 시산 시와 초산 시의 체중은 A와 B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산일령은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빠르게 나타났다(P<0.05). 체중 및 사료섭취량은 계통 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주령별 체중은 28주령에 가장 높았으며(P<0.05), 주령별 사료섭취량은 26주령 이후로 증가하였다(P<0.05). 평균난중은 사료섭취량과 마찬가지로 A와 B계통간 차이는 없었으며, 26주령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산란율은 22~24주령에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P<0.05), 다른 주령에서는 A와 B계통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산란수는 24주령 이후 30주령까지 B계통이 A계통에 비해 높았으며(P<0.05), 주령별 산란수는 주령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사료요구율은 22~24주령에 A와 B계통이 각각 10.7과 6.53으로 A 계통이 B계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주령별 사료요구율은 20~22주령이 가장 높았으며, 22~24주령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4주령부터 30주령까지는 낮게 유지되었다. 이런 결과들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산란초기 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arly laying period of large-type Korean native ducks. One hundred sixty eight ducks were used in this work and divided into A and B strains (6 replications/strain, 14birds/replication). The days at first egg of A and B strains were the age of 154.5 and 154.7 days, egg weights were 69.1g and 65.5 g, and body weights were 3,187 g and 3,105 g at the period of laying the first egg, respectively. The days at sexual maturity of A and B strains were the age of 175.8 and 171.5 days, egg weights were 75.2 g and 74.9 g, and body weights were 3,245 g and 3,225 g at the period of laying the first egg,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day of first egg, the day of sexual maturity, egg weight and body weight at first egg and the sexual maturity, average body weight, and daily feed intake between A and B strains (P>0.05). The day of the sexual maturity of B strain was earlier than that of A strain (P<0.05). However, weekly body weight was the highest at the age of 28 weeks (P<0.05), and weekly feed intake increased after 26 weeks old (P<0.05). Egg production (%) of B strain was higher than that of A strain at the age of 22~24 week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egg production (%) the other weeks. A number of egg laid of B strain was higher than A strain at 22~24 weeks old (P<0.05). Feed conversion ratio of A and B strains were 10.7 and 6.53 at 24~24 weeks old, respectively, so feed conversion ratio of A strain was higher than that of B strain (P<0.05). Weekly feed conversion ratio wes the highest at 20~22 weeks old, and significantly decreased until 24~24 weeks old, but were lowly maintained from the age of 24 weeks to the age of 30 weeks. These results provided the basic data on the record of early laying period of large-type Korean native duck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료에 야콘 부산물을 첨가 급여한 육계의 생산성 및 닭다리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직 pp.1-9

국내 노계 운반 전용 차량에서의 살모넬라 오염율 및 차량소독에 따른 오염도 감소 효과 나덕환, 홍영호, 윤미영, 박은진, 임태현, 장준혁, 김병윤, 이동훈, 송창선 pp.11-16

토종오리 대형종 산란초기 능력 김학규, 추효준, 김종대, 허강녕, 이명지, 손보람, 강보석, 서옥석, 최희철, 홍의철 pp.17-23

한약재 추출 숙성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검증을 통한 가금 사료 내 항생제 대체 천연물질의 선발 신대근, 김기웅, 진민정, 류경선 pp.25-29

육계에서 비타민 C 및 E의 첨가 급여가 성장 능력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손시환, 조은정, 장인석, 문양수 pp.31-40

다양한 사육 밀도에서 대형 육계 암컷의 생산성과 도체 수율 나재천, 추효준, 김동운, 황보종, 김지혁, 강환구, 김민지, 최희철, 홍의철 pp.41-47

산란 주령 및 중량 규격에 따른 계란의 주요 성분 및 내부 품질 비교 이재청, 김선효, 선창완, 김창호, 정사무엘, 이준헌, 조철훈 pp.49-55

사료 내 생균 또는 사균 형태 김치 유산균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률, 장내 미생물 및 계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헌, 김상윤, 이준엽, 무사비르 아메드, 오상집 pp.57-65

Effect of housing systems : barn vs cage on the first phase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traits of laying pullet Musabbir Ahammed, Sang Jip Ohh pp.67-73

육계 사료 내 Bacteriophage의 첨가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혈액 특성, 도체 특성 및 분내 미생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 김승철, 김재원, 김정언, 김인호 pp.75-81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asso B, Bordas A, Dubos F, Morganx P, Marie-Etancelin C 2012 Feed efficiency on the laying duck: Appropriate measurements and genetic parameters. Poultry Sci 91:1065-1073. 미소장
2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미소장
3 Food and Agriculture of the United Nations 2013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production. FAOSTAT. 미소장
4 Klein-Hessling H 2007 Pekin duck breeders require special management. World’s Poult Sci J 23:14-18. 미소장
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4 Nutrient Requirements of Poultry. 9th rev e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미소장
6 Okruszek A, Ksiazkiewicz J, Woloszyn J, Kisiel T, Orkusz A, Biernat J 2006 Effect of laying period and duck origin on egg characteristics. Arch Tierz Dummerstorf 49(4): 400-410. 미소장
7 SAS 2012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Cary, NC, USA. 미소장
8 국립축산과학원 2009 국내 사육 수입종오리의 생산성 비교. 최종연구보고서. 미소장
9 김학규 강보석 황보종 김종대 허강녕 추효준 박대성 서옥석 홍의철 2012 토종오리 육용종의 생산성과 도체수율. 한국가금학회지 39(1):45-52. 미소장
10 김학규 추효준 김종대 허강녕 이명지 손보람 강보석 서옥석 최희철 홍의철 2013 토종오리 대형종 산란초기 능력. 한국가금학회지 40(1):17-23. 미소장
11 김홍래 권형주 오성택 윤정근 최영인 추연경 강보석 김학규 홍의철 강창원 안병기 2012 사료의 에너지 및 조단백질 함량이 토종오리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9(3):167-175. 미소장
12 농림부 2006 오리농법으로 생산한 유기오리 사료개발과 오리육 가공기술 개발. 최종연구보고서. 미소장
13 오리통계자료 2013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미소장
14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 국립축산과학원 농촌진흥청.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