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study catch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properity among the event and tells about basic data of the more detailed physiological dance sports by comparing the process of change in cardiopulmonary function under dancing a waltz, tango, rhumba and jive with students specialize in dance sports. We can se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following phrase.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 of each event(a waltz, tango, rhumba and jive) from first minute after dancing dance sports(P<.05).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 VO2 of each event from second minute after dancing dance sports(P<.05).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 VE, SVO2, VO2 of each event from third minute after dancing dance sports(P<.05). Four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 SVO2 ,VO2 of each event from fourth minute after dancing dance sports(P<.05). Fif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 VE, R, SVO2, VO2 of each event from fifth minute after dancing dance sports(P<.05). Six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 R, SVO2, VO2 of each event from sixth minute after dancing dance sports(P<.05). Seven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 VE, R, SVO2, VO2 of each event from seventh, eighth, nineth minute after dancing dance sports(P<.05). Eigh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 VE, SVO2, VO2 of each event from tenth minute after dancing dance sports(P<.0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포츠 팀 성적이 대학생들의 대학에 대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조경섭, 박찬호 pp.169-182

고령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체육 활동 참여 유형 조연철, 박영욱 pp.59-66

현대체육의 신경향성에 관한 고찰 김흥태 pp.3-16

댄스스포츠 참여와 결혼생활만족도의 관계 황향희, 김사엽 pp.91-104

청소년의 여가 스포츠활동 참여와 사회적 관계 연구 염두승 pp.25-30

대학생들의 여가제약이 여가태도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상호 pp.31-38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와 여가만족의 관계 김흥태, 최경호, 박종민, 전민주, 김보균, 김성철 pp.135-146

볼링 동호인들의 운동 참여동기 분석 서성미, 조병훈 pp.147-160

남·녀 고등학생의 스포츠용품 광고와 구매행동의 관계 비교 분석 나봉순 pp.161-168

중학생의 체육특기적성 프로그램 참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김정묵 pp.105-116

직장인의 스포츠활동 참가와 조직전념도의 관계 홍영우, 김정묵 pp.117-126

실버계층 스포츠 참여유형에 따른 건강 인식도 조사 최종필, 홍재승 pp.127-134

태권도의 가치 계층도에 관한 연구 : ­레더링 기법을 이용­ 전정우 pp.183-200

국내 스쿼시 운동종목 선수들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활용에 관한 연구 박성준, 곽한병 pp.221-230

KR 제시형태에 따른 표창던지기 수행성적 검토 이윤관, 손기수 pp.231-244

운동경험과 자극간 시간차가 심리적 불응기에 미치는 영향 박경규, 이강헌 pp.245-254

귀인재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이 귀인 지각에 미치는 영향 최영옥, 구봉진 pp.255-270

스포츠 워킹 캠프에 의한 청소년의 자아상 탐색 최명수 pp.321-334

스포츠 이벤트 시청권리의 보호정책에 관한 연구 : 유럽연합국가(EU)의 방송정책을 중심으로 황의룡, 오경록, 김필승 pp.201-212

유아 수영지도에 있어 칭찬과 질책에 따른 운동학습 효과 비교 연구 김민현 pp.213-220

기공수련이 양궁선수들의 경기력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박영일 pp.291-298

국내 웹-스포츠 커뮤니티 클라이언트들의 선호 참여활동 및 정보요구에 대한 조사 연구 박성준 pp.335-346

골프용품 구매자의 구전정보 의존도와 심리요인의 영향력 조현익 pp.347-360

골프장의 서비스품질 만족과 충성도, 이미지 관계유형에 관한 연구 오현승 pp.361-372

합리적 스포츠 경영 정보화를 위한 선행 과제 강준상, 서상옥 pp.373-382

스포츠 정보의 효율적 경영을 위한 전문가 프로그램 교육방안 강준상 pp.383-390

한국 해양 레저스포츠산업의 과제와 발전전략 김경호, 조연철 pp.391-400

공공 생활체육 시설의 적정인원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인 pp.421-432

중등 체육교사의 관심사가 수업탐구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종철, 조홍식 pp.433-444

과외체육활동의 내재적 목표와 실천과제 이정식, 남중웅 pp.445-458

전인교육실현을 위한 체육교육의 목표와 과제 남중웅, 이정식 pp.459-472

초등학교 체육교과 전담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이순천, 이성노, 주대섭 pp.473-486

야영장의 교육환경이 수련생의 만족과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경수, 김장환, 박진기 pp.487-496

육미지황 한방생약가미처방 복용이 유·무산소 운동후 체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강옥 pp.529-540

유아체육 지도자와 지도방법에 관한 조사 연구 김민정, 권태원 pp.497-506

VO2max로 본 수영선수의 저 수온 환경적응에 관한 연구 이천호, 최승욱, 김현경 pp.507-516

맨발 걷기운동이 비만 여중학생의 신체구성과 혈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김병로, 박종표 pp.517-528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력 수준별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특성 김재호 pp.541-548

소프트볼 훈련에 따른 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아포 지방단백질의 변화 정성국 pp.549-558

항산화제 투여와 지구성 고강도 운동이 MDA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하철수 pp.559-566

비만 어린이를 위한 운동과 식이프로그램이 신체구성 비율과 혈액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유섭 pp.567-576

남·여 운동선수들에 있어서 단기 체중감량이 신체조성과 철 성분 및 전해질을 포함한 혈액학적 변인 그리고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홍용 pp.577-588

체중감량기간에 따른 복싱 선수의 일반혈액성분 및 유·무산소 운동능력 비교연구 천길영, 오인석 pp.589-598

단시간의 전신운동이 축구선수들의 반응시간과 정신적 작업에 미치는 영향 윤공화 pp.599-606

중년여성의 월경전 증후군에 관한 연구 남윤신, 이청무 pp.607-618

단기간 트레드밀 운동에 의한 쥐 신장에서의 c-fos mRNA의 발현 김태영 pp.619-626

냉요법이 젖산 탈수소효소와 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이용진 pp.627-636

운동강도에 따른 지방연소량과 지방 연소 관련 호르몬의 변화 연구 이상현, 이용수, 이상호, 하민수 pp.637-646

내장지방과 순환기질환 위험요인과의 관계 최성근, 최승욱 pp.647-654

등속성 운동시 운동강도의 배열순서가 에너지 대사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김정주, 이재문, 육정우 pp.669-686

투기종목 선수들의 체력 및 최대 무산소 능력 특성 비교 연구 이진원 pp.687-694

에어로빅 댄스 운동이 중년여성의 체성분 및 생화학적 측정치와 혈중 leptin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경 pp.695-706

하지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근력과 균형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김효찬 pp.731-742

유산소 운동이 비만 중년 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최승철, 최철순, 최용익 pp.753-760

유산소 및 무산소 운동이 랩틴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육성수 pp.761-768

무용경력이 안진 운동 검사에 미치는 영향 곽미란, 손태열, 김태영 pp.769-778

8주간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성 트레이닝이 고령 여성의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재문, 김태영 pp.779-788

태권도 선수들의 척추만곡에 관한 연구 강명학 pp.789-798

세계 남자 프로테니스 단식경기 포인트 변인 간 상관분석 유경석, 김진욱 pp.799-808

サッカーにおけるパスに關する硏究 金根英 pp.809-816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ody Fat Nor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Ansan, Gyeonggi-Do Kwon Tae-Won pp.817-826
서킷 보디빌딩 운동이 일반 대학생의 체격과 체력요소에 미치는 영향 이형국, 신호수 pp.827-832

우수 스쿼시 선수들의 기술별 error 유형 분석 박경실, 박성준 pp.833-844

초등학교 학생들의 체육활동 중 발생되는 상해원인 실태조사 임종은 pp.859-872

여자 프로골퍼의 유산소성 파워 및 등속성 근력특성 연구 서아람, 백광현 pp.845-858

A 3D Kinematic Analysis of Movement in Golf Putting Hwang Gyu-Young pp.873-888

한국무용전공자의 적응력과 진로선택 유형의 관계 박진희 pp.889-896

무용유형별 기본동작 수행 중 호흡순환계의 반응 비교 남윤주, 김병로, 김향금 pp.897-910

무용전공별 학생과 비전공 여학생의 신체형태와 체지방률 및 체형의 비교 허정, 배임숙 pp.911-922

고등학교 일반 여학생과 무용수의 체중에 따른 식습관, 신체활동습관, 건강상태 조사 윤공화, 허만동 pp.923-932

한국무용수의 유산소성 능력 및 최대지방연소 운동강도 연구 조훈일 pp.933-

운동선수와 일반학생의 집단주의 및 개인주의 가치의식 비교연구 심성섭 pp.67-78

댄스스포츠 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 김영애, 이강헌 pp.79-90

기능수준에 따른 여자정구선수들의 정신력과 경쟁불안수준과의 관계 전준석 pp.299-308

공공체육시설의 민간위탁 평가에 대한 연구 : 체육시설 공무원을 대상으로 안민석, 이상연 pp.17-24

Group Size에 따른 게임활동 및 수행성적과 집단응집력의 관계 권순일, 김승재 pp.39-58

필드하키 선수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상황과 대처방법 심향보, 송우엽, 김효찬 pp.271-280

테니스 선수들의 기능수준에 따른 경쟁불안의 변화 이성노, 이순천, 정성윤 pp.281-290

여고생의 건강체력 평가기준 설정 정도상, 김남종 pp.707-716

제한적 댄스스포츠 수행 중 심폐기능의 변화 요인 분석 이필근, 김종혁, 김도진 pp.717-730

폐경기 여성의 지속적 운동 참여와 정신건강 변인들에 생리·심리적 변화 최재원 pp.309-320

장기간의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이 고령여성의 일상생활체력 및 운동수행관련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유승희, 노호성, 이만균, 이재문 pp.655-668

프로야구 선수협의회와 구단간의 법적 현황과 문제에 관한 연구 나봉순, 정승삼, 최철순 pp.401-412

스쿼시장에서의 접촉유형이 서비스 품질, 고객만족 및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장환, 엄대영, 박진기 pp.413-420

유산소훈련모델 프로그램이 정신건강 및 기초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강명학, 전준석, 윤영구 pp.743-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