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 way that helps set up standards for programs that promote well-being of family members. So that it was investigated influence of parents' lifestyle and dietary habit on their junior high schoolchildren. 450 Students in 7th through 9th grade in Won-Ju city were collected. Initially 450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and 413 returned ones are used for the analysis. SPSS 12.0 for Windows is used for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data are calculated to check parents and children's physical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is adopted to get correlation of par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 Parents' and children's BMI sugge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2) Parents' and children's physical activity propos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other words, children are more likely to get exercise when their parents exercise. (3)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s lifestyl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re suggested in their work hours per week, work hours per day, sedentary lifestyle, the average sleep hours during weekdays, the average sleep hours during weekends. (4)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s dietary habi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conclusion, well designed lifestyle, and dietary habit of parents seem to be vital factors to form those of their children, especially those in adolescent perio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용실의 외부서비스품질 결정요인 연구 권대순 pp.137-144

중학생 자녀의 비만에 부모의 생활습관과 식습관이 미치는 영향 신규옥, 김기영 pp.93-99

다양한 색상의 볼연지를 사용한 얼굴 이미지 표현 정다정, 장병수 pp.75-79

폐기 깻묵으로부터 조피틴산의 추출과 그의 화장품에의 응용에 관한 연구 하병조 pp.121-124

피부의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문헌적 고찰 배근혜 pp.145-149

피부노화의 인식정도에 관한 조사 연구 : 대전시 여성을 중심으로 김귀미, 장병수, 이재천 pp.101-106

영구염색 모발의 외부형태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이귀영, 장병수 pp.81-85

민감성 두피의 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 김경숙 pp.125-130

해체주의의 특성을 표현한 컬렉션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이윤진, 이중민, 김기영 pp.107-113

결혼여부에 따른 색조화장품 구매 행동 연구 : 20~4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김미현 pp.131-136

자외선 차단 제품에서의 유기흡수제 조합에 따른 자외선 차단지수 변화에 관한 연구 정지혜, 김미정, 이영근 pp.115-119

천연염모제와 합성염모제를 혼합한 염색제의 모발 염색성 김한식 pp.87-91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공기화: 한국의 도시화 경향에 따른 청소년 신장의 발육 촉진 현상에 관한 연구. 동아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미소장
2 권수연: 서울 지역 중학생의 식생활 태도 및 간식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3 Effect of Exercise and Diet Control Program for Obese Children 소장
4 김현아: 부모의 식습관과 건강신념이 아동비만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
5 문수경: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부·모·자녀를 대상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6 비만 청소년 10명 중 8명은 합병증 앓는다(2005. 2. 24) 서울신문. 미소장
7 오형연: 부모의 비만과 자녀운동에 대한 관심이 자녀의 비만과 운동습관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8 Television Watering, Family Social Class, Parental Overweight, and Parental Physical Activity Levels in Relation to Childhood Overweight 소장
9 이난숙: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 실태 및 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미소장
10 이원균: 부모의 비만과 자녀의 비만 및 체력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
11 이정희: 주부들의 영양지식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미소장
12 Survey on the Risk Factors of Childhood Obes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with Obese Child 네이버 미소장
13 정충환: 부모의 식습관이 아동의 비만과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14 최지숙: 어머니의 생활습관 및 건강신념과 아동비만의 관련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15 홍성희: 도시와 도서지방 여고생들의 체형과 체력 비교 : 정상과 비만집단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미소장
16 황상경: 비만 및 정상 체중아동과 부모의 신체적 특성 및 생활습관의 비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17 Parent participation in a treatment program for overweight adolescents 네이버 미소장
18 Child and parent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change in girls' body mass index 네이버 미소장
19 Health psychology: why do some people get sick and some stay well? 네이버 미소장
20 Felts WM, Parrillo AV, Chenier T, Dunn P: Adolescents’ perceptions of relative weight and self-reported weight-loss activities : analysis of 1990 YRBS (Youth Risk behavior Survey) national data.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8(1) : 20-26, 1996. 미소장
21 Childhood obesity treatment: targeting parents exclusively v. parents and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22 Determinants of overweight trac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5 y follow-up study of Hat Yai schoolchildren 네이버 미소장
23 A five-year trend of increasing obesity among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multiethnic, low-income, inner-city neighborhoods in Montreal, Canada 네이버 미소장
24 Atherosclerosis, a multifactor lesion justifying multirisk care 네이버 미소장
25 Concordance of parental and adolescent health behaviors 네이버 미소장
26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a national sample of girls and boys in grades 4 through 12. 네이버 미소장
27 Motivating the Obese Child to Move 네이버 미소장
28 US Public Health Service. Healthy People 2010: National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objective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2001. 미소장
29 Physical Activity and Coronary Event Incidence in Northern Ireland and France 네이버 미소장
30 Predicting obesity in young adulthood from childhood and parental obesity.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