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죄 없는 K는 악몽의 미로를 어떻게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인가 : 오손 웰즈의 영화 <심판>과 카프카의 소설『심판』의 비교분석 최진성 pp.859-883
영화 <레 미제라블>의 스토리텔링 연구 이상민 pp.559-583
코리안 뉴 웨이브의 종언과 성 충동 이호걸 pp.737-772
낭만주의 변신론 : 『레 미제라블』의 숭고와 그로테스크 이충훈 pp.585-614
소설『엄마를 부탁해』와 영화 <피에타>의 피에타 소재 활용 양상 정우숙 pp.805-830
복수영화와 사회정의의 환상 곽한주 pp.615-640
The Making of Korean Modernity: Gender, Nation and Korean Realism in The Stray Bullet 황정현 pp.885-911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 진정성과 대중성 이형식 pp.711-736
우리 시대의 '레미제라블' : 『파리의 노트르담』과 <노트르담의 꼽추>에 나타난 장애의 재현 김상률 pp.501-528
소설에 나타난 영화관 형상에 대한 일고찰 : 「변기 위의 돌고래」,「풍선을 샀어」,「어떤 싸움」의 예를 중심으로 김중철 pp.665-686
파괴 의지로서의 죽음 본능 탐색 : <실비아>와『종 항아리』의 실비아 플라스와 에스더 그린우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명 pp.773-804
표현기술의 변화로 인한 문학가치의 변형 : 톰 후퍼 <레 미제라블> 전후를 중심으로 강익모 pp.469-499
분쟁서사 <뮌헨>에 나타난 인종적 재현 연구 이석구 pp.687-709
팜므 파탈의 재생산 : 클레오파트라의 변신과 오리엔탈리즘 담론 조윤경 pp.831-858
영화를 통해 본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 웰다잉 : <버킷리스트>, <내 사랑 내 곁에>, <엔딩노트>, <아무르>를 중심으로 김건 pp.641-664
프랑스혁명기와 21세기 한국 사회, 두 현실의 맥락에서 : 「레미제라블」의 화쟁기호학적 읽기 이도흠 pp.529-557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경욱. 「변기 위의 돌고래」. 『베티를 만나러 가다』. 문학동네. 1999. 미소장
2 조경란. 「풍선을 샀어」. 『풍선을 샀어』. 문학과 지성사. 2008. 미소장
3 강영숙. 「어떤 싸움」. 『아령 하는 밤』. 창비. 2011. 미소장
4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공간의 시학』. 곽광수 역. 동문선. 2003. 미소장
5 그레고리 커리(Gregory Currie). 『이미지와 마음』. 김숙 역. 한울아카데미. 2007. 미소장
6 김경욱.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 문학과지성사. 2003. 미소장
7 김이석․김성욱 외. 『영화와 사회』. 한나래. 2012. 미소장
8 aspects of a motion picture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its representation in a novel 네이버 미소장
9 레프 마노비치(Lev Manovich). 『뉴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역. 생각의 나무. 2009. 미소장
10 문재철 외. 『대중영화와 현대사회』. 도서출판 소도. 2005. 미소장
11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역. 민음사. 1995. 미소장
12 빌렘 플루셔(Vilem Flusser). 『피상성 예찬』. 김성재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미소장
13 백지연. 「도시의 꿈과 기억, 그리고 어떤 만남」. 『아령 하는 밤』 해설. 창비. 2011. 미소장
14 영화, 영화관, 상상의 섬 소장
15 심혜련. 「놀이공간으로서 대도시와 새로운 예술 철학」. 철학아카데미. 『공간과 도시의 의미들』. 소명출판. 2004. 미소장
16 요아힘 패히(Joachim Paech). 『영화와 문학에 대하여』. 임정택 역. 민음사. 1997. 미소장
17 Diversification of screen technologies and transformation of experience of film consumption 소장
18 정이현. 『달콤한 나의 도시』. 문학과지성사. 2008. 미소장
19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52744852#intro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