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김연수, 이기정, 김형민 | pp.169-185 |
|
|
지방공무원 상시학습제도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 연구 | 전성훈, 류영아 | pp.249-272 |
|
|
다문화사회 갈등에 대한 지방자치의 대응 : 주민의 지위와 실질적 자치를 중심으로 | 이용재 | pp.35-55 |
|
|
통일한국의 선거제도에 관한 연구 | 김지탁 | pp.299-326 |
|
|
정책네트워크 관점에서 본 도시정비사업 사례분석 : 명동구역 제3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중심으로 | 강현철 | pp.217-248 |
|
|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 건강심신캠프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 박윤환, 박영문 | pp.123-146 |
|
|
도시민 대상 새마을정신함양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대구시 동구 글로벌새마을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 김한양 | pp.73-100 |
|
|
방범용 CCTV의 효율적 운용방안 : 대학내 방범용 CCTV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 양원규, 정용철 | pp.102-122 |
|
|
정보화마을 제2의 도약을 위한 전략 모색 : 경북지역 마을을 중심으로 | 남다름, 황희진, 황성수 | pp.187-215 |
|
|
뉴거버넌스에 있어 시민사회참여 향상을 위한 전자정부의 과제 | 임광현 | pp.1-34 |
|
|
학교장의 리더십 효과성과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미치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질의 매개효과 | 석동헌 | pp.327-346 |
|
|
아파트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덕도, 이성근 | pp.147-168 |
|
|
지방의회 사무기구의 인사권 개선방안 | 최근열 | pp.273-298 |
|
|
대구·경북지역 어린이집 장애유아의 자기조절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장애유아의 인지,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 김수경, 도금혜 | pp.57-71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원택. (2011). 「통일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나남. | 미소장 |
2 | 권영성. (2002). 「헌법학원론」, 법문사. | 미소장 |
3 | 김철수. (2002). 「비교헌법론」, 박영사. | 미소장 |
4 | 임홍배․송태수․정병기. (2011). 「독일통일 20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5 | 한·일(韓·日) 지방의회제도 비교분석 | 소장 |
6 | 독일선거제도를 통해 본 통일한국의 선거제도 | 소장 |
7 | 박종철. (1994). “통일한국의 정당제도와 선거제도,” 민족통일연구원. 1~27. | 미소장 |
8 | 류원홍. (1996). “통일선거(남북총선거)에 대비한 선거법제 연구,” 민족통일연구원. | 미소장 |
9 | 한국정치에서의 선거 ![]() |
미소장 |
10 | 南北韓 選擧制度의 比較硏究 | 소장 |
11 | 이국희. (2006). “통일한국의 선거관리 최적화 방안,”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 미소장 |
12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Local Administration System Restructuring - Centering on Cities, Counties, and Boroughs - | 소장 |
13 | 한국통일을 위한 독일통일의 교훈 | 소장 |
14 | 최승길. (2000). “북한 선거법과 통일한국의 선거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 미소장 |
15 |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Party's Candidate Election in 2010's Local Election | 소장 |
16 | 허 영. (1995).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헌법상 지위와 권한,”「선거관리」, (41): 1~21. | 미소장 |
17 | (통일한국 미래상 대연구 6)통일한국의 정당체계와 선거제도 ![]() |
미소장 |
18 | Max Weber. (1968). Economy and Society, Edited and translated by Gunther Roth and Claus Wittich, (New York) (1). | 미소장 |
19 | Carl J. Friedrich. (1953). Verfassungstaat der Neuzeit, Springer(1ed.), 341. | 미소장 |
20 | Reynolds, Andrew·Reilly, Ben·Elli, Andrew. (2005). Electoral System Design: the new international IDEA handbook (Stockholm: IDEA). 35-56. | 미소장 |
21 | Sartori, Giovanni. (1994). Comparative Constitutional Engineering: An Inquiry into Structure, Incentives, and Outcomes. London: Macmillan. 43-68. | 미소장 |
22 | 통일연구원, 인터넷홈페이지 (http://www.kinu.or.kr). | 미소장 |
23 | 가우리정부센터 (http://cafe.naver.com/gaury.cafe). | 미소장 |
24 | http://citrain64.blog.me/100161536166(검색일: 2013. 8. 23). | 미소장 |
25 | 조선일보 2005. 8. 18 (목) 경제 2면.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