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고급 듣기 수업에서의 라디오 뉴스 활용 방안 김지혜, 송금숙, 이선영 pp.412-437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대인관계적 기능과 그 구현 양상 분석 김지영 pp.383-410

김정은 시대의 애도와 구원의 코드 이지순 pp.327-354

신채호의「龍과 龍의 大激戰」에 나타난 불교 무정부주의와 점복 신앙의 정치적 서사 양상에 대한 연구 김용하 pp.299-326

프로이트의 사유에 나타난 카타르시스 연구 정락길 pp.181-205

공감의 상상력과 문학교육 정재림 pp.85-111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내러티브와 그 치유적 활용 근거 이민용 pp.157-180
치유의 언어, 언어의 치유 : 인문학과 언어치료 이봉원 pp.135-155

소통과 공감을 위한 전달력 높은 말하기의 언어학적 조건. 1, 운율적 측면을 중심으로 신지영 pp.113-133
沈能淑 文學에 나타난 歷史意識 : 節義觀을 중심으로 장효현 pp.237-270

『태평천하』의 개제 양상 및 해적판 연구 김영애 pp.271-298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의사소통 전략 연구 : 구어 발화를 중심으로 강현주 pp.355-382

『조선인정풍속(朝鮮人情風俗)』의 이본과 자료적 가치 장예준 pp.207-235

병자호란의 상흔에 대한 문학적 치유 양상 연구 : 역사 인물 句踐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백진우 pp.31-57

<화사(花史)>, 그 난만(爛漫)과 쇠락(衰落)의 역사 전성운 pp.5-29

교양교육으로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의미 : 공감과 치유의 효과를 중심으로 정연희 pp.59-84

참고문헌 (4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미숙,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수업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2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방법론 소장
3 초급 단계에서의 듣기 자료의 실제성 소장
4 김지현, 「TV 뉴스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5 Designing an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istening class model based on intertextuality 소장
6 김수정, 「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능력 향상 연구」, 부산외국어대 석사학위 논문, 2008. 미소장
7 김승월, 라디오 프로그램 포맷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미소장
8 김영준, 「라디오의 공개장기능에 관한 연구」, 서강대 석사학위논문, 1996. 미소장
9 김윤선,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중급 학습자를대상으로」, 선문대 석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10 Advanced Korean Listening Comprehension for Foreigners -Focused on Use of Various Media- 네이버 미소장
11 박인애, 「한국어 듣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학연구 19, 한국중원언어학회, 97-118면. 미소장
12 박주연, 「디지털 시대 국내 지상파 라디오의 포맷 특성에 대한 제작자 인식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3, 2011, 31~68면. 미소장
13 방송위원회, 라디오방송발전연구위원회 종합보고서 , 방송위원회, 1996. 미소장
14 변경희,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능력 향상 연구: 포컬 스킬즈 무비테크닉을적용한」, 계명대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15 심미선, 「디지털 시대 라디오방송의 편성 전략」,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 2006, 한국방송학회, 33~58면. 미소장
16 안영민, 「라디오방송을 활용한 말하기․듣기 교육방안」, 원광대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17 오선경, 「대학 수학 목적의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강의 담화의 특질과 듣기 전략 적용을 중심으로」,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18 오은영, 「시트콤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법: 거침없이 하이킥을 중심으로」,선문대 석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19 한국어 교육 전공자를 위한 듣기교육법 강의모델 개발 소장
20 유선영, 라디오 시사프로그램 연구 ,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3. 미소장
21 유일상, 매스미디어 입문 , 파주: 청년사, 2002. 미소장
22 드라마를 활용한 듣기 중심의 한국어 수업 구성 : 수업 모형과 비디오 클립 제작을 중심으로 소장
23 공익광고를 활용한 중국어권 학습자 듣기 교수 방안 연구 소장
24 한국어 듣기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성 소장
25 이해영, 「말하기·듣기 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 한국어교육론 3 , 서울: 한국문화사, 2005. 미소장
26 한국어 말하기 듣기교육에서 '실제성 원리'의 적용 층위와 내용 소장
27 조순범, 「한국어 고급 듣기 과정에서의 TV 뉴스 듣기 교수 학습」,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28 방송과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라디오 서비스 동향 소장
29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네이버 미소장
30 최은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TV 뉴스 듣기 교육 방안 연구」, 상명대 석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31 Authenticity of Speech Speed in Audio Materials for Learning Korean 소장
32 최지혜, 「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법 연구」,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33 최현철․한진만, 한국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역사적 연구: 편성 흐름을 중심으로 ,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03. 미소장
34 한국언론연구원, 매스컴 대사전 , 서울: 한국언론진행재단, 1993. 미소장
35 PD연합회, 방송통신융합과 지상파방송의 미래 , 정책회의 보고서, 2005. 미소장
36 Anderson, A. & Lynch, T. Listen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미소장
37 Brown, S. Teaching Liste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F 미소장
38 lowerdew, J. Second Language Listening: Theory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미소장
39 The Effect of Authentic Oral Texts on Student Listening Comprehension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네이버 미소장
40 Nation, I. S. P. & Newton, J. Teaching ESL/EFL Listening and Speaking, Routledge, 2009. 미소장
41 Read, J. “Plumbing the depths: How should the construct of vocabulary knowledge be defined” In P. Bogaards & B. Laufer (Ed.), Vocabulary in a second language: selection, acquisition and testing, John Benjamins, 2004. 미소장
42 Listening Comprehension: Approach, Design, Procedure 네이버 미소장
43 Rost, M. Teaching and Researching Listening, Longman, 2002. 미소장
44 Sherman, J. Using Authentic Video in the Languag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미소장
45 Tribble, C. Writ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미소장
46 Ur, P. Teaching Listening Comprehen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미소장
47 Wilson, J. How to teach listening, Pearson Longman, 200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