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손위 형제로 둔 비장애 형제자매의 장애인관에 알아보고, 우리나라 장애아동 가족지원과 복지정책이 지향해야 할 바를 모색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비장애 형제자매 중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1) 감추고 싶은 존재, (2) 소중한 존재, (3) 도움이 필요한 존재, (4) 가슴 아픈 존재로 주제와 10개의 부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를 살펴보면 개인, 가족, 사회 내에서 장애형제를 바라보는 장애인관에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에서도 장애인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개인적 관점에서는 장애형제를 ‘감추고 싶 존재’로, 고학년의 경우 ‘가슴 아픈 존재’로 바라보고 있었으며, 가정 내에서는 저ㆍ고학년 모두 ‘소중한 존재’,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었다. 사회에서 바라보는 장애형제에 대한 관점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감추고 싶은 존재’,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느끼고 있었으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사회에서 바라보는 장애형제에 대한 인식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가족지원이 지향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view points of the non-disabled who have the elder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the right directions of Korean children with disabilities’s family support and welfare policies. The research subjects are 7 non-disabled brothers or siste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go to special schools in Dae Jeon Metropolitan City.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bo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lower classes and of higher classes. And the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student subjects.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materials analysed qualitatively; themes like (1)beings who they want to hide, (2)precious beings, (3)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4)beings who break their heart and 10 subsidiary theme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4 themes, there are differences in viewing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view points of the students of lower class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tudents of higher classes. As for the individual view points, low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beings who they want to hide’ and high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beings who break their heart’. As a family, both the higher class students and the low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precious beings’ and ‘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Lastly, as for the social view points, The higher class students feel that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re ‘beings who they want to hide’ and ‘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However, as for the social view points of the lower class students, they aren’t aware of anything. Which direction family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tak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as discussed in this thesi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장애아동의 손아래 형제자매가 지닌 장애인관에 대한 질적 연구 엄진명, 전혜인 pp.5-27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관한 단일대상연구의 문헌 분석 정유진, 윤현숙 pp.219-244

학습 포트폴리오 체계의 적용이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특수교사의 학습능력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황복선 pp.59-87

한국-네팔 특수교육분야에서의 국제교육개발협력 방안 고찰 최승숙 pp.137-161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설교 및 공과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성경 이해 및 예배 참여 행동과 주일학교 교사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수현, 이소현, 이숙향, 장성철 pp.297-322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실행에서의 부모 참여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백유순 pp.107-135

장애학생을 위한 STEM중심 진로교육요소와 접근성 향상 전략 탐색 장정윤, 이영선 pp.163-192

학급차원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정서·행동장애 위험 유아의 사회성 기술, 문제행동, 일반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문회원, 박지연 pp.29-57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간 비교 오혜정 pp.273-295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화용능력 및 집행기능 수행능력 비교 연구 이민희, 임동선 pp.89-105

특수학급 교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분석 김주혜, 임장현 pp.193-218

협력교수를 통한 초등 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영아, 박승희 pp.245-271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on the Life experience of Non-disabled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소장
2 Experience of Older Sisters without disability as Caregivers of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소장
3 김승돈, 안상희, 이지수(역)(2000). 형제자매: 장애인 가족의 특별한 관계(Powell, T. H., & Gallagher, P. A.).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원작 1993) 미소장
4 김은주(1993). 일반형제의 장애형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어머니의 평정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5 김지연(2006). 장애아 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스트레스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청구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6 Sibling Relationships 소장
7 박지연, 김은숙, 김정연, 나수현, 윤선아, 이금진, 이명희, 전혜인(역) (2006). 장애인 가족지원(D. O’Shea, L. O’Shea, R. Algozzine, & D. Hammitte). 서울: 학지사. (원작 2001) 미소장
8 A Study of Stress Factors of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 Mothers` Ways to Cope with the Stress Factors 소장
9 부지윤(2010). 아동의 글 속에서 나타난 장애인관 및 장애인에 대한 태도.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미소장
10 Effects of Perceived Opennes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lf-esteem of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Special Needs 소장
11 신옥순(역)(1991). 교육연구의 새 접근; 질적연구(Bogdan, C. R., & Biklen, K. S.). 서울: 교육과학사. (원작 1982). 미소장
12 신혜정(2001). 자폐아동의 형제관계 및 형제들의 심리사회 기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청구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3 양숙미(2003). 장애형제가 있는 비장애인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고찰. 한국가족복지학회, 8(1), 69-84. 미소장
14 엄지원(2004). 부모와 비장애 형제의 의사소통이 바장애 형제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5 이규태(1981). 장애자 복지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구조. 현대사회와 장애자 복지. 서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미소장
16 이기영, 박인숙, 소희영(2008).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양육경험. 재활간호학회지, 11(1), 32-40. 미소장
17 장애아동 형제의 의식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 형제의 경험을 중심으로 소장
18 The Parents` Perception on the Experiences of Sibling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소장
19 Consideration for the Positive Adjustment and Development of Siblings Who have a Child with a Disability 소장
20 이지연(2006). 발달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적응유연성에 관한 연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상호작용을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1 A Study on the Stress of Bringing up and the Coping Methods of Parents of the Visually Handicapped 소장
22 임효경(2002). 장애아동 가정의 비장애형제를 위한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3 전혜인(1999). 장애아동의 비장애 형제를 위한 형제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형제의 장애형제를 대하는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4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소장
25 Qualit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s of the Parent-to-Parent Program Participants Who Hav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소장
26 Sibling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Perspectives of Mothers, Fathers, and Siblings. 네이버 미소장
27 Discordance Between Sibling and Parent Reports of the Impact of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on Siblings 네이버 미소장
28 Psychosocial Problems Among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Japan: Psychosocial Association Between Mothers and Siblings 네이버 미소장
29 Meyer. D. J., & Vadasy, P. F. (1994). Sibshops: Workshops for sibling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altimore. MD: Paul Books. 미소장
30 Murphy, A., Pueschel, S., Duffy, T., & Brady, E. (1976). Meeting with brothers and sister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Children Today, 20-2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