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종목의 대학운동선수가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미래 진로개발을 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단체종목 운동선수 8명이며, 연구자료 수집방법은 심층면접과 참여관찰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교육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그리고 심리적 측면에서 그들의 미래 진로개발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학생 운동선수들의 합리적인 진로개발을 위해서 학교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녀야 할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미래 진로개발에 대한 정체감을 형성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collegiate athletes' perceptions toward future career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8 intercollegiate athletes who attended four-year colleges/universities in Seoul. The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method wer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s a results,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 importances of their future career development in educational,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aspects. In other words,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enhance the proper future career development. Also, through these processes, it was possible to perceive the significant aspects of the member of the society. Finally, based on thes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understand the self-identity for positive future career developm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마공원내장객들의 참여동기에 따른 서비스품질인식 및 구매행동모형분석 이자형, 김정현 pp.1-15

6주간의 간헐적인 속보와 지속적인 속보가 신체구성과 유산소성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무정, 윤정은, 노희태, 박해찬 pp.119-127

자기력 기술을 이용한 렛풀다운 단축성 웨이트 기구와 고전적 렛풀다운 웨이트 기구의 근전도 비교 최대혁, 소위영, 김수미 pp.161-167

대학 현대무용전공자의 몰입(flow)경험과 정서상태에 따른 몰입변화 장영진, 윤여탁, 김수정 pp.81-92

청소년기 신체활동을 통한 신체이미지가 평생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 박윤진 pp.93-104

프로야구단의 사회공헌활동이 팬 행동의사에 미치는 영향 박종진, 박관도 pp.45-54

외부환경온도변화가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승범, 전용균 pp.151-159

여자대학생의 서키트 트레이닝 및 유산소 댄스프로그램 참여가 비만도, 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박철형, 노동진, 제갈윤석 pp.139-149

협응력 운동 유형이 노인 여성의 갑상선 호르몬과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이승범, 이중원 pp.189-198

대학 운동선수의 미래 진로개발 인식에 관한 연구 이경훈 pp.71-80

제2형 여성 당뇨병 환자들의 운동 강도에 따른 지방 산화율의 비교 윤병곤 pp.169-177

구기자추출물 섭취와 수영운동의 병행이 고지방식이 생쥐의 체중, 지방량, 지질대사 및 당대사에 미치는 영향 오기숙, 양영 pp.129-137

투어 골퍼의 심리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효과 김정모, 박재영, 신정택 pp.105-117

중국계 다문화가정의 여가제약에 따른 여가동기, 만족 및 지속의도에 관한 연구 주형철, 신종화 pp.17-32

청소년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박소연, 이홍직 pp.33-44

중년여성의 비만도와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동맥경화지수의 관계와 운동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노동진, 임관철, 제갈윤석 pp.179-188

대입 무용 수험생들의 스트레스 요인 탐색 장윤형, 육동원, 김성훈 pp.55-70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Study on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Background of Narrative Inquiry 소장
2 김신애(2009). 국가대표선수 은퇴 후 진로강화를 위한 지원체계의 현황 및 발전방향. 국회입법조사처 현안 보고서, 19(1), 1월 7일. 미소장
3 Narrative inquiry on teaching practices of three teachers trying to practice good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소장
4 박재우, 한상호(2011). 미국, 호주, 영국의 엘리트운동선수들을 위한 경력개발 및 진로전환 지원프로그램 비교연구. 체육과학연구, 22(1), 1739-1754. 미소장
5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한 논문계획서 작성법 소장
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ollegiate Athletes' Career Development and Physical Sanctions 소장
7 이용숙, 김영천(1998).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과학 교육사. 미소장
8 Support on right to learn for student-athlete 소장
9 A Narrative Inquiry on Two Teachers` Experiences of the Practical Process of Integrated Subject Matters`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소장
10 Understanding Retirement from Sports 네이버 미소장
11 Blinde, E. M., & Greendorfer, S. L. (1985). A particularization of the process of leaving the role of competitive athlete.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20, 87-93. 미소장
12 Bogdan, R., & Biklen, S.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N.Y.: Allyn & Bacon. 미소장
13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미소장
14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Learning Environments Using Videos in Small Groups and Whole Class Discussions: A Preliminary Study in Physics 네이버 미소장
15 Creswell, J. W. (Ed). (2005).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미소장
16 Transitions out of elite sport. 네이버 미소장
17 Denzin, N., & Lincoln, Y. (2007). Strategies of qualitative inquiry.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미소장
18 Denzin, N. (1989). Research acts. N.J.: Prentice Hall. 미소장
19 Denzin, N., & Lincoln, Y. (2005).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N.Y.: Sage Publication Inc. 미소장
20 Marshall, C., & Rossman, G. (2010).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미소장
21 Maxwell, J. (2004).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Inc. 미소장
22 McKnight, K., Bernes, K., Gunn, T., Chorney, D., Orr, D., & Bardick, A. (2009). Life after sport: Athletic career transition and transferable skills. Journal of Excellence, 13, 63-77. 미소장
23 McPherson, B. (1980). Retirement from professional sport: The process and problems of occupationa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Sociological Symposium, 30, 126-143. 미소장
24 Patton,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Newberry Park, CA: Sage Publication Inc. 미소장
25 Transitions of Athletes: Developmental and Preventive Perspectives. 네이버 미소장
26 Seidmen, I. (2005).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27 Snyder, E., & Barber, A. (1979). A profile of former collegiate athletes and non-athletes: Leisure activities, attitude toward work, and aspects of satisfaction with life. Journal of Sport Behavior, 2, 211-219. 미소장
28 Retirement experiences of successful Olympic athletes. 네이버 미소장
29 Career transitions in sport: European perspectives 네이버 미소장
30 Wylleman, P., Lavalle, D., & Alfermann, D. (1999). Career transitions in competitive sports. FEPSAC monograph series 1. ISSN 1562-127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