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종교교육에 관한 두 개의 대법원 판례와 한 개의 헌법재판소 결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판례에서 단편적 또는 모호하게 처리되어 있는 사립학교 종교교육의 한계에 대한 법적 해석기준을 정리하였다. 특히, 대학과 초·중등학교에 관한 판례가 서로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내용을 정합적으로 해석해내는 논리와 심사기준을 발견하였다. 첫째, 학교 선택권보다는 종교교육의 유형에 대한 판단 이후 개인 차원의 심사 기준과 조직 차원의 심사기준을 적용하는 2단계 심사 과정을 찾아내었다. 둘째, 교육기관으로서 사립학교의 성격을 고려한 조직 차원의 기준으로서 내용기준, 방법기준, 집단기준이 발견되었다. 셋째, 개인 차원의 심사기준으로서 동의가 종교교육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논리를 확인하였다. 넷째, 학생의 동의는 초중등학교와 대학간 학교급의 차이 혹은 학생의 성숙도를 고려하여 다르게 고려되었다. 이 연구는 사립학교가 공교육체제에 편입되어 있고 그 비중이 큰 우리나라에서 학교 선택권의 전면적 재구조화 등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을 고려할 때 법·정책적 해결 방안 이전에 사립학교와 학생의 종교의 자유가 갈등하는 상황을 조화롭게 조정하는 해석기준으로서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a framework of comprehensive test for the legitimate religious education in private schools in relation to the freedom of religion of students. The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ere analyzed to draw the test elements and to reveal the consistent criteria for religious education. The conclusions are suggested below as follows.

First, the two-step approach was found to be utilized in the scrutiny process in the cases. The first step was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of relevant types of religious education. Second, consensus was differently used for different religious education respectively. Religious education as liberal education did not demand the separate and explicit approval of students, while nonpartisan parochial education was justified only in the existence of clear consent of students. Third, institutional test was revealed to include content, method, and group criteria. It was not mute in the case of student approval for religious education. Fourth, school level was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the assurance of the assent. It is natural that high school student is not mature and shall not be put in jeopardy to defend himself without help of adul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율형 사립고 정책과정에서 옹호연합의 형성과 작동 김민조, 박소영 pp.337-361

사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한계에 관한 법적 해석기준 조석훈 pp.1-25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모델 연구 박영호 pp.417-443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제도가 중·저소득층 대학생의 학기 중 노동 및 학업활동에 미치는 처치-의도 효과 분석 이준호, 박현정 pp.105-134

대학 자체평가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질적 요인 탐색 채재은, 김민희 pp.161-184

Do Parents Really Choose Schools Based on School Quality Criteria? Evidence from NHES Data 함승환, 김왕준 pp.285-309

학교정보화사업의 BSC 평가모형 개발 연구 천무영, 하봉운 pp.27-51

수석교사제 시범운영의 성과요인 분석 이윤식, 박승란 pp.363-391

교과서 정책 국제 비교 연구 김덕근 pp.257-283

교육행정철학의 발전가능성과 향후 과제 박선형 pp.53-77

국가장학금 대학배분 제도 분석 : 미국 국가장학금 배분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수경, 한유경, 고장완 pp.185-206

신규 국가장학금사업 추진의 쟁점 및 논리 분석 이정미, 이상돈 pp.79-104

교사의 자기계발 논리 형성과 교직문화의 변화 정바울 pp.549-573

학교유형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마이스터고 집단과 일반고 및 특성화고 집단의 비교 배상훈 pp.525-548

앤디 하그리브스의 학문 조명 : ‘가장된 동료성’과 그 변주를 중심으로 정바울 pp.679-690

대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측정 모델의 타당성 검증 배상훈, 김혜정 pp.499-523

한국 고등교육행정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변기용, 가신현 pp.135-160

Emotion and Rationality in Educational Problem Solving : From Individuals to Groups Gabriele Lakomski, Colin W. Evers pp.653-677

중등교원의 업무 부담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양정호 pp.627-651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의 헌신도, 그리고 학교장의 감성지도성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유평수 pp.575-601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든든학자금)의 효과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남수경, 유승호, 정의준 pp.235-256

사립대학교 행정 직원의 오센틱 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박시남, 최은수 pp.393-416

매스미디어가 교사 신뢰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노현희, 신상명 pp.445-470

학교장의 감성적 리더십, LMX(Leader-Member Exchange), TMX(Team-Member Exchange), CMX(Customer-Member Exchange)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강경석, 송란호 pp.471-498

신규 대졸자 임금에 대한 개인 및 대학 효과 분석 주휘정 pp.603-626

여대생의 재학기간 연장과 중도탈락 결정요인 분석 이필남 pp.207-233

교직실무 과목의 교육내용에 대한 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요구분석 이상철 pp.311-336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ducation about Religions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2 Conceptual Model of Religious Education in the Korean School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3 An Issues and Development of religiou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of Korea after Liber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소장
4 김용관(2009). 종교계 사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유환(2008). 초·중등학교 종교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공법학연구, 9(1). 305∼322. 미소장
6 Religious Education at Private School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s of Education 소장
7 igiously Founded School's Education Of Religion 소장
8 종교성 함양의 교육학적 의미 소장
9 사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자유와 학생의 신앙의 자유 소장
10 A Legal Issues and Problems of the Religious Education related with the Korea National Curriculum 소장
11 성낙인(1998). 종교의 자유와 학교에서의 종교교육. 판례실무연구(Ⅱ). 비교법실무연구회. 미소장
12 기본권충돌에 대한 헌법이론적 접근 소장
13 Conflict on Religiou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14 The Constitutional Analysis of the Mandatory Religious Education in the Religious School 소장
15 공교육기관에서의 종교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소장
16 송기춘(2008). 사학의 종교교육의 자유와 학생의 종교의 자유. 민주법학, 37. 405∼444. 미소장
17 A study on school-sponsored religious instruction under the equalization policy -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religious instruction of public secondar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 소장
18 학생의 기본권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소장
19 종교의 자유의 의미와 한계에 대한 고찰 소장
20 이성호(1998). 헌법상 종교의 자유와 사립대학의 학칙제정 및 학생규율에 관한 권한.판례실무연구, 2. 54∼83. 미소장
21 이승은·박성혁(2007). 종립학교 내 학생의 종교의 자유. 법교육연구, 2(2). 75∼97. 미소장
22 General Dissertations : A Study on the Problems of Religion and Freedom of Religion 소장
23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in Private High School and the Rights of the Youths 소장
24 The solution to harmonize the religious freedom of students and the freedom of religion-based schools to educate religion 소장
25 公敎育과 宗敎敎育 네이버 미소장
26 정형근(2010). 사립학교의 종교교육의 자유. 한양법학, 21(3). 189∼213. 미소장
27 A Study on the Religious Freedom for Students 소장
28 Religionsfreiheit und die Neutralit?tsgebot des Staates 네이버 미소장
29 Critical Issues on the Religious Education of Korean Catholic Schools 소장
30 표시열(2008). 교육법-이론·판례·정책. 박영사. 미소장
31 ''종교교육의 자유''이 법리 및 관련 법령·판례 분석 소장
32 An Examination on the Problems and Directions of Religiou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a Democratic Society 소장
33 Russo, Charles J. ed.(2008). Encyclopedia of Education Law 1·2. Los Angeles: SAGE. 미소장
34 Thomas, Stephen B., Cambron-McCabe, Nelda H., and McCarthy, Martha M.(2009). Public School Law. Sixth edition. Boston: Pears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