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고전소설의 현재적 가치 모색과 교양교육 | 조현우 | pp.55-82 |
|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한국고전문학교육의 과제 | 김종철 | pp.5-30 |
|
|
俛宇 郭鍾錫의 당대 대응과 인식론적 基底 | 이택동 | pp.289-317 |
|
|
애정시조에 활용된 ‘술’의 의미 | 임재욱 | pp.233-257 |
|
|
대학 교양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 신상필 | pp.31-54 |
|
|
구비문학 관련 강좌의 현황과 교양 과목으로서의 구비문학 | 강성숙 | pp.163-201 |
|
|
陸用鼎의 記夢 연작 연구 | 하지영 | pp.391-424 |
|
|
세조 어제시 연구 | 이현지 | pp.319-356 |
|
|
'악처'의 독서심리적 근거 | 김현주 | pp.203-231 |
|
|
인문교양으로서의 고전시가 강좌의 한 예 : '이중자아'와 ‘금지된 사랑, 불륜’ 모티프를 대상으로 | 이수곤 | pp.123-161 |
|
|
남성의 틈새에서 새어나온 여성의 목소리 | 강소영 | pp.425-456 |
|
|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 최기숙 | pp.457-493 |
|
|
화가의 자작 제화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 1,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도시>를 대상으로 | 최경환 | pp.357-390 |
|
|
고전소설 속 여성 생활 문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국문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정선희 | pp.83-121 |
|
|
耘谷 元天錫의 詩戱에 대한 小考 : <許同年仲遠以詩見寄分字爲韻二十八首>를 중심으로 | 김동준 | pp.259-28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대한자강회월보』 | 미소장 |
2 | 『대한협회회보』 | 미소장 |
3 | 『동방학지』 | 미소장 |
4 | 『서북학회월보』 | 미소장 |
5 | 『서우』 | 미소장 |
6 | 『문장』 | 미소장 |
7 | 『연희춘추』, 『연세춘추』, 『대학신문』 | 미소장 |
8 | 『조선학보』 | 미소장 |
9 | 조윤제 교주, 『춘향전』, 박문서관, 1939. | 미소장 |
10 | 이가원 주석, 『춘향전』, 정음사, 1957. | 미소장 |
11 | 김건우, 「1950년대 후반 문학과 <사상계> 지식인 담론의 관련 양상 연구」, 서울대박사논문, 2002, 1-199쪽. | 미소장 |
12 | 김영실, 「문장파 문학의 고전수용 양상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99, 1-65쪽. | 미소장 |
13 | 김태준, 『증보 조선소설사』, 박희병 교주, 한길사, 1990, 1-280쪽. | 미소장 |
14 | 류준필, 「形成期 國文學硏究의 展開樣相과 特性: 趙潤濟ㆍ金台俊ㆍ李秉岐를 中心으로」, 서울대 박사논문, 1998, 1-269쪽. | 미소장 |
15 | 송 무, 『영문학에 대한 반성』, 민음사, 1997, 1-403쪽. | 미소장 |
16 | 이종호, 「1950년대 남한 문학전집의 출현과 문학정전화의 욕망 민중서관 『한국문학전집』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 55집,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10,349-382쪽. | 미소장 |
17 | 이태극, 「古典 硏究 序說」, 『국어국문학』 2집, 국어국문학회, 1952, 1-4쪽. | 미소장 |
18 | 이형대, 「1920-30년대 시조의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고시가연구』 21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08, 265-293쪽. | 미소장 |
19 | 정선이, 『경성제국대학 연구』, 문음사, 2002, 1-230쪽. | 미소장 |
20 | 정선이, 「연희전문 문과의 교육」, 연세대 국학연구원편, 『근대학문의 형성과 연희전문』, 2005, 59-112쪽. | 미소장 |
21 | 조윤제, 『국문학개설』, 동국문화사, 1955, 1-566쪽. | 미소장 |
22 | 차승기, 「1930년대 후반 전통론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2002, 1-163쪽. | 미소장 |
23 | 차혜영, 「‘조선학’과 식민지 근대의 ‘지(知)’의 제도」, 『국어국문학』 140호, 국어국문학회, 2005, 505-533쪽. | 미소장 |
24 |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2003, 1-563쪽. | 미소장 |
25 | A Manner of Calling 'The Old' and Rearrangement of 'Old Writings' in Modern Magazines | 소장 |
26 | 최기숙, 「1950년대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知’의 형성: 1953-1960년간 <연희춘추/연세춘추>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42집,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123-167쪽. | 미소장 |
27 | 최기숙, 「1950년대 대학의 ‘고전강독’ 강좌의 탄생과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 연세대 국학연구원 HK사업단 국제학술대회, 연세대 학술정보관 620호 세미나실, 2010. 8. 20. | 미소장 |
28 | 한기형, 「신소설의 근대문학적 위상」, 성대 박사논문, 1997, 1-178쪽. | 미소장 |
29 | 황종연, 「한국문학의 근대와 반근대: 1930년대 후반기 문학의 전통주의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1991, 1-235쪽. | 미소장 |
30 | Chrisopher Leigh Connery, 『텍스트의 제국』, 최정섭 옮김, 소명출판, 2005, 1-335쪽.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