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백마강 모래의 상대밀도를 25%, 50%, 80%, 100%로 각각 변화시켜 등방압축-팽창시험과 구속압력을 달리한 일련의 배수삼축시험을 하였다. 그리고 이 시험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근거로 상대밀도의 변화에 따른 Lade의 단일항복면 구성모델의 토질매개변수의 변화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탄성성분을 나타내는 토질매개변수 Kur과 n은 상대밀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미소하고 파괴규준, 경화함수, 소성포텐셜에 관련된 토질매개변수는 상대밀도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인 증·감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항복함수에 관련된 토질매개변수 h와 a 는 상대밀도에 따른 변화가 미세하고 파괴규준에 관련한 토질매개변수와 관련성이 매우 높아 파괴규준, η₁에 관한 식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 식을 이용하여 수치해석한 결과 양호하게 예측하고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a series of the isotropic compression-expansion tests and the drained triaxial tests with various the relative densities 25%, 50%, 80% and 100% for Baekma river sand. Using the tests results the characteristic of the parameters of Lade's single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were investigated. The soil parameters Kur and n representing elastic behavior are not much affected by the change of the relative density. The other parameters such as failure criterion (m, η₁), hardening function (C, p) and plastic potential (ψ₂, μ) are in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relative density. Since the soil parameters h and a representing yield function do not change much to the change of relative density and also closely related to failure criterion, they can be replaced by failure criterion η₁. We also observed that predicted values from the Lade's single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were well consistent with the observed dat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원심모형실험을 통한 전석층이 존재하는 제방에서의 파이핑 현상 모사 진석우, 김남룡, 김동수 pp.1-10

모래 및 점토지반에서 터널시공조건을 고려한 인접구조물의 손상도 분석 손무락, 윤종철 pp.53-63

소형 콘의 온도보상 기법 연구 윤형구, 정순혁, 조세현, 이종섭 pp.29-38

비파괴시험과 관입시험에 의한 노상토의 물리·역학적 특성 김규선, 김동휘, 프라타 단테, 이우진 pp.19-27

모래 지반 내에 포함된 자갈의 크기가 전단거동에 미치는 영향 박성식, 김영수 pp.39-51

백마강 모래의 상대밀도에 따른 Lade의 단일항복면 구성모델의 토질매개변수 특성 조원범, 김찬기, 김중철 pp.11-17

참고문헌 (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정진섭, 김찬기(1989) 압축성 모래의 변형거동에 관한 연구, 공 업기술개발연구지, 제9권, pp. 99-112. 미소장
2 정진섭, 김찬기, 이문수(1992a) 탄소성구성모델의 토질매개변수 예민성, 한국지반공학회지, 한국지반공학회, 제8권, 제2호, pp. 81-94. 미소장
3 정진섭, 김찬기, 이문수(1992b) 단일항복면 구성모델에 의한 입상 토의 비배수거동해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12권, 제2호, pp. 177-189. 미소장
4 홍원표, 남정만(1994) 등방단일경화구성모델에 의한 모래의 3차원 거동 예측, 한국지반공학회지, 한국지반공학회, 제10권, 제1호, pp. 103-116. 미소장
5 Druker, D. C., Gibson, R. E and Henkel, D, J. (1957) Soil mechanics and work-hardening theories of plasticity, Trans, Vol. 122, pp. 333-345. 미소장
6 Duncan, M, J. and Chang, C. Y.(1970) Nonlinear analysis of stress and strain and strain in soil,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Division, ASCE, Vol. 96 No. SM5, pp. 1629-1653. 미소장
7 Single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for frictional materials: I. Plastic potential Function 네이버 미소장
8 Single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for frictional materials: I. Plastic potential Function 네이버 미소장
9 Single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for frictional materials: I. Plastic potential Function 네이버 미소장
10 Hyperbolic Stress-Strain Response: Cohesive Soils 네이버 미소장
11 Roscoe, K. H., Schofield, A. N., and Worth, C. P. (1963) On the yielding of soil, Geothchnique london, England Vol. 8, pp. 22- 52. 미소장
12 Sekiguchi, H. (1977) Rheological cheogical characteristics of clays, Proc. 9th ICSMFE, Tokyo, pp. 289-29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