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소아정신의학 및 신경정신의학 분야를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불안?우울?강박증 등 심리?정서적인 장애가 공격성?폭력 등을 유발하며, 극단적인 경우 방화?살인 등 흉악범죄로 직결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서?행동상의 문제가 뇌 속의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에서 비롯된다는 결과도 있다. 예컨대, 불안?우울?공격 성향을 보이는 청소년들이 정상적인 청소년들에 비해 뇌 속에 세로토닌이 부족하며, 세로토닌 결핍 청소년들 중에 범죄자가 많다는 것이다. 사이코패스의 경우에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미국?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뇌 기능의 이상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뇌과학’이 새로운 학문분야로 자리잡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최근 가천의과대학에 뇌과학 연구소까지 설립되기에 이르고 있다. 뇌과학이란 뇌의 신비를 밝혀내서 인간의 물리적?정신적 기능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응용학문을 말한다.

범죄심리학자와 범죄생물학자들을 중심으로 오래 전부터 뇌의 이상과 범죄와의 관계가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주로 뇌손상 및 뇌파이상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고, 세로토닌?도파민?노르아드레날린 등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에 관한 연구는 극히 일부에 한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에 관한 연구가 범죄심리학에 있어 매우 지엽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과, 사회과학보다는 정신의학의 영역에 가깝다는 점 등이 작용한 결과로 파악된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고 청소년비행도 갈수록 흉포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신경정신의학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불안?폭력성 등의 문제와 신경전달물질과의 상관관계를 범죄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해 보는데 의미를 두었다. 특히 이 연구는 신경정신의학계의 도움 없이는 신경전달물질에 관한 임상실험 등 실증적인 연구가 어렵다는 점에서, 그동안 신경정신의학계에서 다루어진 연구결과들을 검토하고, 이를 우리나라의 청소년비행에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이 범죄심리학계에 던져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첫째, 범죄심리학이 청소년비행을 유발하는 정신심리적인 프로세스를 보다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뇌과학 분야에 대한 심층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둘째, 범죄심리학이 신경정신의학 또는 뇌과학 분야와 소년사법 분야의 가교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정신의학?뇌과학 분야와 범죄심리학간의 학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소년사법을 담당하는 판사?검사?교도관?보호관찰관 등 형사사법기관 종사자들도 이러한 뇌기능의 이상과 신경전달물질에 관해 최소한의 전문지식을 가져야 하며 각종 교육기관에 관련 직무교육이 개설되어야 한다.

Recently, by main considering the fields of pediatric psychiatry and neuropsychology, various studies have been executed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suc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sorders experienced by teenagers as anxiety, depression and obsession, and aggressiveness and violenc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n some extreme cases, such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sorders can be directly related to such dreadful crimes as arson and murder. Also, it is said that the behavior-related problems are caused by the disorder of the neurotransmitters in the brain. For example, the teenagers who show such trends as anxiety, depression and aggressiveness have a less amount of serotonin in their brains compared to the ordinary teenagers. Also, it is believed that the teenagers experiencing the lack of serotonin often become criminals. It is reported that there is a relation with the case of psychopaths. Also, the field of ‘brain science’ has recently become a new academic field focusing on the disorder of brain functions in such advanced countries as the USA and Japan. In Korea, a brain science research center has been established at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The field of brain science is a practical academic field focusing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ysteries of the brain in order to deeply explor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s of humans.

The criminal psychologists and the criminal biologists have studies the relation between the disorder of the brain and criminal activities for a long time. However, such fields as the brain damage and the disorder of the brainwave have been mainly studied. The study on such neurotransmitters as serotonin, dopamine and noradrenalin, which influence the brain functions, has been executed in a very limited way. It is because the study on the disorder of neurotransmitters has a minor influence in the field of criminal psychology and such a study is close to the field of psychology rather than the one of social science.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enormous amount of stress received by the teenagers in Korea and the current state in which the level of juvenile delinquency becomes more brutal in addition to the correlation between anxiety or violence and neurotransmitters, which is emphasized by the field of neuropsychiatry in terms of the criminological point of view.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ate that it is difficult to execute practical studies including the clinical experiment related to the neurotransmitters without the help of the field of neuropsychiatry. By considering various study results which have been obtained in the field of neuropsychiatry,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nection between such a field and juvenile delinquency. Also, it deals with the issues drawn by such studies in the field of criminal psychology. First of all, in order to study the psychological process which causes juvenile delinquency more scientifically, it is necessary to deeply study the field of criminal psychology in connection with the field of brain science.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the field of criminal psychology to act as a bridge connecting the field of neuropsychiatry or brain science with the field of teenager jurisdiction. For such a purpos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relation among the fields of psychiatry, brain science and criminal psychology. Thirdly, such people involved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s judges, prosecutors, prison officers and probation officers who deal with teenager jurisdiction must have certain expertise regarding the disorder of brain functions and the neurotransmitters. Also,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workplace training regarding such matters at various educational institutes.

권호기사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보환. (2004), 「범죄생물학」, 동국대학교출판부. 미소장
2 이상현. (2004a), 「범죄심리학」, 박영사. 미소장
3 이상현. (2004b), 「소년비행학」, 박영사. 미소장
4 이수정. (2006), 「범죄심리학」, 북카페. 미소장
5 이승헌. (2008), 「뇌파진동」, 브레인월드. 미소장
6 이승헌․신희섭. (2006), 「뇌를 알면 행복이 보인다」, 브레인월드. 미소장
7 이시형. (2010), 「세로토닌 하라」, 중앙books. 미소장
8 최영인․염건령. (2005), 「범죄생물학이론과 범죄심리학이론」, 백산출판사. 미소장
9 허경미. (2008), 「현대사회와 범죄학」, 박영사. 미소장
10 Do SSRIs Really Induce Suicidal Behavior?:The Critical Review of Evidences 소장
11 OECD 국가의 행복지수 산정 및 비교 소장
12 Serotonin in Schizophrenia 네이버 미소장
13 Carol Hart 저․최명희 역. (2010), 「세로토닌의 비밀」, 미다스북스. 미소장
14 Daniel Nettle 저․김상우 역. (2009), 「성격의 탄생」, 와이즈북. 미소장
15 Hans J. Marcowitsch & Werner Siefer 저․김현정 역. (2010), 「범인은 바로 뇌다」, 알마. 미소장
16 Jack rinch 저․김유미 역. (2010), 「브레인 퓨처」, (주)북하우스 퍼블리셔스. 미소장
17 John J. Rately 저․김소희 역. (2010), 「뇌」, 21세기북스. 미소장
18 Marie T. Banich 저․김명선․강은주․강연욱․김현택 역. (2008), 「인지 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 (주)시그마프레스. 미소장
19 Robert Melillo․Gerry Leisman 저․우영민 역. (2008), 「소아청소년기의 신경행동장애」, 이퍼블릭. 미소장
20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0년 11월 15일자 보도자료. 미소장
21 연합뉴스, 2007년 5월 2일자. 미소장
22 연합뉴스, 2008년 11월 21일자. 미소장
23 내일신문, 2011년 1월 3일자. 미소장
24 MBC 뉴스데스크, 2011년 2월 13일자. 미소장
25 http://www.mdtoday.co.kr/mdtoday, 3.8 검색. 미소장
26 http://news.khan.co.kr/kh_news/art, 3.3 검색. 미소장
27 http://article.joinsmsn.com/news/option/article, 3.8 검색. 미소장
28 Carol Hart. (2008). Secrets of Serotonin: A Lynn Sonberg Book. 미소장
29 Frank Schmalleger. (2001). Criminology Today: An Integrate Introduction, 3rd (ed.), NJ: Prentice Hall. 미소장
30 Rain, Adrian. (1993). The Psychopathology of Crime, San Diego: Academic Press. 미소장
31 Vold, George. (1979). Theoretical Criminology, New York: Oxford Univ. Press. 미소장
32 Clinical response of aggressive schizophrenics to oral tryptopha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