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미영. (2003). 초등학생 웹기반 영어 어휘 학습 활동 선호에 대한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청주 |
미소장 |
2 |
초등영어교육 연구방법의 흐름
|
소장 |
3 |
Analysing recent CALL research in Korea and in the world
|
소장 |
4 |
박준언. (2006). 영어교육에 게재된 영어 어휘 교육 관련 연구 개관, 초등영어교육, 7(2), 137-148. |
미소장 |
5 |
A study of the effects of using a movie CD-ROM in English classrooms on language learning
|
소장 |
6 |
이강희. (2000). CALL 프로그램을 활용한 영어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7 |
이도형. (2000). 초등학생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 교육용 CD-Title 활용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8 |
이영화. (2002). CALL을 이용한 효율적 영어 학습.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9 |
차복연. (1998). CD-ROM Title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효과 - 듣기와 읽기를 중심으로.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0 |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CALL  |
미소장 |
11 |
Beatty, K. (2003). Teaching and researching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London: Longman. |
미소장 |
12 |
A review of subject characteristics in CALL research  |
미소장 |
13 |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Context and Conceptualization (Book)  |
미소장 |
14 |
Levy, M., & Stockwell, G. (2006). CALL dimensions: Options and issues in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15 |
Computer games and foreign-language vocabulary learning  |
미소장 |
16 |
Sunshine Books. (2011). Sunshine Online. Retrieved May 2, 2011,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sunshinebooks.com.au/ |
미소장 |
17 |
Taylor, L. (1990).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New York: Prentice Hall. |
미소장 |
18 |
Using software design methods in CALL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