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과 여가활동, 주관적 삶의 질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농촌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사회활동,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340분의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324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과 여가활동, 삶의 만족도 및 기대감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과 여가활동은 주관적 삶의 질인 삶의 만족도와 삶의 기대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삶의 만족도에는 종교활동과 취미, 사교활동 등의 여가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삶의 기대감에는 취미활동을 통한 여가활동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촌 노인의 경제활동은 주관적 경제만족과 생활수준 기대감, 정부/지자체 기대감에 영향을 미쳤고, 자원봉사활동과 소일거리는 주관적 건강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를 고려하여 농촌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고, 이론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social activity, leisure activity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For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factors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the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otal 324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ocial activity, leisure activity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shown to the partially differences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f the rural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life as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religious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leisure activity through hobb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life. The economic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ive economic satisfaction, expectation of living standard and municipal government. Also, the volunteer activity and pas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Finally, this study was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solution to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모바일 앱 기반 소셜 데이팅 콘텐츠의 분석과 설계 이효정, 최윤호, 이병엽, 이재원 pp.336-345

자동차 윈도우를 활용한 감성 영상콘텐츠 적용 방안 정수영, 최종훈 pp.37-46

정보 필터링과 시각화에 기반한 국가R&D정보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이병희, 손강렬 pp.418-424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충성도 형성에 있어 감정이 미치는 영향 김병수, 강영식 pp.287-296

방사선작업종사자의 방사선 지식정도와 안전관리에 대한 연구 김욱, 최남길, 한재복, 송종남 pp.243-248

외국인 유학생의 이문화에 대한 태도와 개인적 특성이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상미 pp.368-378

가족 공동 관리형 사진 공유 모바일 앱 UI 개발 정유미, 최종훈 pp.29-36

조지 린드벡의 문화-언어의 종교이론 비평 제해종 pp.456-466

소아백혈병의 전신방사선조사 시 조직보상체의 두께변화에 따른 선량평가 이동연, 김창수, 김동현, 김정훈 pp.249-255

토포필리아의 학습동기 역할 사례와 교육자원 분석 윤마병 pp.467-479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을 활용한 IT 융합 u-러닝 콘텐츠 박홍준, 김진영, 전영국 pp.513-521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안종철, 임왕규 pp.189-210

중장년층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모델 적용 이정은, 진선미 pp.522-533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에 관한 연구 김희동, 장연식, 백지영, 한재복 pp.277-286

가중치 분석을 적용한 지역공동형 훈련성과 평가지표 개발 이영민 pp.160-167

정보 알고리즘 기반 아리랑의 계통도 및 상관관계 분석 김학용 pp.407-417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의 형성 박차라, 임성택, 차상윤, 이인성, 김진우 pp.97-109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기효능감, 우울 및 외상 후 성장의 변화 이명선, 차지은, 유영미 pp.256-266

3성분계 무시멘트 경화체의 양생방법에 따른 강도특성 이진우, 이상수 pp.389-396

영화<장화,홍련>의 상징, 가상, 실재 이미지와 의미 김지영 pp.47-57

국소의치용 티타늄 합금의 부식 특성 김정재, 김원기 pp.237-242

단편 애니메이션 "The Employment 고용"에서 관찰되는 역의인화 캐릭터에 관한 연구 이세정, 박영원 pp.58-66

미디어 유머에 대한 내용분석 : 1950~1990년대 미국 가족 시트콤을 중심으로 김균수 pp.86-96

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문호성 pp.180-188

영어성경학습 교재 개발 및 적용 : 예비 기독영어교사의 전공봉사학습 사례연구 최윤희, 이성희 pp.480-490

외국인근로자의 임금을 둘러싼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재철, 고준기 pp.135-147

한국과 미국의 지방교육자치 구조의 비교 이인회, 고수형 pp.148-159

항공산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지원 기능 분석 : 경남을 중심으로 한관희, 정동민, 옥주선, 전정환 pp.314-324

사회규범과 크리티컬 매스가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정호, 김문섭 pp.355-367

TV콘텐츠로서의 한국프로야구 가치분석 정지규 pp.379-388

위치기반 영역 설정 방법 및 이탈 검출의 최적화 기법 최재현, 임양원, 임한규 pp.19-28

부조리극 환도와 리스에 나타난 비사실주의 연기에 관한 연구 박근수 pp.78-85

학교경영컨설턴트의 역량 분석 : 전문가와 예비컨설턴트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수정 pp.425-434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보유시설, 상권 및 입지요인이 영화관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송치훈, 박경도, 이호택 pp.110-122

청소년의 비행또래에 대한 구조와 본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장정연 pp.211-226

중등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이혜정 pp.500-512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수준 및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직렬간 비교를 중심으로 전병주 pp.168-179

중소 모바일콘텐츠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업 중심의 개발 프로세스 모형화 방안 최봉, 정남호 pp.325-335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 분석 : 어휘학습전략 중심으로 김금선, 임희주 pp.435-444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전 침입성 지각의 조절효과 김성은, 전중옥, 박현희 pp.297-313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에 따른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실감표현요소 원명주, 박상인, 이의철, 황민철 pp.1-8

국내 TV 자연 다큐멘터리 에필로그 시스템에 나타난 서사 전략 분석 : <남극의 눈물>을 중심으로 류철균, 문아름 pp.67-77

남자 중학생들의 게임중독과 분노행동의 관계 :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지영 pp.227-236

Retro(복고) 콘텐츠 트렌드(Trend)를 통해 살펴본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연구 : <응답하라 1994>를 중심으로 신동희, 김태양 pp.123-134

한국의 금융 발전이 성장에 미친 영향 : 외부금융의존도와 성장기회 경로가 한국의 산업 성장에 미치는 미시적 효과를 중심으로 황윤진 pp.346-354

시점 간 비선형 움직임 블록 예측에 기초한 적응적 다시점비디오 보상 보간 기법 김진수 pp.9-18

스마트 폰을 통한 청소년의 성 관련 콘텐츠 노출 원인 분석 최정임, 정동훈 pp.445-455

장애인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미영, 김재림, 안성아 pp.267-276

BIM 기반 도시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요구사항 도출 및 프레임워크 구축 김지은, 최현상, 강태욱 pp.397-406

7학년 국어교과서의 어휘 통계조사 : 노미숙, 김태철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철수 pp.491-499

참고문헌 (5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http://www.agrinet.co.kr/news/news_view.asp?id x=125019 미소장
2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Rural Elders - Focusing on Leisure and Social Support - 네이버 미소장
3 A study for Raising the Quality of the Rural Old Aged Men`s Lives 소장
4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장
5 Integrating bottom-up and top-down theories of subjective well-being: the case of health. 네이버 미소장
6 양민희,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인 삶의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7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Stress/Well-Being: An Application of Motivational States Theory 소장
8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소장
9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its' Affecting Factor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소장
10 Research on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use and the elderly’s life quality 소장
11 The Informal Social Support Patterns and Depression in Rural Elders: Compared to Urban Elders 소장
12 농촌 노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에 관한 연구 :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소장
13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소장
14 Health-Related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Elderly Subjec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s,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nd Nutritional Assessment 소장
15 The Effect of the Elderly`s Leasure Activity on Their Health and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Support 소장
16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소장
17 Social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Life in Female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rea 소장
18 Effects of the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women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소장
19 노인의 자원봉사 참여가 신체적 건강,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소장
20 Successful Aging1 네이버 미소장
21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typeand alcohol use investigation of community elder 네이버 미소장
22 심남수, 노인의 여가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영향-대인관계와 사회적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23 Leisure and Social Capital: An Analysis of Types of Company and Activities 네이버 미소장
24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 사회적 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소장
25 Social Activities in Later Life in Korea : Focus on Leisure and Volunteer Activities 소장
26 권수진, 노인의 사회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미소장
27 노인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소도시·농촌·어촌지역을 비교를 중심으로 소장
28 Social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ed on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Loneliness- 소장
29 Does the Social Activity of the Elder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Suicidal Ideation? 소장
30 Social role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소장
31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Health Status, Social Supports, and Leisure Activities of Elderly Women 소장
32 안계일, 노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성공적노화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33 L. Fratiglioni, Risk reduction factors for Alzheimer's disease and cognitive decline in older adults: Social engagement and leisure activiti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ate-of-the- Science Conference, 2010, 미소장
34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Groups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in Rural Elderly 소장
35 Factors that influence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life by the leisure activity of the users of the senior citizens’ leisure welfare facilities? 네이버 미소장
3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Satisfaction in Activities for Leisure Time on their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e Role of Satisfaction Variables of Leisure Activities— 네이버 미소장
37 최인근,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38 Ageing, Leisure, and Social Connectedness: How could Leisure Help Reduce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네이버 미소장
39 Effects of the leisure activity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소장
40 Quality of Life: Concept, Measure and Results 네이버 미소장
41 Is "Life Satisfaction" satisfactory? Complementing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소장
42 「노인삶의질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의 표준화 소장
43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 Comparison by Age and Gender 소장
44 이택영, 정민애, 정보인, 유은영, 장세진, 남은우, “작업 모델(Model of Human Occupation)을 중심으로 한 노인의 활동 수준과 삶의 질”,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15, 2009. 미소장
45 Activity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Korea -Focusing on gender and age differences- 소장
46 http://klosi.kli.re.kr 미소장
47 A Study on the Change in Quality of Life Among Mature-aged in Korea 소장
48 The Relationship Among Dance for all Participation, Social Support, Health Evaluation and Expectation for Life of the Elderly Female 소장
49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marital middle-aged women 소장
50 김수정, 노인의 소득지위에 따른 삶의 만족감 영향요인 분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1 A Study on the Effect that Leisure Programs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Elderly Women in Rural Areas 네이버 미소장
52 이형만,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53 육현숙, 노인의 건강만족도 조사연구,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54 김재중,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55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미소장
56 농촌노인과 복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