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한우근의 동학농민전쟁 연구가 남긴 학문적 유산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동학농민전쟁 연구를 한걸음 더 진전시키는 계기로 삼으려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 한우근은 해방 후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제1세대”로서 동학농민전쟁과 관련된 다수의 논저를 남겼고, 그의 연구는 이후의 연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우근이 동학과 동학농민전쟁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1961년부터이다.

이 글에서는 그의 동학농민전쟁연구를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동학사상과 농민전쟁의 관계>, <동학농민전쟁의 전개과정> 등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는 동학농민군의 요구조건을 토대로 동학농민전쟁이 발발하게 된 대내외적 원인을 구체적으로 해명하는 데 진력하였으며, 그 결과는 그의 동학농민전쟁 관련 연구업적 가운데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이기도 하다. 또한 그 동학교단이 몰락양반의 후예와 일반 농민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전제로 동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동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에 대해 그는 “유기적 관련설”의 입장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는 해방 이후 한국 연구자 가운데 동학사상과 동학농민전쟁의 내면적ㆍ유기적 관련성을 본격적으로 제기한 최초의 연구자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동학농민전쟁의 전개과정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실관계를 새롭게 밝혀내었다. 우선 그는 동학농민전쟁이 고부가 아니라 무장(茂長)에서 시작되었음을 최초로 밝혀내었다. 또 강원도와 황해도 지역 농민군의 활동을 매우 구체적으로 밝혀내었다. 한우근의 연구성과 뿐만 아니라, 동학농민전쟁과 근대사를 바라보는 연구방법 내지 시각과 관련하여 단초를 제시한 고민들은 향후 동학농민전쟁 연구를 시켜나가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writing aims to have an opportunity advancing one more step for Donhak Peasant War research from now on by reviewing academic inheritage remained by Woo-geun Han's Donhak Peasant War research. Woo-geun Han remained many books as “the first generation" of Donhak Peasant War research after liberation and impacted on post- research. It was since 1961 that Woo-geun Han has interested in Donhak and Donhak Peasant War.

This writing searched in 3 parts , , and so on. He focused on explaining the domestic and foreign cause of outbreak of Donhak Peasant War concretely, as a result, this is the most remarkable outcome among research achievements related to Donhak Peasant War. Also He left a few writings. He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nhak and Donhak Peasant War on the premise that Donhak Order is consisted of ruined yangban and general farmer. He tried to approach on the position of “hypothesis of organic relation". He is the first researcher raised internal·organic relation of Donhak Peasant War among Korean researchers after liberation in earnest. Finally he revealed the important fact relevance related to development process of Donhak Peasant War. At first, he discovered that Donhak Peasant War was begun from commander not Gobu, and also found out the activities of Gangwon and Hwanghae local peasant army on detail.

As mentioned above, relation with not only his research but also the view of research method overlooking Donhak Peasant War and modern history, the concerns presented by Wu-geun Han largely will help Donhak Peasant War research to advance henceforth.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 건국기 漕運體制의 정비와 그 의미 한정훈 pp.55-78

상 범주의 의미와 종류에 관한 몇 문제 문숙영 pp.129-158

指空의 家系주장에 대한 검토 : 고려에서 지공의 성공요인을 중심으로 염중섭 pp.31-53

상태 동사와 '잘생기다'류 김선영 pp.159-191

한우근 선생의 학문세계 한영우 pp.195-203

한우근의 동학농민전쟁 연구가 남긴 학문적 유산 배항섭 pp.217-240

韓우劤의 韓國史學 方法論에 대한 고찰 민현구 pp.241-274

한우근의 조선 유교정치론·관료제론 : 조선근세론을 아울러서 유승원 pp.205-216

사전학적 관점에서 본『物名攷』와『才物譜』의 영향 관계 신중진 pp.105-127

조선 후기『소학』언해의 활용과 보급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이영경 pp.79-103

無畏國統 丁午와 원간섭기 백련결사의 전개 강호선 pp.1-29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甲午東學運動의 歷史的意義 소장
2 김선경, 「농민전쟁 100년, 인식의 흐름」, 역사학연구소, 『농민전쟁 100년의 인식과 쟁점』, 거름, 1994. 미소장
3 東學亂起因에 관한 硏究 네이버 미소장
4 김용덕, 「민족의 파랑새 全琫準」, 人物韓國史編纂會 편, 『人物韓國史 5 : 開化의 先驅』, 博友社. 미소장
5 東學亂硏究論 네이버 미소장
6 全琫準供卓의 分析 소장
7 東學思想의 社會的基盤과 思想的 背景 : 十九世紀 六○年代의 李朝의 社會와 思想 소장
8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 동학(사상)과 농민전쟁의 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9 신용하, 「甲午農民戰爭의 第1次農民戰爭」, 『韓國學報』 40, 1985. 미소장
10 崔海月과 非暴力運動 : 先生의 殉敎와 道德觀 소장
11 이병도, 「동학교문과 그 발생의 제 도인」, 국사편찬위원회, 『국사상의 제문제』(6), 1960. 미소장
12 東學黨과 大院君 소장
13 이선근, 「東學運動과 韓國의 近代化過程-問題視되는 一部 見解에 對하여」, 『한국사상』 4, 1962. 미소장
14 동학과 농민전쟁 연구의 원형:「東學과 東學亂」,김상기 著 <書評> 소장
15 정창렬, 「동학과 동학란」, 이가원 외 편, 『한국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미소장
16 韓國史 現代篇 네이버 미소장
17 東學軍의 幣政改革案檢討 소장
18 東學亂 起因에 關한 硏究 : 特히 日本의 經濟的 浸透와 關聯하여 소장
19 東學亂 起因에 關한 硏究 : 特히 日本의 經濟的 浸透와 關聯하여 소장
20 Articles : The Tonghak Insurrection of 1894 and Japan's Involvement 네이버 미소장
21 Essential Thought of Tong-Hak Thought 네이버 미소장
22 東學의 리더쉽 소장
23 한우근, 「동학농민봉기」,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7 근대 : 동학농민봉기와 갑오개혁』, 1973. 미소장
24 동학농민군의 봉기와 전투 : 강원·황해도의 경우 소장
25 한우근, 「東學과 「東學亂」, 學術院 편, 『韓國學入門』, 學術院, 1983. 미소장
26 한우근, 「東學唱道의 時代的 背景」, 『斗溪李丙燾博士九旬紀念 韓國史學論叢』, 지식산업사, 1987. 미소장
27 한우근, 「東學農民蜂起의 意義」, 韓㳓劤, 『民族史의 展望』, 一潮閣, 1997. 미소장
28 김상기, 『동학과 동학란』, 대성출판사, 1947. 미소장
29 김상기, 『동학과 동학란』, 한국일보사, 1975. 미소장
30 전석담, 『조선경제사』, 박문출판사, 1949. 미소장
31 한우근, 『開港期 商業構造의 變遷』(韓國文化硏究叢書 3), 서울大學校 韓國文化硏究所, 1970. 미소장
32 한우근, 『한국 개항기의 상업연구』, 일조각, 1970. 미소장
33 한우근, 『東學亂 起因에 관한 硏究』(韓國文化硏究叢書 7), 서울大學校 한국문화연구소, 1971. 미소장
34 한우근, 『동학농민봉기』(敎養國史叢書 19), 世宗大王紀念事業會, 1976. 미소장
35 한우근, 『東學과 農民蜂起』, 一潮閣, 1983. 미소장
36 한우근, 『민족사의 전망』, 일조각, 199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