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덧눈꺼풀로 수술적 교정이 필요한 환아에서 덧눈꺼풀 교정수술을 시행한 뒤 술 전 연령 및 각막난시 정도에 따른 수술 후 환아들의 시력과 각막난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아래 덧눈꺼풀 교정술을 시행한 환아 총 37명 65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굴절검사를시행하여 최대교정시력과 난시를 측정하여 연령별로 5세 미만, 5세 이상 9세 미만, 9세 이상의 세 군으로 분류하고, 술 전 각막난시에따라 1D 미만, 1D 이상 2D 미만, 2D 이상 3D 미만, 3D 이상으로 군을 분류하여 술 전 및 술 후 6달, 12달의 최대교정시력과 각막난시의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환아의 평균 나이는 5.7 ± 2.5세였다. 최대교정시력은 5세 이상 9세 미만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p=0.02),술 전 난시 3D 이상의 군에서 술 후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039). 술 후 난시의 변화는 5세 이상 9세 미만 군에서 난시의 감소를보였으며(p=0.004), 1D 이상 2D 미만(p=0.006), 2D 이상 3D 미만(p=0.034), 3D 이상의 군(p=0.015)에서 유의한 난시의 감소를 보였다.
결론: 아래눈꺼풀 교정술 전 난시의 양이 많을수록 유의한 난시의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난시가 심한 덧눈꺼풀 환아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changes in visual acuity and astigmatism after epiblepharon surgery regarding preoperative ageand astigmatism.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rts of 37 patients with epiblepharon surgery. Preoperative best-correctedvisual acuity and degree of astigmatism were obtained. Postoperative data were collected at 6 and 12 months.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5.7 ± 2.5 years. In the 5-9 year-old group and ≤3D group, significant improvement ofmean BCVA was demonstrated (p = 0.02, p = 0.039, respectively). In the cylinder groups, 1-2 D, 2-3 D, and ≤3D showeddecreased mean astigmatism (p = 0.006, p = 0.034, p = 0.015, respectively).
Conclusions: Significant astigmatic reduction was found after surgical correction in epiblepharon patients with higherbaseline astigmatis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epiblepharon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a high levelsof astigmatism.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Epiblepharon and Congenital Entropion ![]() |
미소장 |
2 | Epiblepharon. ![]() |
미소장 |
3 | Epiblepharon with inverted eyelashes in Japanese children. II. Surgical repairs. ![]() |
미소장 |
4 | Epiblepharon of the lower eyelid: classification and association with astigmatism ![]() |
미소장 |
5 | McCord CD, Tanenbaum M, Nunery W. Oculoplastic Surgery, 3rd ed. New York: RavenPress, .1995;221-2. | 미소장 |
6 | Changes in Astigmatism after Surgical Repair of Epiblepharon or Ptosis:A Vectorial-analytic Approach | 소장 |
7 | Clinical Evaluation of Epiblepharon and Congenital Entropion ![]() |
미소장 |
8 | Change of Visual Acuity and Astigmatism after Operation in Epiblepharon Children | 소장 |
9 | The effect of surgical correction of epiblepharon on astigmatism in children. ![]() |
미소장 |
10 | Changes in astigmatism after surgery for epiblepharon in highly astigmatic children: A controlled study ![]() |
미소장 |
11 | (The) effect of epiblepharon surgery on visual acuity and with-the-rule astigmatism in children | 소장 |
12 | Astigmatism in Children With Epiblepharon ![]() |
미소장 |
13 | Refractive Changes in Epiblepharon ![]() |
미소장 |
14 | Visual Acuity and Astigmatism after Simultaneous Surgery for Upper and Lower Eyelid Epiblepharon in Children | 소장 |
15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tigmatism among the School Children ![]() |
미소장 |
16 | Astigmatism in Children with Epiblepharon | 소장 |
17 | Refractive changes of congenital entropion and epiblepharon on surgical correction ![]() |
미소장 |
18 | Corneal Topographic Changes after Surgery in Epiblepharon Children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