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취업자 변동 단기예측을 위한 고용선행지수 작성과 활용 | 박명수 | pp.87-116 |
|
|
소득연계식 대출(ICL)을 활용한 효율적 실업보호제도의 모색 | 윤정열 | pp.29-57 |
|
|
기업의 보상체계와 업무평가 투명성의 생산성 효과 | 이상헌 | pp.59-85 |
|
|
근로시간 단축의 고용효과 분석 : 기업규모별 추정을 중심으로 | 유경준, 이진 | pp.1-28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승택, 김원식. (2004).근로시간 단축과 정책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 미소장 |
2 | 김승택, 박우성, 안주엽, 전병유, 정진호..(2001). 근로시간 단축이 국민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연구보고서. | 미소장 |
3 | The Impact of the Statutory Working Hours Reduction on Real Working Hours, Employment, and Real Wages | 소장 |
4 | The Impacts of the 40 Hour Work Week Standard on Actual Working Hours, Wages and Employment | 소장 |
5 | An Empirical Analysis on Macro - economic Effects of the Proposed Reduction of Legal Working Hours in Korea | 소장 |
6 |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a Shorter Working Hours on Employment, Productivity, and Unit Labor Costs | 소장 |
7 | The economic effects of working hours reduction in Korea | 소장 |
8 |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단기 및 중·장기적 고용효과 : Putty-Clay-Approach | 소장 |
9 | 정광호, 금현섭, 권일웅, 최연태. (2012). 장시간 근로관행 및 제도개선 정책고용영향 평가. 한국고용정보원. | 미소장 |
10 | 지민웅.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시장에 미친 효과: 한국의 주40시간제 시행과 OECD 패널을 이용한 실증 연구. 제 8차 고용동향포럼, 한국고용정보원, 2013. 9. | 미소장 |
11 | Working-time reduction and employment: experiences in Europe and economic policy recommendations ![]() |
미소장 |
12 | Crépon, B. (2005). Un bilan de l'accompagnement des chômeurs. Connaissance de l'Emploi, 1(4). doi: RePEc:ner:louvai:info:hdl:2078.1/93893. | 미소장 |
13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
미소장 |
14 | Effects of the Changing U.S. Age Distribution on Macroeconomic Equations ![]() |
미소장 |
15 | Hamermesh, D. S. (1993). Labour Demand.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 미소장 |
16 | Has Work-Sharing Worked in Germany? ![]() |
미소장 |
17 | Jacobs, E. 2012. Growth Through Innovation: Lessons for the United States from the German labor market miracle. Brookings, | 미소장 |
18 | Kawaguchi, D., Naito, H., I. Yokoyama. Labor Market Responses to Legal Work Hour Reduction: Evidence from Japan. manuscript, 2008. | 미소장 |
19 | Seifert, H. (1991). Employment Effects of Working Time Reductions in the Former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nternational Labor Review, 130(4), 495-510. | 미소장 |
20 | Wooldridge, J. 2010.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The MIT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