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문화적 기억(cultural memory)’에 대한 논의를 이론적 배경 및 방법론적인 틀로 삼아 ‘제주 4·3 사건’을 토대로 만든 영화 <지슬>(오멸, 2012)의 사회적 의미에 대하여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의 ‘기억연구(memory studies)’ 전통에서 항상 화두가 되어온 ‘역사’와 ‘기억’의 갈등, 그리고 이러한 갈등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라 할 수 있는 ‘문화적 기억’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론에서는 첫째 하나의 ‘기억’으로서의 영화 <지슬>이 가지는 의미, 둘째 <지슬>의 미학적 요소들이 어떤 ‘기억’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전자와 관련해서는 <지슬>이 가해자인 토벌대와 피해자인 마을 사람들의 대립적 갈등구조를 무산시키고, 오히려 이 두 집단 간의 모호한 경계를 전경화 함으로써 비가시적인 권력 주체인 국가에 대해 무언의 상징적 저항을 실천함을 논의하였다. 후자와 관련해서는 특히 아름다운 밤 ‘오름’ 장면, ‘정길이’ 캐릭터 이미지, ‘동굴’ 및 ‘숲속’ 장면들이 내포하는 은유적 의미들이 전술한 논의들의 맥락에서 <지슬>의 전체적인 의미를 구축하는데 기여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social meaning of the independent film (2012) that was produced based on the historical event, so-called ‘Jeju4ㆍ3’. Theories of ‘memory studies’ in general and of ‘cultural memory’ in particular have been used both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study. After all, the study argues that resists the typical binary opposition of ‘punitive force vs. Jeju people’ in favor of that of ‘state vs. punitive force/Jeju people’. It also shows that some visual images and scenes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construction of the above-mentioned mean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정치 캠페인 메시지의 유형과 시간적 거리감이 20대 유권자의 태도 및 투표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배준기, 황성욱 pp.74-106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 관람객의 영화선택 요인 비교 유산산, 전종우, 김정렴 pp.39-73

텔레비전 광고의 소수 인종 재현에 관한 연구 문영숙 pp.139-173

공중의 환경위험이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행동 연구 : 지구온난화 쟁점(상황)을 중심으로 송해룡, 김원제 pp.273-309

제18대 대통령후보 TV토론에 나타난 후보들의 수사 분석 박기령, 김재영 pp.107-138

자기이득, 상대이득, 설득권리의 정도가 대인설득전략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경은, 강길호 pp.310-346

언론의 자살사건 보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강태현, 유홍식 pp.174-208

'기억'으로서의 영화 <지슬>과 <지슬>이 구성하는 '기억'의 의미에 대하여 황인성 pp.347-374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문제와 재현방식 : <당신과 당신의 도서관>, <목욕의 신>, <무한동력>을 중심으로 이승연, 박지훈 pp.209-242

한국인의 페이스북 중독 결정요인 연구 : 커뮤니케이션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전범수, 이정기, 상윤모 pp.243-272

다문화 소외계층의 미디어 이용과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홍종배, 유승관 pp.7-38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귄귀숙 (2004). 4·3의 대항기억과 영상. 나간채·정근식·강창일 외 공저. ..기억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 ..(97∼136쪽). 서울: 역사비평사. 미소장
2 권혁희 (2005).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서울: 민음사. 미소장
3 박정순 (2011). ..대중매체의 기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4 염찬희 (2013). 제주4·3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4·3영화 <지슬>, <비념>의 재현방식 연구. 제5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2013년 10월 17∼23일)DMZ다큐클래스 자료집, 9∼21. 미소장
5 윤택림 (2010). 기억과 역사가 만날 때: 구술사. 윤택림 (편역),..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17∼29쪽). 서울: 아르케. 미소장
6 임지현 (2002). 전유된 기억의 복원을 위하여. ..당대비평.., 특별호, 3∼8. 미소장
7 전진성 (2005).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서울: 휴머니스트. 미소장
8 제주 4·3 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 ..제주 4·3 사건진상보고서... 도서출판 선인. 미소장
9 How Does Television Talk Show, (Channel A) Reconstruct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Personal Memories? 소장
10 한정선 (2009). 상품화된 기억: 전후 일본의 전쟁기억과 영화 <로렐라이>. 전진성·이재원 엮음, ..기억과 전쟁: 미화와 추모 사이에서..(301∼322쪽). 서울: 휴머니스트. 미소장
11 현석이 (2013). ‘지슬’을 통한 제주 4·3 사건의 오롯한 기억. ..예술과 현실의 소통.., 51권, 181∼194. 미소장
12 Popular Memory 연구의 이론 및 방법론적인 전망에 관한 논의 네이버 미소장
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Film and History Constructed by Visual Represation in A Petal and Remember U 518 and Popular Memory 소장
14 Agamben, G. (1995). Homo sacer: Il potere e la nuda vita. 박진우 역 (2008). 호모 사케르 . 서울: 새물결. 미소장
15 Agamben, G. (2003). Stato di eccezione. 김항 역 (2009). 예외상태 . 서울:새물결. 미소장
16 Collective Memory and Cultural Identity 네이버 미소장
17 Erll, A. (2010). Cultural memory studies: An introduction. In A. Erll & A. Nunning (Eds.), A companion to cultural memory studies (pp. 1∼15). Berlin & New York: De Gruyter. 미소장
18 Fisk, J. (1990).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2nd ed.). 강태완·김선남 역 (2001). 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19 Film and popular memory: an interview with Michel Foucault 네이버 미소장
20 Grainge, P. (2003). Introduction: Memory and popular film. In P. Grainge (Ed.), Memory and popular film (pp. 1∼17), Manchester and New York:Manchester University Press. 미소장
21 Halbwachs, M. (1992). On collective memory (L. A. Coser, Ed., Trans. and Intro.).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41, 1952) 미소장
22 Lipsitz, G. (1990). Time passages: Collective memory and American popular culture. Minneapolis: University Minnesota Press. 미소장
23 Nora, P. (1996∼1998). Realms of memory: The construction of the French past (A. Goldhammer, Tran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84). 미소장
24 Nora, P. (2010). 기억의 장소들. 윤택림 (편역).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121∼151쪽). 서울: 아르케. (원저 출판연도 1989). 미소장
25 Phillips, K. R. (2004). Introduction. In K. R. Phillips (Ed.), Framing public memory (pp. 1∼14). Tuscaloosa: University of Alabama Press. 미소장
26 Popular Memory Group (1982). Popular memory: Theory, politics, method. In CCCS (Ed.), Making histories: Studies in history-writing and politics (pp. 205∼252). London: Hutchinson. 미소장
27 Popular Memory Group (2010). 대중기억의 이론, 정치학과 방법론. 윤택림 (편역),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179∼261쪽), 서울: 아르케. (원저 출판연도1982). 미소장
28 Robins, T. (1995). Remembering the future: The cultural study of memory. In B. Adam & S. Allan (Eds.), Theorizing culture: An interdisciplinary critique after postmodernism (pp. 205∼252).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미소장
29 Sturken, M. (1997). Tangled memories: The Vietnam War, the AIDS epidemic, and the politics of remember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30 Suzuki, T. (2005). The past within us. 김경원 역 (2006). 우리 안의 과거: Media, memory, history . 서울: 휴머니스트. 미소장
31 Tribe, K. (1981). History and the production of memories. In T. Bennett, S. Boyd-Bowman, C. Mercer, & J. Woollacott (Eds.), Popular television and film (pp. 319∼326). London: BFI. 미소장
32 Wachtel, N. (2010). 기억과 역사 사이에서. 윤택림 (편역),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97∼119쪽). 서울: 아르케. (원저 출판연도 1990). 미소장
33 Zelizer, B. (1995). Reading the past against the grain: The Shape of memory studies.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12(2), 214∼239. 미소장
34 고규대 (2013.04.14). 독립영화 '지슬', 개봉 22일 만에 10만 관객 동원. 이데일리 . [On-line], Available: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11&newsid=01102086602776120&DCD=A10302 미소장
35 지슬-끝나지 않은 세월2. 씨네아트 . [On-line], Available:http://www.cineart.co.kr/wp/archive/db.view.php?mid=133027(2014년 3월 14일 접속) 미소장
36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A7%80%EC%8A%AC:_%EB%81%9D%EB%82%98%EC%A7%80_%EC%95%8A%EC%9D%80_%EC%84%B8%EC%9B%94_2 (2014년 3월 14일 접속) 미소장
37 “Jiseul”: A Monochrome Massacre. HANCINEMA. [On-line], Available:http://www.hancinema.net/hancinema-s-hall-of-fame-review-jiseul-amonochrome-massacre-65127.html (2014년 3월 14일 접속) 미소장
38 “Jiseul”. Sundance Institute. [On-line], Available:http://filmguide.sundance.org/film/13082/jiseul (2014년 3월 14일 접속)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