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의 중증도에 따른 눈물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2년 7월까지 본원에서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하여 ETDRS를 기준으로당뇨망막병증을 분류하고 범망막광응고술과 인슐린 치료의 유무, 당뇨병의 유병기간,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눈물막의 진단검사는눈물막 파괴시간, 쉬르머 I검사, 안구표면의 진단적 형광염색법을 시행하였고 각막지각도는 Cochet-Bonnet 각막지각계로 측정하였다.

결과: 당뇨망막병증의 중증도가 진행할수록 안구표면의 형광염색정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당뇨병의 유병기간, 인슐린 치료유무와눈물막의 변화 사이에는 큰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당화혈색소가 높은 경우에 눈물막 파괴시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형광염색정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범망막광응고술을 받은 환자에서도 눈물막 파괴시간과 형광염색정도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당뇨병 환자 중 당뇨망막병증 중증도가 진행한 경우, 혈당조절이 잘 안된 경우(당화혈색소가 높은 경우), 범망막광응고술을 받은환자에서 눈물막 기능이 악화되어 안구표면 이상이 호발하는 환경을 제공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tear film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diabetic retinopathy inpatients with diabetes.

Methods: A total of 117 newly detected diabetic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of diabetic retinopathywas performed based on the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ETDRS). The duration of diabetes and HbA1c werealso investigated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panretinal photocoagulation or insulin treatment. To examine the tear film function,we performed the tear break-up time test, the Schirmer I test, and the diagnostic fluorescein staining test of the ocularsurface. The Cochet-Bonnet esthesiometer was also employed to examine the corneal sensitivity.

Results: As the severity of diabetic retinopathy progressed, the degree of ocular surface fluorescein staining increasedsignificantl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diabetes and the results of the tear film function test. Patientswho had high blood HgA1c level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ear break-up time and degree of ocular surface fluoresceinstaining.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panretinal photocoagul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r break-up time anddegree of ocular surface fluorescein staining.

Conclusions: The diabetic patients with progressed diabetic retinopathy, uncontrolled blood HgA1c levels and who had previouslyundergone panretinal photocoagulation should be managed more carefully since those patients are more susceptible toocular surface disorder with aggravation of tear film func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신경입체사진으로 측정한 시신경유두주위위축 넓이의 재현성과 녹내장안 진단의 유용성 윤일석, 이마빈 pp.570-577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 암종의 임상양상과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정현호, 양지명, 윤경철 pp.506-512

M-plus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임상성적 정영권, 박창원, 황제형, 주천기 pp.519-526

망막혈관폐쇄 질환에서 경동맥초음파로 측정된 내중막두께 서상진, 장현덕, 이수정, 박정민 pp.541-547

한국의 매독 포도막염의 임상양상 곽현덕, 김현웅, 이지은, 이주은, 이상준, 윤일한 pp.555-562

중년에 시신경병증이 발현된 샤르코-마리-투스병 2A형 환자 증례 1예 류영주, 유영석, 김성준 pp.628-632

외상성 3, 4, 6번 단독뇌신경마비의 동반손상과 예후 정지성, 김대현 pp.596-601

눈꺼풀판 결막 아래 이물로 발견된 RGP 콘텍트렌즈 1예 문지영, 박훈, 이종욱, 김성진 pp.608-610

내경계막 제거술 후 발생한 활꼴모양의 망막신경섬유층의 부종 이시형, 이성진, 최경식 pp.534-540

정상 한국인에서 연령에 따른 망막 혈관 직경과 관련 인자에 대한 분석 임종찬, 신재필, 김인택, 박동호 pp.548-554

약시안에서 아트로핀 처벌치료의 약리 효과 박선호, 박새미, 조아란, 박성희 pp.590-595

신경매독과 연관되어 발생한 안매독의 임상 양상 조용운, 김체론, 한용섭, 정인영, 박종문 pp.602-607

외안근에 발생한 고립형 근농양 1예 박종혁, 전루민 pp.616-622

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의 망막지혈증 최성원, 김유철 pp.623-627

간헐외사시에서 1시간 또는 2시간으로 단축한 눈가림의 효과 이경호, 서영우, 조윤애 pp.585-589

577 nm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의 단기 임상효과 김종민, 조경진, 경성은, 장무환 pp.563-569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 중증도에 따른 눈물막의 변화 강완석, 최현태, 안민, 유인천 pp.486-492

데모덱스 안검염 환자에서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를 이용한 안검 세척의 치료효과 문준형, 김재찬 pp.493-497

다양한 눈썹처짐 교정술에 따른 눈썹올림효과 분석 정석중, 유혜린 pp.473-479

실모양각막염의 발생에 건성 각결막염과 각막의 폐쇄가 미치는 영향의 비교 임경섭, 김경우, 전연숙, 김재찬 pp.498-505

아래눈꺼풀에 발생한 원발성 반지세포암종 1예 신선애, 김상덕, 윤기중 pp.611-615

각막굴절수술에서 웨이브프론트가이드와 웨이브프론트최적화 방식의 고위수차 및 시력의 비교 김성인, 오정재, 오태훈, 박규홍, 백남호, 최진석 pp.480-485

유리체절제술과 백내장 동시수술 시 모양체고랑 인공수정체 삽입술 후의 굴절이상값 장재호, 이승우 pp.513-518

ZCB00 인공수정체의 부분결합간섭계와 초음파 방식의 술 후 굴절 예측치 차이 신동훈, 임동희, 유자영, 정의상, 정태영 pp.527-533

아메드 방수유출장치 삽입수술과 병합수술의 효과 김현아, 박가희, 박태관, 온영훈 pp.578-584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Dogru M, Kaltakami C, Inoue M. Tear function and ocular surface changes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Ophthalmology .2001;108:586-92. 미소장
2 Corneal epithelial fragility in diabetes mellitus. 네이버 미소장
3 Factors related to corneal epithelial complications after closed vitrectomy in diabetics. 네이버 미소장
4 Neurotrophic corneal ulcers in diabetes mellitus. 네이버 미소장
5 The cornea in diabetes mellitus. 네이버 미소장
6 Descemet's Wrinkles in Diabetes 네이버 미소장
7 Risk factors for ocular surface disorder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네이버 미소장
8 Tear Film Functio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Retinopathy 네이버 미소장
9 The Study for Relationship of Ocular Surface Abnormalities, Corneal Sensitivity and Diabetic Retinopathy in DM 소장
10 Li HY, Pang GX, Xu ZZ. Tear film function of patients with type 2diabetes. Zhongguo Yi Xue Ke Xue Yuan Xue Bao .2004;26:682-6. 미소장
11 [The dry eye and diabetes mellitus]. 네이버 미소장
12 Jin J, Chen LH, Liu XL, et al. Tear film function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s. Zhonghua Yan Ke Za Zhi .2003;39:10-3. 미소장
13 Diagnostic value of tear films tests in type 2 diabetes. 네이버 미소장
14 Reduced number of hemidesmosomes in the corneal epithelium of diabetics with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네이버 미소장
15 Decreased Penetration of Anchoring Fibrils Into the Diabetic Stroma 네이버 미소장
16 Corneal epithelial basement membrane changes in diabetes. 네이버 미소장
17 Oxygen Consumption by Normal and Diabetic Rat and Human Corneas 네이버 미소장
18 Corneal epithelium in diabetic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19 Changes of corneal redox state in diabetic animal models. 네이버 미소장
20 Corneal epithelial changes in diabetic rats. 네이버 미소장
21 Corneal autofluorescence and epithelial barrier function in diabetic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22 Impairment of corneal epithelial barrier function in diabetics. 네이버 미소장
23 Tear secretion and tear film function in insulin dependent diabetics. 네이버 미소장
24 Changes of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in diabetes mellitus 소장
25 Nielsen NV. Corneal sensitivity and vibratory perception in diabetes mellitus. Acta Ophthalmol .1978;56:406-11. 미소장
26 Corneal structure and sensitivity in type 1 diabetes mellitus. 네이버 미소장
27 Noninvasive assessment of corneal sensitivity in young and elderly diabetic and nondiabetic subjects. 네이버 미소장
28 Corneal Hypesthesia and Retinopathy in Diabetes Mellitus 네이버 미소장
29 Wang F, Gao N, Yin J, Yu FS. Reduced innervation and delayed re-innervation after epithelial wounding in type 2 diabetic Goto-Kakizaki rats. Am J Pathol .2012;181:2058-66. 미소장
30 Diabetic Keratopathy as a Manifestation of Peripheral Neuropathy 네이버 미소장
31 New trends in the etiopathogenesis of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네이버 미소장
32 Risk factors for severity of diabetic polyneuropathy: intensive longitudinal assessment of the Rochester Diabetic Neuropathy Study cohort.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