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아동의 문제행동 원인을 그들과 일반아동들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차이로 설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의 만 5세에서 7세 일반아동 69명과 소아정신과에서 인지적 결함은 없으나 ADHD로 진단받은 동일연령대 아동 52명이다. 두 집단 아동들의 감각처리 능력을 비교하기 위한 검사도구로 McIntosh, Miller, Shyu와 Dunn(1999)의 SSP 단축프로파일 중 33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아동들과 ADHD아동들 모두 감각처리능력에서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고하지 않았으나 ADHD아동들은 일반아동들 보다 전반적으로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더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교육기간에 따른 ADHD아동들의 감각처리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었으며 교육기간은 ADHD아동들의 전체적 감각처리능력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치료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촉각민감성 부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었는데 결과에 의하면 약물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ADHD아동들이 경험이 없는 ADHD아동들보다 촉각민감성에 대한 어려움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SSP 단축프로파일이 일반아동과 ADHD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를 보고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ADHD의 다양한 원인을 밝히는 연구에 있어서 감각처리능력에 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감각처리능력, ADHD아동, SSP 단축프로파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differences on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between normal and ADHD children. 121 children aged from 5 to 7 years in Busan Area were participated; 52 children with ADHD and 62 normal children. To compare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between normal and ADHD children, Kim's SSP questionnaire(Kim, 2001) consisted with 38 items translated and transformed from McIntosh's SSP questionnaire(McIntosh, D. N., Miller, L. J., & Shyu, V, 1999) was ado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HD children had more difficulties in the whole Sensory Integration than normal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and age differences in the Sensory Integration abilities. Second, ADHD children with the longer period of regular school education showed more developed ability in the whole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level, and sound filter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ory Integration between ADHD children with and without medical treatment experience except for touch sensitivity; more sensitivity to touch within ADHD with medical treatment than those who had no medical treatment experience.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identifying the difference in the Sensory Integration between normal children without any physical and mental disorder and ADHD childre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ll for further study relevant to the Sensory Integration to find out more specific reasons of ADH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자폐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단일대상 연구 문헌분석 이미경, 한경근 pp.147-171

연구학교 운영에 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수준 박정식, 이근용, 허선임 pp.191-211

한국 특수교육의 변화경향과 미래전망 김원경 pp.1-19

정신지체 중고등학생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전략에 대한 문헌고찰 장혜성 pp.59-80

자기결정과 SRV의 관계에 대한 인본주의적 고찰 : 연극 텍스트를 중심으로 전선옥, 백은희 pp.107-129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관한 연구 구효진, 강남식 pp.173-189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결정력에 나타난 효과 임은영, 김기주, 김주영, 김자경 pp.21-36

진로탐색집단상담이 정신지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에 미치는 효과 송한나, 강영심 pp.37-57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조인수, 박은희 pp.81-106

가면극을 활용한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이원향, 최성규 pp.131-146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5) 감각통합의 실제, 영문출판사 미소장
2 (2000) 감각통합 Q & A, 정담미디어 미소장
3 (2004) 발달장애학생의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수행능력분석, 미소장
4 (2001)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 비교, 미소장
5 (1999) ADHD의 이해, 민지사 미소장
6 (1998) 유아들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연구, 미소장
7 (2005) 특수교육학개론, 시그마프레스 미소장
8 (200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의 출현율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미소장
9 (1998) 특수교육용어사전, 대구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0 (19871987) 자폐아의 감각통합 기능증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1 (1998) 주의집중 장애의 평가와 교육,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2 (2001) 장애아를 위한 감각통합법, 도서출판 특수교육 미소장
13 (2001) 발달장애의 진단과 평가, 대구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4 (2005) ADHD 유아의 인지, 행동 및 정서적 특성, 미소장
15 (2003) 시각자극 주의력과 청각자극 주의력의 차이를 보이는 산만한 아동의 행동패턴 연구, 미소장
16 (2002)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감각 통합 기능에 관한 비교 연구, 미소장
17 (2003) 영유아기 정신 건강 및 발달 장애 진단 분류, 하나 의학사 미소장
18 (2000)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학지사 미소장
19 (2000) ADHD-SC4를 통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 출현율 조사연구, 미소장
20 (2004)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인지와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미소장
21 (2001)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아동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소장
22 (2003) 무게감있는 조끼가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아동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미소장
23 (2005)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미소장
24 (2002) 학습 장애를 동반한 ADHD와 일반 ADHD아동의 사회·정서적 특성 비교, 미소장
25 (1964)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미소장
26 (1972) Soutbern California Sensory Integration Tests Ma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미소장
27 (1985)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미소장
28 (1989)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미소장
29 (1996)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New York : Guklford Press 미소장
30 (2000) Takin Charge of ADHD, New York: Guilford Pub 미소장
31 (1990) The adolescent outcome of hyperactive children diagnosed by research criteria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미소장
32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A. Davis Co. 미소장
33 (1994) Performance of typical children on the sensory profil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미소장
34 (1997) The impac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n the daily live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 conceptual model, 미소장
35 (1997) The sensory profile: the perforrmance of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미소장
36 (1997) Analysis of ethnic variations in developmental disability prevalence and household economic status, 미소장
37 (1985)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미소장
38 (1995) The Challenging Child, New York: Addison-Wesley 미소장
39 (1996) A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on the Sensory Profile, 미소장
4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sensory profile,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미소장
41 (1971) A disorder of sensori-motor integration, Churchill LIvingstone 미소장
42 Perception. 네이버 미소장
43 (2002) Prevalence of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and school function in singapore, 미소장
44 (1997.01) The Sensory Profile : The Performance of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