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배경 및 목적:

지단백(a)[Lp(a)]는 다른 지질이나 지단백과는 달리 식이 및 운동요법 등의 비약물요법이 농도를 저하시키지 못하며, 니코틴산은 농도를 저하시키나, 다른 지질강하제의 효과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거나 논란이 있다. 특히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게서 피브린산 유도체의 효과를 연구한 보고는 드물며, 이들도 대상자 수가 적고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게 피브린산 유도체를 투여하여 Lp(a)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중성지방 농도가 30 mg/dL 이상이거나, 중성지방 농도가 20 mg/dL 이상이면서 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40 mg/dL 이하인 환자를 대상으로 fenofibrate 20 mg 이나 gemfi-brozil 60 mg을 투여한 피브린산군(n=29)과 약제를 투여하지 않고 식이요법 등의 비약물요법만을 시행한 대조군(n=29)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또한 나이와 성별이 비슷하면서 콜레스테롤 농도가 220 mg/dL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20 mg의 lovastatin이나 10 mg의 atorvastatin을 투여한 스타틴군(n=29)을 다른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투약전과 투약후 2개월에 지질과 지단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치료 전에 피브린산군의 Lp(a) 농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며(10.3±16.4 mg/dL vs 18.5±33.4 mg/dL, p=0.19), 중성지방 농도도 두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35). 2개월 간의 피브린산 유도체의 치료는 Lp(a)의 농도를 10.3±16.4 mg/dL에서 15.1±15.2 mg/dL로 47% 증가시켰으며(p=0.003), 대조군과 스타틴군에서는 치료 전후에 변화가 없었다(각각 p=0.67, p=0.76). 치료 전의 Lp(a) 농도는 중성지방의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36, p=0.001), 치료 후에는 상관관계가 없어졌다(r=-0.21, p=0.055). 치료 전후에 Lp(a) 농도의 절대치 변화는 중성지방 농도의 절대치 변화와 전체 대상(r=-0.35, p=0.001)과 피브린산군(r=-0.46, p=0.013)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중성지방의 농도가 더 많이 감소할수록 Lp(a)의 농도가 더 많이 증가하였다. 중성지방의 농도가 Lp(a)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실험에서는 예측되는 Lp(a) 농도와 측정되는 Lp(a)의 농도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지질 저하제로 흔히 사용되는 피브린산 유도체는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서 혈중 Lp(a)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이는 중성지방 농도의 감소량과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런 현상은 피브린산 유도체가 스타틴과 비교하여 심장질환 예방효과가 적은 것과도 일부 상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竊쉙ther lipids and lipoproteins. Most reports on the efect of fibrate on the Lp (a) level have only a few cases, with in -consistent resul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ibrate on the Lp (a) level in hypertriglyceridemic patients. Subjects and Methods 竊숻atients with either a triglyceride (TG) level over 300 mg/dL or TG level over 200 fibrate (Fibrate group, n=29) or general measures (Control group, n=29). Gender and age matched patients with hyperc-holeste -rolemia were adopted and treated with statin (Statin group, n=29). The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medication for 2 months. Results竊숿he baseline Lp (a) levels were similar betwen the Fibrate and Control groups (p=0. 1 10.3짹 16.4 to 15.1짹 15.2 mg/dL (p=0.003), but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Lp (a) levels in the Statin and Control groups. Before the treatment, the Lp (a) leve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G levels (r=-0.36, p=0.0 1). The relationship became weaker and insignificant after the medication. The more the TG level was decreased, the more the Lp (a) level was increased in al of the cases (r=-0.35, p=0.0 1 13). Conclusion 竊숬ibrate increased the Lp (a) level, and this elevation was a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TG level. This finding might be related with a leser cardio -protective effect of fibrate than that of statin in addition to the effect on the cholesterol leve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동맥 중재시술에서 원위부 색전보호기구의 조기경험 고영국, 박성하, 정재헌, 장양수, 김종윤, 민필기, 최의영, 정보영, 최동훈, 김동익, 심원흠 pp.61-68

Noninvasive Imaging of Atherosclerotic Plaques Using MRI and CT 최연현 pp.1-14

Time-Phasic Development of Nitrate Tolerance According to the Hemodynamic Responses and the Expression of Phosphodiesterase 1A1 김동수, 홍범기, 권성우, 윤영원, 최은영, 권혁문, 김동연, 이성주, 박종관, 김현승 pp.94-99

맥파속도와 Framingham Risk Score 및 SCORE Risk Score와의 관계 김영권, 김동민 pp.22-29

경구용 트롬빈 억제제, LB30057의 돼지의 관동맥 손상모델에서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 유병수, 윤정한, 윤경희, 이상구, 이승환, 김장영, 고지연, 황성오, 최경훈 pp.15-21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서 Lipoprotein(a) 농도에 대한 피브린산 유도체의 효과 김성진, 이경은, 이성호, 정갑성, 이광제, 김태호, 고홍숙, 김치정, 류왕성 pp.30-36

한국인의 혈중 C-Reactive Protein 농도와 혈청 Ferritin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와의 연관성 신헌섭, 성기철, 김병진, 김범수, 강진호, 이만호, 박정로 pp.37-42

한국인에서 갑상선 호르몬은 관동맥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인가? 윤경호, 정명호, 강동구, 김계훈, 임상엽, 이연상, 이상현, 홍서나, 홍영준, 김주한, 안영근, 조정관, 박종춘, 김남호, 오석규, 정진원, 강정채 pp.43-48

흉통 환자에서 미세단백뇨와 관상동맥 병변 및 염증표지자의 관계 강동구, 정명호, 임상엽, 윤경호, 김계훈, 이상현, 이연상, 홍영준, 박형욱, 김주한, 안영근, 김남호, 조정관, 서순팔, 박종춘, 강정채 pp.49-54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에서 Doxazosin GITS 추가요법의 효능과 안전성 신현호 pp.55-60

삽입형 심실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들의 경과 보고 김대혁, 김수영, 김성순, 이우형, 이건희, 안신기, 이문형, 권준, 박금수 pp.69-83

Anomalous Origin of the Left Coronary Artery from the Pulmonary Artery in an Elderly Patient visualized by Three-Dimensiona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 Coronary Angiography 나승운, 문상기, 서홍석, 박창규, 용환석, 서순용, 홍순준, 김진원, 오동주, 노영무 pp.84-87

심근허혈/재관류 손상에서 니코란딜 정주요법의 심근보호 효과 임세중, 홍그루, 문재연, 임진우, 민필기, 서혜선, 정남식 pp.88-93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Mysteries of Lipoprotein(a) 네이버 미소장
2 Diet and drug therapy for lipoprotein (a). 네이버 미소장
3 (1994) The association of the lipoprotein(a)levels with sex and age, 미소장
4 (Lipidol1996) Lipoprotein(a)as an acute phase reactant, 미소장
5 Circulation Online Only: April 25, 2000 네이버 미소장
6 (1993) A prospective studyof lipoprotein(a)and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미소장
7 (1994) Lipoprotein(a)level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미소장
8 (eurjclininvest1994) aspredictor of myocardial infarction in comparison to fibrinogen results from the prospectivegoettingen risk incidence and prevalence study, 미소장
9 (1989) Lack of effect of probucolon serum lipoprotein(a)levels, 미소장
10 (1985) Levels of lipoprotein Lp(a)decline with neomycin andniacin treatment, 미소장
11 (1989) Unchanged serum lipoprotein(a)concentrationswith lovastatin, 미소장
12 (1989) HMG CoA reductase inhibitors lower LDL cholesterolwithout reducing Lp(a)levels, 미소장
13 (1997) Modulation of lipoprotein(a)atherogenicityby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inmiddle-aged men with symptomatic coronary artery diseaseand normal to moderately elevated serum cholesterol, 미소장
14 (Cardiol1997) Effect of fluvastatinon lipids and fibrinolysis in coronary artery disease, 미소장
15 Effect of simvastatin on Lp(a) concentrations. 네이버 미소장
16 (2000) Effect of atorvastatin on hemorheologic-hemostatic parametersand serum fibrinogen levels in hyperlipidemic patients, 미소장
17 (jama2001) Expert Panel on Detection and Treatment of High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Expert on Detection And Treatment of HighBlood Cholesterol In Adults, 미소장
18 Res 네이버 미소장
19 (1994) Treatment of primaryhypercholesterolemia:fluvastatin versus bezafibrate, 미소장
20 Effects of gemfibrozil or simvastatin on apolipoprotein-B-containing lipoproteins, apolipoprotein-CIII and lipoprotein(a) in familial combined hyperlipidaemia. 네이버 미소장
21 (1981) The effectof gemfibrozil on human serum apolipoproteins and on serumreserve cholesterol binding capacity(SRCBC), 미소장
22 (2002) Comparison of theeffects of atorvastatin or fenofibrate on nonlipid biochemicalrisk factors and the LDL particle size in subjects with combinedhyperlipidemia, 미소장
23 (1995) Gemfibroziland Mediterranean diet for patients with high plasmalevels of lipoprotein [Lp(a)] and cholesterol--pilot study, 미소장
24 (1995) Effect of gemfibrozilversus lovastatin on increased serum lipoprotein(a)levels of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미소장
25 (1996) Effect of gemfibrozil onlevels of lipoprotein [a ] in type II hyperlipoproteinemic subjects, 미소장
26 (2000) Effect of micronized fenofibrate on plasma lipoprotein levelsand hemostatic parameters of hypertriglyceridemic patients withlow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the fed andfasted state, 미소장
27 (1994) Gemfibrozil treatment of the high triglyceride-low high-densitylipoprotein cholesterol trait in men with established atherosclerosis, 미소장
28 (2002) Effect of long-term 3-hydroxy 3-methyl glutaryl CoA reductase inhibitor therapy on lipoprotein(a)concentration, 미소장
29 with triglyceriderichlipoproteins of human subjects, 미소장
30 (1998) Cholesterol reduction yields clinical benefit:impact of statintrial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