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자인창의성 향상을 위한 내적 동기 강화 방안 나동훈, 조성근 pp.93-113

초·중등학교 교과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개발 연구 김정선, 박정유, 연혜경 pp.1-36

사이버대학 예체능계열 블렌디드 러닝 활성화를 위한 만족도 조사 연구 : H사이버대학 중심으로 김현주 pp.37-72

정신성으로 본 미술활동 김황기 pp.73-91

'대화' 중심의 미술교육적 소통 구조 연구 박선혜 pp.139-161

미술실기교사교육에 관한 예비교사의 요구조사 박영주, 노용 pp.163-186

右腦 美術프로그램이 兒童의 腦 選好度와 情緖知能에 미치는 效果 백중열 pp.189-219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적 그림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남효인, 이수경 pp.115-137

비판적 사고의 이론과 실제 : 예비 미술교사 교육에의 적용 손지현 pp.221-241

표현활동과 탐구활동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질적 연구 : 인지 중심 유아미술활동의 현상학적 접근 옥영희 pp.275-305

시각문화교육으로서의 영화제작교육의 사례 연구 이선정, 이은적 pp.307-339

공공미술 프로젝트 학습 모형과 프로세스 폴리오(process-folio) 실행을 통한 시각문화교육 : 초등교사교육에의 적용 안혜리 pp.243-273
국내 디자인대학 입시 전형에 관한 연구 이주연 pp.341-383

상상 능력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현아 pp.449-481

한국 표준색이름 체계 개편에 따른 초·중등학교 색채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이주연, 박명원, 고황경 pp.385-448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장상호(1997). 학문과 교육(상),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 위잉스(余英時). (2007). 동양적 가치의 재발견, (김병환 역), 서울: 동아시아. (원저 1989 출판) 미소장
3 Cameron, J. (2007). 아티스트 웨이, (임지호 역), 서울: 경당. (원저 1992 출판). 미소장
4 Capra, F. (1989).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 (이성범, 김용정 역), 서울: 범양사출판부. (원저 1983 출판). 미소장
5 Capra, F. (1996).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이성범, 구윤서 역), 서울: 범양사출판부. (원저 1982 출판). 미소장
6 Capra, F. (1993). 탁월한 지혜: 비범한 인물들과의 대화, (홍동선 역) 서울: 범양사출판부. (원저 1988 출판). 미소장
7 Gadamer, H. G. (2004). 교육은 자기 교육이다, (손승남 역), 서울: 동문선. (원저 2000 출판). 미소장
8 Fromm, E. (2007). 소유냐 존재냐, (차경아 역), 서울: 까치글방. (원저 1976 출판). 미소장
9 Read, H. (2006). 예술을 통한 교육, (황향숙, 김성숙, 김지균, 김향미, 김황기 역), 서울: 학지사. (원저 1943 출판). 미소장
10 Radhakrishnan, S. (2002). 동양종교와 서양사상, (김형준 역), 서울: 무수. (원저 1939 출판). 미소장
11 Schiller, F. (1997).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서한, (최익희 역), 서울: 이진출판사. (원저 1989 출판). 미소장
12 Steiner, R. (2005). 교육의 기초로서의 일반인간학, (김성숙 역), 서울: 물병자리. (원저 1919 출판). 미소장
13 Arnstine, D. (1995). Democracy and the arts of schooling, State University 미소장
14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1998). Learning by heart: The role of emotional education in raising school achievement, London: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미소장
15 Aesthetics as the Foundation of Human Experience 네이버 미소장
16 Dewey, J. (1916). Democracy in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art educatio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미소장
17 Dewey, J. (1980). Art as experience. New York: Capricorn Books, G. P. Putnam's Son. 미소장
18 Fuller, P. (1990). Peter Fuller's journey. Modern Painter, 3(3), pp. 45-49. 미소장
19 Fisher, J. W. (1998). Helps and hindrances to fostering students' spiritual health, Paper presented at the fifth annual conference on education, Spirituality and whole child, 19-20 June, Roehampton Institute London, p. 3. 미소장
20 Garrison, J. W. (1997). Dewey and eros: wisdom and desire in the art of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21 Grof, S. (1998). The cosmic game: Explorations of the frontiers of human consciousnes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미소장
22 Hargreaves, D. (1983). The teaching of art and the art of teaching: towards an alternative view 미소장
23 Lowenfeld, V., Brittain, W., Lambert. A. (1975). Creative and mental growth, New York: Macmillan. 미소장
24 National Curriculum Council, (1993) Spiritual and moral development: A discussion paper, London: NCC. 미소장
25 Plato. (1945). The republic. (Trans.). F. M. Cornford. Oxford. 미소장
26 Prentice, R. (1995). Learning to teach: A conversational exchange, In R. Prentice (Ed.). Teaching art and design. London: Cassell. pp. 10-21. 미소장
27 Spirituality in health and healing 네이버 미소장
28 Taylor, R. (1986). Educating for art: Critical response and development, London: Longman. 미소장
29 Tolstoy, L. (1980). What is art, (Trans.). A Maude, Indianapolis and New York: Bobbs-Merrill Company Inc.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