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새로운 남북관계의 조성과 통일교육의 방향 / 이범웅, 박찬석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8.12.30
수록지명
도덕윤리과교육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제27호 (2008. 12), pp.143-166
자료실
[서울관] 해당자료 없음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4183180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김대중·노무현 정권의 햇볕정책은 진보에 초점을 두고 남북한 관계 변화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한 정책이었다. 이러한 노력도 일정정도 성과를 얻었으나, 우리 사회 내부에서 그에 대한 반대 의견도 많이 늘어났다. 실제로 대북 화해정책이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완화조치를 가져오지 못하였고, 더욱이 북한이 핵실험을 단행하였다. 남한은 교류협력의 지속 이외에 북한의 군사적 강경책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찾지 못하였다. 따라서 북한에게 먼저 주고 나중에 받는다는 소위 ‘ 선공후득’은 퍼주기 논란을 야기하였다. 이후 새로 등장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새로운 것을 만드는 ‘창조’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발전’을 조화시킨 창조적 발전이 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교육도 북한에 대해 전향적으로 보는 것으로만 치중할 수는 없다. 통일교육은 실질적으로 심도 있게 북한을 파악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는 철저한 적대 관계로 북한을 인식하기 위한 반공교육의 복귀가 아니다. 북한의 체제나 교육 운영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포용적’만 인식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협소한 자기 인식을 극복하고 사실에 입각하여 현실적으로 북한과 통일을 바로 보는 통일교육을 개진하여야 할 것이다.

The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 Government and Roh Mu-hyeon Government had a firm view about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ough reconciliations and cooperation were a means of policy in oder to change North Korea, they seemed to be a goal of policy. Our reconciliation policy on North Korea didn't really relieve the military ten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spite of a nuclear test of North Korea, we didn't find out proper measures except for continuat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policy on North Korea of Lee Myung-bak government has to grope for creative development. The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include a deep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f North Kora. Under this presupposition, this paper is to grope for a new course of Unification Educatio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존재-당위의 소통문제로서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의 관계 정립 윤영돈, 김남준 pp.113-14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도덕성 함양을 위한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황인표 pp.25-5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교사의 윤리의식에 관한 고찰 김태훈 pp.1-2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청소년 봉사학습의 문제점과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 정창우 pp.85-11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싱가포르의 다문화 도덕교육 추병완 pp.55-8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위한 반편견 교육방법 연구 정탁준 pp.167-19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새로운 남북관계의 조성과 통일교육의 방향 이범웅, 박찬석 pp.143-16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제 7차 중학교 도덕교과서에 제시된 가정생활예절 관련 내용 분석 강민석 pp.221-24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도덕교육에서 습관의 의미 고미숙 pp.193-22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도덕 교과를 활용한 논술 교육의 타당성 : 환경윤리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문종길 pp.249-27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정식, (2004) 통일지향 교육 페러다임 정립과 추진방안, 미소장
2 김동규, (1999) 북한학 총론, 교육과학사 미소장
3 남남갈등 해소를 위한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 소장
4 김수진, (1992) 주체의 교육론, 학우서방 미소장
5 김세균, (2004) 현대정치의 이해, 인간사랑 미소장
6 김일성, 우르과이 3월 26일 운동 대표단과 한 담화,김일성 저작집44, 미소장
7 國家競爭力과 安保 소장
8 김학성, (2000)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의 비교, 통일연구원 미소장
9 노중선, (1995) 통일 운동의 회고와 발전 방향, 한겨레신문사 편, 한반도 통일 국가의 체제 구성, 한겨레신문사 미소장
10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5) 공공 갈등관리의 이론과 기법 상, 하, 논형 미소장
11 마이클 에드워드, (2005) 시민사회 이론과 역사 그리고 대안적 재구성, 황금알 미소장
12 문용린, (1993) 통일 지향적 가치체계 형성방안 모색,”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통일한국의 삶의 양식과 가치체계의 탐색, 태신인쇄공업사 미소장
13 민족21, (2005) 월호-2006.3월호, 미소장
14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8) 통일시대, 미소장
15 박용헌, (1997) 우리의 이념·가치 성향의 정치교육, 교육과학사 미소장
16 박종철, (2008) 대북포용정책과 상생공영정책의 비교: 도전과 전략적 선택, 통일연구원 건국60주년 기념 통일 심포지엄,2008.7.17 미소장
17 박찬석, (2001) 남남갈등, 대립으로 끝날 것인가, 인간사랑 미소장
18 배정호, (2002) 남북한 실질적 통합과 주변국 협력 유도 방안, 통일연구원 미소장
19 변용권, (2000) 남북한 도덕과 교육의 통합에 관한 연구, 미소장
20 서재진, (2004) 세계체제이론으로 본 북한의 미래, 황금알 미소장
21 와다 하루끼, (2002) 북조선, 돌벼개 미소장
22 유팔무, (1994) 시민사회의 성장과 시민운동, 한울 미소장
23 윤종혁, (2002) 남북한 실질적 통합단계의 교육통합 방안 연구, 통일연구원 미소장
24 이교덕, (2007) 남북한 사회문화 협력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미소장
25 이범웅, (2007) 통일시대의 북한학, 양서원 미소장
26 정상돈·김용철·이장희·전효관, (2002) 통일교육의 다원화와 제도개선 방안, 오름 미소장
27 조민, (2008) 한반도 통일프로세스와 통일비전-통일 왜 지금 말하는가, 평화재단 심포지움,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미소장
28 통일교육원, (2008) 북한이해, 미소장
29 통일교육원, (2008) 2008 통일교육지침서, 미소장
30 차우규, (2000) 남북한 초·중등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통합 방안 연구, 미소장
31 최진욱, (2008) 이명박 정부의 통일정책 발전방향 : 바람직한 통일정책 거버넌스의 모색, 한국 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 세계지역학회 주최 2008건국 60주년 기념 공동학술회의, 속초 마레몬스 호텔 미소장
32 한만길 외, (1999) 통일교육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개발원과제 연구 미소장
33 한만길, (2001) 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천, 교육과학사 미소장
34 한만길, (2003) 통일교육의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통일연구원 협동연구총서 03-05, 통일연구원 협동연구총서 03-05 미소장
35 Amitai Etzioni, (1993) The spirit of community, A touchstone book 미소장
36 Corning, Peter A., (1995) Synergy and Self-Organization in the Evolutionof Complex System, System Research 미소장
37 Hicks, David, (1993) 평화교육의 이론과 실천Education for Peace, 서원 미소장
38 COLLECTIVE SECURITY, COMMON SECURITY AND ALTERNATIVE SECURITY: A CONCEPTUAL COMPARISON 네이버 미소장
39 Roberts, Adams, (1973) The Strategy of Civilian Defence : Non-Violent Resistence to Aggression, Faber and Faber 미소장
40 Wagner, Halmut, (1995) Lesson of Unification: The German Way and Its Korean Perception, Myoung-Kyu Kang & Helmut Wagner(eds.), Germany and Korea: Lessons in Unification, Seoul National Univ. Pres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