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Current art education is losing its uniqueness in ways. The problem evolves from non-artistic views and approaches in art education. To address this issue, non-artistic view and approaches in both general art education and art making has been raised.

Non-artistic elements raised in general art education are threefold: the perspective which doesn't consider the meaning of to be as matter, the attitude which focuses on philosophy of art education, and approach which relies on language too much.

Non-artistic elements raised in art making are also threefold: the attitude which tries to control, to be decision makers, the attitude which teaches techniques and rules, the attitude which values on product rather than process.

The more art education become intelligent, the less art education become vital. This is not at all say that dexterity, knowledge, and taste are unnecessary components of art that does move u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mple and clear. Art education should recover its uniqueness in general field and in art making To do this is establishing scholarly basic principles of art education and surviving of art education in formal educ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PBL 기반 어린이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 한방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강인애, 민진아 pp.1-31

전통회화 교육을 위한 평담천진(平淡天眞)사상의 고찰 김선영, 김선아, 김병종, 김성희 pp.33-52

임상미술치료가 다문화가족 폭력 피해여성의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선현, 최순주, 류경희 pp.53-78

교과와 미술 통합 수업에서의 예술적 특성 김정선, 박남정, 박정유, 연혜경, 이은영 pp.79-111

점토를 이용한 소조활동이 시각장애학생의 자기표현력 및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완, 이숙정 pp.113-138

미술교육에 나타나는 비예술적 경향 고찰 김황기 pp.139-154

시각문화교육의 구현을 위한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 노용 pp.155-202

인터랙티브 아트의 존재 방식에 관한 연구 박숙영 pp.203-229

명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적 그림 표현에 미치는 효과 이수경 pp.231-257

잭슨 폴록(J. Pollock)의 '드리핑(dripping)'회화 읽기 : 정신분석학의 '퇴행(regression)' 이미지 정수덕 pp.259-283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인간과 예술 소장
2 조광제(2006). 철학 예술을 읽다, 서울: 동녘. 미소장
3 Franck, F. (1984a). 마음의 눈 마음의 그림: 눈으로 하는 선(禪)에 대하여, (이병기 역), 서울: 선일문화사. (원저: 1979 출판). 미소장
4 Franck, F. (1984b). 열린 눈 열린 마음, (류시화 역), 서울: 선일문화사. (원저: 1979 출판). 미소장
5 Franck, F. (1984c). 죽기 전에 이 세상을: 화가가 알려주는 이 세상 비밀 이야기, (류시화 역), 서울: 선일문화사. (원저: 1979 출판). 미소장
6 Matisse, H. (1995). 20세기 미술의 발견(v.2), (마순자, 이돈수 역), 서울: 예경. (원저: 1987 출판). 미소장
7 May, R. (1999). 창조와 용기, (안병무 역), 서울: 범우사. (원저: 1975 출판). 미소장
8 Parsons, M. & Blocker, H. G. (1998). 미학과 미술교육, (김광명 역), 서울: 현대 미학사. (원저: 1993 출판). 미소장
9 Polanyi, M. (1992). 지적 자유와 의미, (김하자.정승교 역), 서울: 범양사. (원저: 1977 출판). 미소장
10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2007). 생각의 기원, (박종성 역), 서울: 에코의 서재. (원저: 1999 출판). 미소장
11 Tatarkiewicz, W. (1991). 예술개념의 역사: 테크네에서 아방가르드까지, (김채현 역), 서울: 열화당. (원저: 1980 출판). 미소장
12 Zeki, S. (2003). 뇌로 보는 그림 뇌로 그리는 그림, (박창범 역) 서울: 시공사. (원저: 1999 출판). 미소장
13 Cassou, M. & Cubley, S. (1995). Life, paint and passion: Reclaiming the magic of spontaneous expression. New York: Putnam's Sons. 미소장
14 Collingwood, G. (1958). The principle of ar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5 Damasio, A. R. (1994). Descartes's error: Emotion, reason, and the human brain: New York: Putnam's Sons. 미소장
16 Dewey, J. (1980). Art as experience. New York: A Perigee Book. 미소장
17 Eliot, Y. S. (1944). The four quarters. London: Faber and Faber 미소장
18 Field, J. (1950). On not being able to paint, New York: Putnam's Sons. 미소장
19 Gabo, N. (1959). Of divers art. The A. W. Mellon lectures in the fine arts, National Gallery of art in Washington. New York: Panteon Books. 미소장
20 Gardner, H. (1993). Creating minds: An anatomy of creativity.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21 Langer, E. (2005). On becoming an artist: Renewing yourself through mindful creativity. New York: Random House. 미소장
22 London, P. (1989). No more secondhand art: Awakening the greatest artist within. Massachusetts: Shambhala. 미소장
23 Nachmanovitch, S. (1990). Free play: Improvisation in life and art. New York: Penguin Putnam.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