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북한 헌법 개정의 특징과 의미 김일기 pp.105-125

일본 하토야마 총리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 : 한계와 전망 김유은 pp.3-27

미·중 관계 변화 연구 : 전략대화를 중심으로 정미영 pp.29-48

2009년 북한 개정헌법의 정치적 함의 : 내용과 특징을 중심으로 김수민 pp.49-73

관타나모 수감자에 대한 법적 고찰 오미영 pp.127-147

코스타리카 비무장 영세중립 정책 연구 김진호, 김순임 pp.149-168

유엔을 통한 여성정책의 지구화에 관한 연구 조희원, 장재남 pp.169-190

중국 소수민족 정책에 대한 SWOT분석 전일욱 pp.191-214

천황의 기원과 한국 야노 다카요시 pp.215-233

러시아 민주변혁의 진로 우준모 pp.235-256

The Illusions of Hegemony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ennis Florig pp.257-274

북한 개발 모델의 성공조건에 관한 시론 : 개성공단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김영근 pp.75-104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호섭, “민주당 집권과 새로운 일본,” 한국 국회입법조사처개청 2주년 기념 세미나 발표논문집(2009.11.3). 미소장
2 양기호, “일본민주당의외교적선택: 미일동맹에서동아시아외교로,” http://knsi.org/~knsiorg/knsi/kor/center/list.php?m=9&c=1 (검색일: 2009.9.30). 미소장
3 민주당 정권의 장래 소장
4 天児慧, 安全保障から見た亡國の東アジア共同体論『ワセダ アジアレビ―』, no. 3 (2007). 미소장
5 伊藤憲一․田中明彦編,『東アジア共同体と日本の針路』, 東京: 日本放送出版協会, 2005. 미소장
6 経済同友会, “東アジア共同体実現に向けての提言: 東アジア諸国との信頼醸成 をめざして,” (2006 年3月), www.doyukai.or.jp/policyproposals/articles/2005/pdf/060329.pdf (검색일: 2008.9.20). 미소장
7 小原雅博,『東アジア共同体: 强大化する中国と日本の戦略』, 東京: 日本経済新聞社, 2005 미소장
8 白井早由里, “アジアの通貨․金融協力,” 上川孝夫․ 藤田誠一․ 向寿一編,『現代国際金融論』第3版, 東京: 有斐閣, 2007. 미소장
9 進藤榮一,『東アジア共同体をどうつくるか』, 東京: 筑摩書房, 2007. 미소장
10 谷口誠,『東アジア共同体: 経済統合のゆくえと日本』. 東京: 岩波書店, 2004. 미소장
11 中川八洋,『亡國の東アジア共同体』, 東京: 北星堂書店, 2007. 미소장
12 鳩山一郎訳,『自由と人生』, 東京: 乾元社, 1953. 미소장
13 鳩山由紀夫, “私の政治哲學,” Voice (2009년9월호). http://voiceplus-php.jp/archive/detail.jsp?id=197 (검색일: 2009.9.20). 미소장
14 鳩山由紀夫, “나의 정치철학,” http://www.hatoyama.gr.jp/indy_frame.html (검색일:2009.9.20). 미소장
15 毎日新聞社, “鳩山首相:アジア政策講演(要旨),” http://mainichi.jp/select/seiji/news/20091116ddm012010091000c.html (검색일: 2009. 11. 16) 미소장
16 山本和也, “鳩山政権の東アジア共同体構想:意味と展望,” 한국 국회입법조사처개청2주년기념세미나발표논문집, 2009.11. 미소장
17 吉野文雄,『東アジア共同体は本当に必要なのかー日本の進むべき道を経済の視点から明らかにする』, 東京: 北星堂書店, 2006. 미소장
18 吉野文雄,『ASEANとAPEC-東アジアの経済統合』, 東京: 鳳書房, 2007. 미소장
19 渡辺利夫編,『日本の東アジア戦略: 共同体への期待と不安』, 東京: 東洋経済新聞社, 2005. 미소장
20 和田春樹,『東北アジア共同の家: 新地域主義宣言』, 東京: 平凡社, 2003. 미소장
21 Coudenhove-Kalergi, Count Richard N. The Totalitarian State against Man, Sir Andew McFadyean, trans., London: F. Muller, 1938. 미소장
22 Iizuka, Kwiko, "Three Keys to Understanding Japan's New Diplomacy," http://www.brookings.edu/opinions/2009/1016_japan_iizuka.aspx (검색일: 2009.10.20). 미소장
23 Hatoyama, Yukio, “A New Path for Japan,” ttp://www.nytimes.com/2009/09/27/opinion/27iht-edhatoyama.html? (검색일: 2009.9.3). 미소장
24 Kawai, Masahiro, "East Asian economic regionalism: progress and challenge," Journal of Asian Economics. vol. 16, no. 1 (2001). 미소장
25 Lincoln, Edward J, East Asian Economic Regionalism, New York: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4. 미소장
26 McNicoll, Geoffrey, “Demographic future of East Asian regional integration,” in T. J. Pempel (eds.), Remapping of Asia,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4. 미소장
27 Nagy, Stephen Robert, "Migration and the potential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East Asia: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state integration policies in Japan and Korea," Asian Regional Integration Review, vol. 1 (2009). 미소장
28 Japanese and American Perspectives on East Asian Regionalism 네이버 미소장
29 Wirth, Christian, “China, Japan, and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the views of ‘self’ and ‘other’ from Beijing and Tokyo,” International Relations of Asia-Pacific, vol. 9, no. 3 (2009). 미소장
30 https://client.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1008016015 (검색일: 009.10.20). 미소장
31 http://mainichi.jp/select/today/news/20091114k0000m010099000c.html (검색일:2009.11.14). 미소장
32 http://mainichi.jp/select/seiji/news/20091116ddm012010091000c.html (검색일:2009.11.16). 미소장
33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articleid=20091116082754985h3&linkid=4&newssetid=1352 (검색일: 2009.11.16). 미소장
34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11/17/0200000000AKR20091117004500071.HTML (검색일: 2009.11.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