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표준 화법 개정을 위한 가정에서의 호칭어.지칭어 조사 연구 / 김지연 ; 심영택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대상과 방법 2

3. 자료의 분석과 해석 3

3.1. 남녀 공통 문항 3

3.2. 여성 응답 문항 7

1.3. 남성 응답 문항 16

4. 결론 및 논의 23

4.1. '표준 화법 해설'과의 비교 23

4.2. 세대 간 호칭어·지칭어의 특징 비교 25

4.3. 남녀 간 호칭어·지칭어의 특징 비교 27

참고 문헌 28

국문초록 29

Abstract 3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화법 교수의 유효성과 미래적 가치 모색 박인기 pp.9-30

보기
대인 화법의 교수·학습 방법 모색 권순희 pp.31-61

보기
대중 의사소통의 특성과 교육 방법 이도영 pp.63-94

보기
말하기 불안 해소의 교수-학습 방법 전은주 pp.95-124

보기
표준 화법 개정을 위한 가정에서의 호칭어.지칭어 조사 연구 김지연, 심영택 pp.125-154

보기
권력간격지수에 의한 완화화법의 공진화 노형남 pp.155-194

보기
'표준 화법'의 개정을 위한 직장, 사회에서의 호칭·지칭어 사용 실태 분석 민병곤, 박재현 pp.199-226

보기
인사말의 '표준 화법' 실태 조사 연구 박창균, 임칠성 pp.227-258

보기
증권 상담 대화에서의 증권 투자자 발화의 표현 연구 손승민 pp.259-280

보기
표준화법 규정 제정과 교육 방안 연구 : 표준화법 인식과 교육 및 홍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창덕, 나은미 pp.281-307

보기
상담(商談)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연구 장영희 pp.309-338

보기
대학 교양 국어용 화법 교재의 분석과 개선 방안 최석재 pp.339-364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오늘날의 언어 현실과 표준 화법의 중요성 소장
2 김규원(2002), 대중매체를 이용한 호칭어․지칭어 교육 방법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3 국립국어연구원 편(1992), 표준 화법 해설, 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4 현행 표준 화법의 미비점 소장
5 표준 화법의 요건과 보급 방안 소장
6 노은희(2009), 국어 교육에서 ‘표준 화법’ 관련 내용의 수용 방향, 제20회 한국화법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한국화법학회. 미소장
7 국어 호칭어 체계 수립을 위한 사적 고찰 소장
8 왕한석 외(2005), 한국 사회의 호칭어, 역락. 미소장
9 통신 언어의 표준 화법 소장
10 이창덕 외(2000), 삶과 화법, 박이정. 미소장
11 이창덕 외(2009), 표준 화법 개선 및 보완을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미소장
12 임칠성(2009), 남북 화법 표준화를 위한 한 모색, 제20회 한국화법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한국화법학회. 미소장
13 표준 화법의 문제와 개선 방향 소장
14 전영우(2004), 언어예절과 인간관계, 역락. 미소장
15 전영우(2009), 표준 화법의 문제와 개선 방향, 제20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집, 한국화법학회. 미소장
16 전은주(2009), 호칭어․지칭어의 ‘표준 화법’ 실태와 개선 방안, 제20회 전국학술대회 발표집, 한국화법학회. 미소장
17 조선일보사․국립국어연구원 엮음(1991), 우리말의 예절-화법의 실제와 표준, 조선일보사. 미소장
18 조선일보사․국립국어연구원 편(1996), 우리말의 예절(증보판)-상/하, 조선일보사. 미소장
19 조항범(2009),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 말이 인격이다, 예담.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