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은 근대의 여행 체험이 보여주는 활동사진 ‘관람성’에 대한 것이다. ‘관람성’이란 시각의 주체와 시각 경험의 집단적 공적 구성 및 조직과 관련된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본고는 1920~30년대 근대 조선의 기행문들을 들여다보았다. 특히 이 시기의 기행문에서 발견되는 활동사진의 수사적 쓰임이나 이를 연상시키는 다양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거의 동시기에 근대 조선 땅에 등장한 기차를 위시한 교통수단과 활동사진이라는 신매체는 그동안의 시공간에 대한 감각과 인식을 바꿔 놓으면서 새로운 시각체계를 만들어내었다. 많은 것들을 볼거리(spectacle)로 돌려놓으면서 대중들을 구경꾼(spectator)으로 만들어 놓았다. 특히 기행문에서 보이는 기차 여행의 시각적 체험은 활동사진 관람 행위와 적잖이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는데, 본고는 이를, 객차를 경계로 한 시선의 주체와 대상의 분리, 유리창에 의한 시계(視界)의 규정과 ‘화면화’, 기차의 속도와 방향에 의한 장면의 전개와 편집, 시각적 착란을 통한 외부 사물의 움직임과 동영상 이미지, 그리고 이에서 발생하는 이야기의 연상과 구성 등의 부문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이것은 이를테면 풍경의 장면화, 여행 체험의 '관람화'라고 요약할 수 있을 텐데, 실제 이 시기 기행문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활동사진의 수사적 쓰임들은 이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근대에 들어 여행자의 눈은 외부의 풍경을 영화의 관객처럼 관람하기 시작하였고, 활동사진의 관람 체험은 근대 여행의 체험 속으로 연장 혹은 그것과 연계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pectatorship’ of travelling in early modern korean. Specially this thesis is focus on 1920~30's travel writings. So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motion picture and the travelling of that times. In early modern korean, motion picture and travelling both were not only a new mechanical technology itself, but also a modern symbol which introduces civilization and transmits
enlightenment. It is interesting fact that the figures of motion picture had been appeared in many travel writings of early modern korea. The experience of motion picture and travel had changed the sense of sight. That made the drift of viewpoint and the observation from many directions possible. And that had reorganized the sensibility and had extended the cognitions of modern korean. Especially early modern travelling is like as motion picture in it's capacity or role. The analogous figures of motion picture appeared frequently in early modern korean travel writings demonstrate that fact. The sight of traveler is similar to that of motion picture spectator, and the land-scape is to scene of movie. To sum up, the experience seeing motion picture had expanded the experience travelling in early modern.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이상 소설의 사회성과 서사 구성 원리 : 반복 강박과 모방 충동을 중심으로 | 김정관 | pp.45-73 |
|
|
한국 현대소설사상 연구. 1, 박경리의『김약국의 딸들』과 샤머니즘 | 한점돌 | pp.5-24 |
|
|
손창섭의『인간교실』론 | 공종구 | pp.25-43 |
|
|
이인칭 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 이미란 | pp.75-92 |
|
|
'탐정', '기괴' 개념을 통해 본 한국 탐정소설의 형성 과정 | 김지영 | pp.93-125 |
|
|
이기영 농민소설에 나타난 쌀의 표상과 국가 | 윤영옥 | pp.127-162 |
|
|
김남천 소설 속의 '누이' 표상 : '소년 주인공 계열' 소설을 중심으로 | 정명중 | pp.163-189 |
|
|
공간 이동을 통해 본 월남인의 인생행로 : 이범선의『흰 까마귀의 手記』를 중심으로 | 변화영 | pp.191-211 |
|
|
김승옥 소설의 60년대적 특징에 대한 고찰 | 유홍주 | pp.213-229 |
|
|
경계넘기의 서사적 재현 : 국경을 가로지르는 여성의 서사 : 『바리데기』,『리나』,『찔레꽃』 | 문재원 | pp.231-255 |
|
|
『겨울 골짜기』의 개작 양상 고찰 | 박찬모 | pp.257-285 |
|
|
김연수 소설에 나타나는 소통의 욕망과 글쓰기의 윤리 | 정연희 | pp.287-307 |
|
|
문학 교육을 위한 백신애 소설세계의 인지론적 연구 | 김원희 | pp.309-328 |
|
|
근대 여행과 활동사진 체험의 '관람성' 연구 : 1920~30년대 기행문 속 활동사진의 비유적 쓰임을 중심으로 | 김중철 | pp.329-356 |
|
|
파성 설창수의 전인문학관 고찰 | 유경아 | pp.357-379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白岳, 고향의 길, 창조 2호, 1919. 3 | 미소장 |
2 | 江南賣畵廊, 上海로부터 金陵까지, 개벽 6호. 1920. 12 | 미소장 |
3 | 白桓陽氏, 漢拏山巡禮記(續), 불교 75호, 1930. 9 | 미소장 |
4 | 민태원, 백두산행, 동아일보, 1921. 8. 21 | 미소장 |
5 | 박승철, 독일가는 길에 1」,『개벽 21호, 1922. 3 | 미소장 |
6 | 춘파, 妙香山으로부터 다시 國境千里, 개벽 39호, 1923. 9 | 미소장 |
7 | 茄子峯人, 淸秋의 旅, 江華行, 개벽 17호, 1921. 11 | 미소장 |
8 | 趙靈出, 慶州巡禮記, 불교 106호, 1933. 4 | 미소장 |
9 | 차상찬, 우리의 足跡―京城에서 咸陽까지, 개벽 34호, 1923. 4 | 미소장 |
10 | KELENS, 서백리아의 침대차, 로맨틱한 그 일야, 삼천리 4권 7호, 1932. 5 | 미소장 |
11 | 月灘, 靑山白雲帖(二)」,『삼천리』7권9호, 1935. 10 | 미소장 |
12 | 최영수, 호남의 靈域다도해를 찾아서, 호남평론 2권 3·4호, 1936. 4 | 미소장 |
13 | 최영수, 그림책 끼고 나서 北으로 千里길!―漁村婦女의 生活을 엿보며, 신가정, 1934. 8 | 미소장 |
14 | 박승철, 그림을 보는 듯 싶은 북유럽의 풍경」,『개벽』44호, 1924. 2 | 미소장 |
15 | 김일엽, 용강 온천행, 불교, 1931. 1 | 미소장 |
16 | 김성칠, 제주도기행, 인문평론 2권 8호, 1940. 8 | 미소장 |
17 | 김준연, 여행잡감, 학지광 19호, 1920. 1 | 미소장 |
18 | 김원벽, 만주여행기, 신생활 9호, 1922 | 미소장 |
19 | 김 엽, 江戶에서 洞庭湖까지, 창조 3호, 1919. 12 | 미소장 |
20 | 이태준, 龍潭이야기, 신동아, 1932. 9 | 미소장 |
21 | 波影生, 스크린의 위안, 별건곤 4권 6호, 1929. 10 | 미소장 |
22 | 황성신문 | 미소장 |
23 | 곽승미, 식민지 시대 여행 문화의 향유 실태와 서사적 수용 양상, 대중서사연구』15집, 대중서사학회, 2006. 6 | 미소장 |
24 | 2, 곽한주 외, 영상의 이해, 동아방송예술대학 출판부, 2009 | 미소장 |
25 | 국사편찬위원회 편, 여행과 관광으로 본 근대, 두산동아, 2008 | 미소장 |
26 | 기 드보르, 이경숙 역, 스펙터클의 사회, 현실문화연구, 1996 | 미소장 |
27 | 김소영, 시네마, 테크노문화의 푸른 꽃』, 열화당, 1996 | 미소장 |
28 | A Study on the figure of motion picture in travel writings of early modern korea | 소장 |
29 | 김태수, 꼿가치 피어 매혹케 하라, 황소자리, 2005 | 미소장 |
30 | Kim Ki-rim's Cinematic Writing and the Physiognomy of Civilization | 소장 |
31 | issue of the "seeing" subject of jeong jiyong's early poetry and its gaze ![]() |
미소장 |
32 | 다이앤 애커먼, 백영미 역, 감각의 박물관, 작가정신, 2009 | 미소장 |
33 | 데이비드 보드웰․크리스틴 톰슨, 주진숙․이용관 역, 영화예술, 이론과실천, 1997. | 미소장 |
34 | 민태원 외, 이지누 편, 잃어버린 풍경 2, 호미, 2005 | 미소장 |
35 | 바네사 슈와르츠, 노명우․박성일 역, 구경꾼의 탄생, 마티, 2006. | 미소장 |
36 | 박성수, 영화․이미지․이론, 문화과학사, 1999. | 미소장 |
37 | 박성수, 들뢰즈, 이룸, 2004. | 미소장 |
38 | 박제철, 영화 관람성의 무의식과 주체에 관한 정신분석적 연구, 중앙대대학원 석사논문, 2003. | 미소장 |
39 | 박천홍, 매혹의 질주, 근대의 횡단, 산처럼, 2003. | 미소장 |
40 | 볼프강 쉬벨부쉬, 박진희 역, 철도 여행의 역사, 궁리, 2002. | 미소장 |
41 | 서경석․우미영 편, 신여성, 길 위에서 서다, 호미, 2007. | 미소장 |
42 | 신명직, 모던뽀이, 京城을 거닐다, 현실문화연구, 2003. | 미소장 |
43 | 안종화, 한국영화측면비사, 현대미학사, 1998 | 미소장 |
44 | 여선정, 무성영화시대 식민도시 서울의 영화관람성 연구, 중앙대대학원 석사논문, 1999. | 미소장 |
45 | 영화진흥위원회 교재편찬위원회, 영화 읽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미소장 |
46 | 오몽 외, 강한섭 역, 영화학, 어떻게 할 것인가, 열린책들, 1992. | 미소장 |
47 | 요아힘 패히, 임정택 역, 영화와 문학에 대하여, 민음사, 1997. | 미소장 |
48 | 유선영 외,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한국언론재단, 2007. | 미소장 |
49 | 유현목, 한국영화발달사, 책누리, 1997. | 미소장 |
50 | 안창남 외, 이지누 편, 잃어버린 풍경 1, 호미, 2005. | 미소장 |
51 | 이동원, 기행문학연구, 연세대대학원 석사논문, 2002. | 미소장 |
52 | 이순진, 활동사진의 시대(1903-1919), 조선의 영화 관객성에 대한 연구, 대중서사연구 16집, 대중서사학회, 2006. 12. | 미소장 |
53 | 이승원, 근대전환기 기행문에 나타난 세계인식의 변화 연구, 인천대대학원 박사논문, 2007. | 미소장 |
54 |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 미소장 |
55 |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푸른숲, 2002. | 미소장 |
56 | 잉마뉘엘 툴레, 김희균 역, 영화의 탄생, 시공사, 2001. | 미소장 |
57 | 조나단 크래리, 임동근․오성훈 외 역, 관찰자의 기술, 문화과학사, 2001. | 미소장 |
58 | 조희문, 초창기 한국영화사 연구―영화의 전래와 수용(1896-1923), 중앙대 대학원 박사논문, 1992. | 미소장 |
59 | 존 버거, 편집부 역, 이미지, 동문선, 2002. | 미소장 |
60 | 주디스 메인, 강수영․류제홍 역, 사적 소설/공적 영화, 시각과 언어, 1994. | 미소장 |
61 |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2003. | 미소장 |
62 | 피종호 외, 디지털 미디어와 예술의 확장, 아카넷, 2006. | 미소장 |
63 | 함종호, 시, 영화, 이미지, 로크미디어, 2008. | 미소장 |
64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