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conceptualizing the concept of art, art education and art curriculum focusing on intrinsic value of them.
The principle of what is doing art is three-folded. First, art is the act of play. Second, art is the way of over-come of the self. and Third, art is the method for unity of art and life.
The principle of what is doing art education is two-folded. First, art education is not teaching something but learning something. Second, leaning art is not accumulating knowledge but exploring and discovering knowledge.
The principle of what is planning art curriculum is three-folded. First, art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meaning and diversity of life. Second, art curriculum consider not the concept of the result or outcome but the concept of the processing(currere). and Third, art curriculum start from not mechanics and economics but from humanities and art.
The creative life and art is not the separation of them, but the unity of them. Art must be not the stuffed concept come from logical text but the live life itself. Art is the unique educational work which allows individual difference and diversity.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생태교육의 한 학습개념으로서 "물"의 교육적 적용 연구 : 미술-과학 교과 연계수업 중심으로 | 김경순 | pp.31-60 |
|
|
미술대학의 인문교양교육 강화 교과과정의 연구 : 미국 미술대학 교육과정 사례 | 고은실 | pp.1-29 |
|
|
미술교육 공간 개념의 재탐색 : 듀이의 미학에 기초하여 | 박라미, 김하나 | pp.115-141 |
|
|
새터민청소년을 위한 미술과 교육과정 연구 | 김현주 | pp.61-94 | ||
미술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탐색 | 김황기 | pp.95-114 |
|
|
조선시대 문인화에 표현된 월색(月色)의 상징적 의미 연구 | 이주원, 김선아, 김선영 | pp.143-163 |
|
|
미대입시에서 입학사정관제 활성화를 위한 미술 활동 사례 분석 | 이진희, 김종백 | pp.165-190 |
|
|
시각예술을 통한 '심미적 유아교사' 되기 | 임부연, 류미향 | pp.191-212 |
|
|
미술교사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해석학적 탐구 | 정옥희 | pp.213-232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Nietzsche und die Kunstbildung | 소장 |
2 | 김홍진(2006). 교육과정 패러다임 이동과 대학 예술교육, 조형예술교육, 15, pp. 143-150. | 미소장 |
3 | A Study of Art Education for Being | 소장 |
4 | 박연호, 조선전기 사대부 교양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 미소장 |
5 | 장상호(1986) 교육학의 비본질성, 교육이론 1(1), pp. 5-53. | 미소장 |
6 | 장상호(1990) 교육의 정체혼미와 교육학의 과제, 교육이론 5(1), pp. 21-64. | 미소장 |
7 | 장상호(1997) 교육의 재개념화에 따른 10가지 새로운 탐구영역, 교육원리연구 2(1), pp. 112-213. | 미소장 |
8 | 정재걸(2010). 오래된 미래교육, 서울: 살림터. | 미소장 |
9 | 정혜진(2007). 호모크레아토: 예술가의 조건, 서울: 미진사. | 미소장 |
10 | Broomfield, J. (2002). 지식의 다른 길, (박영준 역), 서울: 양문. (원저1997출판). | 미소장 |
11 | Freire, P. (2002). 페다고지, (남경태 역), 서울: 그린비. (원저2000출판). | 미소장 |
12 | Fromm, E. (1987). 선과 정신 분석, (김용정 역), 서울: 정음사. (원저1970출판). | 미소장 |
13 | Gadamer, H. G. (2004). 교육은 자기교육이다, (손승남 역), 서울: 동문선. (원저2000출판). | 미소장 |
14 | Heidegger, M. (1993). 사유란 무엇인가, (권순홍 역), 서울: 고려원. (원저1953출판). | 미소장 |
15 | Langer, E. (2008). 예술가가 되려면, (이모영 역), 서울: 학지사. (원저2005출판). | 미소장 |
16 | May, R. (1999). 창조와 용기, (안병무 역), 서울: 범우사. (원저1975출판). | 미소장 |
17 |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2007). 생각의 탄생, (박종성 역), 서울: 에코의서재. (원저1999출판). | 미소장 |
18 | The Spiral and The Lattice: Changes in Cognitive Learning Theory with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 |
미소장 |
19 | Gelman, R., & Brenneman, L. (1994). First principles and support both universal and culture-specific learning about number and music. In L. A. Hirchfeld & S. A. Gelman(Eds.) Mapping the mind: domain specificity in cognition and culture(pp. 369-39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0 | Langer, S. (1980). Philosophy in a new key(3rd. ed.). Cambridge, Massachusetts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1 | Lemos, N. (1994). Intrinsic value: Concept and warra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2 | Levy, P. (2001). Cyberculture. (Trans. by R. Bononno).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미소장 |
23 | Piner, W. F. (1980). Life history and educational experience. Journal of Curriculum Theorizing. 2(2), pp. 159-212. | 미소장 |
24 | Schneider, B. (1987). Tracing the province of teacher education. In T. S. Pokewitz(Ed.). Critical studies in teacher education, New York: The Palmer Press. pp. 211-241. | 미소장 |
25 | Simmel, G. (1990). The philosophy of money,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26 | Walton, J. (1974). A confusion of contexts: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education. Educational Theory, 24. pp. 219-22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