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hool-life adjustment and social development on motivation in little-league Baseball participants. Study participants(N=313 little-league Baseball play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SPMQ, Jung, 2011), school adjustment(SAQ, Jung, 2011), and sociality development(SDQ, Park, 2011).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s revealed that health and self-development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teacher’s relation and school regulations. In the friendship relations, friendship and free-time activities were important predictors, and the school class was affected by health and self-development motivation. Also, happy-family life, free-time activities, health, and friendship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school activities adjustment. In addition, health, friendship, self-development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the nature of action and leadership in the sociality development. The stability was affected by friendship and self-development. In the social relation of sociality development, happy-family life, free-time activities, and friendship were important predictors, and the nature of self-regulation was affected by health and self-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little-league Baseball club are influence of school-life adjustment and sociality development in youth.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프로농구 심판들의 오심경험에 관한 윤리적 해석연구 김동현, 이광호, 류상호 pp.33-44

U-리그참가 대학축구 선수들의 심판인식에 관한 연구 최태호, 이광호 pp.11-24

Maximizing Volunte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Providing Leisure Experience in Kindergarten Settings 김영심 pp.25-31

교양체육수업 수강생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몰입, 수업만족도 및 타인추천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김승용, 이계석 pp.45-56

씨름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신뢰 및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상행, 오방균 pp.57-67

웰빙사회를 위한 신국가주의 체육으로서의 생활체육의 가치 장재용, 권오륜 pp.69-78

축구가 군조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범주분석 김진성, 이창섭, 황성하 pp.79-88

스포츠 중계 해설자 특성인식이 시청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원희, 성낙훈, 손대로 pp.91-101

The Influence of Identification on Pre-volunteers' Behavior Intention in a Mega Sporting Event 김매이 pp.103-113

태권도장의 지역사회 공헌활동이 공중관계성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창규 pp.115-126

스포츠센터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직무소진의 관계 김용수 pp.127-144

마리나항만 건설과 저수지특별법 시행에 따른 수상레저스포츠 발전 방안 정문현 pp.145-156

골프장의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및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최희연, 이신언 pp.157-169

국제 스포츠 이벤트의 문화 관광 연계 발전 전략 : 홍콩 럭비 세븐즈 사례 김진희, 지현진, 도재우 pp.185-197

프로야구 구단의 마케팅 믹스요인이 관람 만족, 팀 충성도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근수, 하재필, 하제현 pp.199-211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 대회 개최에 따른 도시브랜드 구성요인이 도시브랜드 개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준희 pp.213-227

사회체육 현장을 위한 이론적 접근 방향 채재성 pp.229-236

골프연습장 지도자들의 직업의식이 심리적 소유감과 조직 책임감 및 직무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 조현익 pp.237-249

웹사이트 마케팅믹스와 대학생의 브랜드인식, 브랜드태도 간의 PLS 경로모형 분석 : 스포츠 제품 구매자를 중심으로 조태수 pp.251-264

프로야구 관중의 경험적 소비와 소비감정, 고객만족, 신뢰, 팀태도 및 재관람의도와의 관계 이정은, 김용만 pp.265-280

태권도품새선수의 도복 선택속성이 소비자태도, 품질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학, 이숙경 pp.281-292

해양스포츠 활동의 지각된 위험요인과 참여의도 관계에 관한 연구 : 정보탐색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선호, 조태수 pp.171-184

골프용품 브랜드의 글로벌성이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명성의 매개 효과 및 글로벌 소비자문화 수용성의 조절효과 한진욱, 박성진, 김민수 pp.293-303

청소년의 아웃도어스포츠 브랜드 추구혜택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권일권, 김지태, 김영준 pp.305-315

비인기종목 스폰서십에 따른 이벤트-스폰서일치성과 스폰서공신력, 스폰서동기, 스폰서-이벤트 태도의 관계분석 정명수, 강동완 pp.317-330

스키리프트 대기시간에 대한 수용가능성과 부정적 감정이 지각된 서비스품질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준원, 박재환 pp.331-343

한국전통 무용공연 외국인관람객의 공연만족과 한국이미지 및 관람 후 행동의 관계 국승희, 안찬우 pp.345-356

프로야구 입장권 가격에 대한 가격탄력성 연구 조규정 pp.357-367

통합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이 감정반응 및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춘종, 박상수, 황종문 pp.773-782

한국 통합체육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박상수, 김경숙 pp.763-772

프로배구 관람객의 관전요인을 통한 척도개발 설민신, 박두용, 최현주 pp.369-381

전북지역 노인 여가스포츠정책 현황과 비교연구 최웅재, 박기주, 최덕환 pp.749-760

프로야구 구단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자의 지식공유의도와 만족, 지속사용의도 및 관람의도와의 관계 이제욱, 박성제 pp.383-395

노인의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호주 노인 비교분석 김미숙, 김선정 pp.739-748

지역 체육·스포츠시설 이용자의 서비스 기대 및 성과 탐색 정상원 pp.397-412

리틀야구 참여동기가 학교생활 적응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노준, 최만식 pp.723-735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무용이미지, 관여도, 관람의도, 참여의도의 인과관계 이윤정, 서희정 pp.709-721

프로스포츠구단의 고객관계관리가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영열, 강현민 pp.413-426

대학생들의 스쿠바다이빙 학습활동의 신체적·교육적 만족, 쾌락적 즐거움 및 스포츠 애호도의 구조적 관계 김성문 pp.699-708

유소년 아이스하키 스포츠클럽 발전을 위한 문제점 고찰 강기희, 오근희 pp.687-698

외모자각이 스포츠의류 소비성향 및 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이현우, 유재구 pp.427-440

축구활동을 통해 느끼는 청소년들의 카타르시스 경험 이해 위현주, 장재용, 김재원, 여민지, 권오륜 pp.675-686

골프연습장이 제공하는 SERVQUAL이 서비스 질과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문선호, 조태수 pp.441-454

학생선수의 학습태도 및 학습능력 제고 방안 권순용, 김종호, 조욱연, 임승엽 pp.663-674

Antecedents of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Recreational Sport Program 박세혁 pp.653-662

국립공원 관리원들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기능에 관한 연구 박장근, 유영규 pp.457-466

프로그램화 된 신체운동이 ADHD 아동의 주의산만행동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재원, 강경두, 정혜연 pp.637-650

요가운동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이동성운동과 신체유연성,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나승희 pp.629-635

대학축구동아리활동 참여가 생활만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웅재, 최장호 pp.467-477

대학 교양 골프수업에 대한 주관적 운동경험이 운동지속의도 및 타인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수행, 추종호 pp.617-626

생활무용수업의 재미거리와 걱정거리 요인 탐색 이진희, 이진효 pp.603-616

투어프로골퍼들의 심리적 특성이 투어생활만족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신동민, 이종근, 강경술 pp.479-488

스노보드 참가자들의 문화적 특성 이창섭, 김진성 pp.591-601

생활체육 참가자의 완벽주의 성향이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조현익, 윤태영 pp.489-501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목표성향과 자기결정성 동기와의 관계 김현남, 박현정 pp.577-589

수상레저스포츠 참여자의 감각추구성향과 몰입경험 및 운동정서의 관계 함도웅 pp.565-576

중년기 신체활동 참여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생활만족 및 건강증진생활양식의 관계 김덕중 pp.503-518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 참여와 가족 기능의 관계 권민혁 pp.519-526

지역사회 운동시설의 분포 및 건강인식과 신체활동 참여간의 관계 : 일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손윤선, 이대택 pp.551-564

골프 운동 참가자의 대인관계 특성, 운동중독, 심리적 행복감의 인과관계 지준철 pp.527-537

고등학교 태권도 지도자의 멘토링에 따른 선수만족과 운동몰입 박장규, 양춘호 pp.539-550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재강(2009). 초등학교 아동의 방과 후 운동참여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port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3 김범(2006). 초등학생의 수영 참가동기가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상철(2001). 청소년들의 스포츠 참가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수연(2008). 성인 여성의 휘트니스 클럽 참여동기와 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남승우, 김태일, 장종오(2010). 초등학교 태권도 특기적성교육의 참여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지, 19(3), 755-765. 미소장
7 도미경(2000).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가와 교사-학생간 인간관계 및 학습태도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류동훈(1998).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The Influence of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Self-fulfillment of Youth 소장
10 박세진(2011). 초등학생 과외체육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박우영(2007). 초등학생의 체육 특기 적성 교육 참여동기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박정현(2000).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백창흠(2005). 중등학생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심인숙, 표내숙, 정상훈(2009).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13(3), 569-584. 미소장
15 원용호(2004).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학교학습태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이명운(2010). 방과 후 신체활동 참여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관한 연구. 상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이철화(1995). 도시 기혼여성의 스포츠활동 참여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8 전욱(2011). 야구저변확대를 위한 리틀야구 활성화 방안.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정범모(1971). 인성검사법 요강. 서울:K.T.C. 미소장
20 정철훈(2011).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동기와 학교생활 적응.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천효정(2006). 초등학교 축구클럽 활동이 인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최종욱(2005). 청소년 스포츠참여 동기에 따른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최진아(2010). 규칙적인 체육프로그램 참여가 유아의 기초운동기능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4 하지원(1993). 아동의 스포츠참가 경험과 사회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한철규(2011). 태권도 수련 참여동기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6 한태룡(1998). 청소년의 스포츠 참가와 사회성 발달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황용준(2003). 청소년의 스포츠동아리 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871-880. 미소장
28 Brustad, R. J. (1998). Developmental considerations in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measurement. In J. L. Duda (Ed.), Advances in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Measurement (461-470). Morgantown, WV: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미소장
29 DeKnop, P., Engströom, L. M., Skirstad, B., & Weiss, M. R. (Eds.). (1996). Worldwide Trends in Youth Sport. Human Kinetics, Champaign, IL. 미소장
30 Ewing, M. E., & Seefeldt, V. (1998). Participation and Attribution Patterns in American Agency-sponsored and Interscholastic Sports: An Executive Summary. East Lansing, MI: Institute for the Study of Youth Sports. 미소장
31 21세기 유소년 스포츠의 심리학적 접근 소장
32 Sport Psychology in the 1980s: Status, Direction, and Challenge in Youth Sports Research1 네이버 미소장
33 Huck, S. W. (2004). Reading Statistics and Research (4th ed.). Boston, MA: Pearson. 미소장
34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