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羅獻容의 <卽墨大夫封石鄕侯石君墓碣銘>를 대상으로 假傳 문학의 전개방식을 원용하고 있는 擬人文學的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고 그 문학사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羅獻容(1851∼1925)의 蕙田集 권5에 수록된 <中書門下同平章事管城侯毛君墓誌銘>, <卽墨大夫封石鄕侯石君墓碣銘>, <陳玄傳>, <楮先生傳>은 각각 붓, 벼루, 먹, 종이 순으로 문방사우 전체를 墓誌銘, 墓碣銘, 假傳 양식 안에 담아 擬人文學의 영역을 확대해 놓은 주목되는 문학유산이라 할 수 있다.

<卽墨大夫封石鄕侯石君墓碣銘>은 假傳의 관습적인 형식을 답습하지 않고, 벼루를 擬人化한 묘갈명 형식을 원용하고 있는 유일한 작품인 점에서 조선 후기 의인문학사에 있어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假傳의 효시격인 한유의 毛潁傳은 물론, 文嵩의 <文嵩四侯傳>을 규범으로 삼고 있으면서도, 소재의 취사선택과 활용 면에 있어서 일면 창의적인 형식과 내용을 더하여 이를 계승 발전시킨 면에서 문학사적 가치가 적지 않다.

우선 주인공을 소개함에 있어서 일면 일대기적 사건 구성과 결부시켜 世系나 官爵 이외에 개인의 성품과 위인 됨, 수신과 처세를 부각시키는 데에 주력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작자의 도덕적 가치관의 추구와 의인화된 대상의 덕성과 성품에 대한 칭송을 중심으로 한 일화의 나열식 서술에 있어서 비교적 유기적인 구성으로 짜여 있음을 보여준다. 의인 묘갈명을 활용한 유교 이념의 글쓰기 방식을 수용하면서도 儒者로서 학업과 덕행에 힘쓰고 修身과 處世에 관련된 교훈적인 勸戒 지향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심오한 함축적 의미를 내포한 寓意的인 수법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적절한 인용 고사와 용어 선택 및 소재의 취용에 이르기까지, 불필요한 고사성어의 남용을 절제하고 최소화하는 가운데, 이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점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본고는 벼루를 소재로 한 의인 墓碣銘 형식의 작품을 학계에 처음 소개하여 문방사우 소재 擬人文學의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suit of this thesis on Na Hunyong's is to try to consider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impersonation literature applying the manner of developing Gajeon literature, looking into it's values in literary history.

NaHunyong's Hyejeonjip, volume5 contains , , , , which are noteworthy literal assets for expanding the realm of impersonation literature representing respectively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a wring brush, an ink stone, an ink stick, paper) through Myojimyoung, Myogalmoung and Gajeon style.

is personifying an ink stone which didn't imitate customary style, Gajeon, and broadened the area of impersonation literature, and so it has not-negligible literary values.

Modeling after not only Hanyu's , a pioneer of Gajeon, but Moonseung's , it succeeded and developed them through adding creative form and substance in a sense of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a subject matter. And so it has not a little literary value.

Na Hunyong accepted a writing method based on the Confucianism ideology, while he got full mileage out of allegorical method containing profound connotative meanings to express effectively the aim of warning related moral trainings and the arts of life striving after hardworking studies and moral conduct as a Confucianist

This work is highly appreciated in that he restrained and minimized unnecessary fables and phrases from proper alluded historical events to diction and borrowing of material, making full use of these systematically.

This article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troduces for the first time a work of a style of the personification Myogalmyoung which is based on the inkstone of material into the literary world, trying to expand the study range of a personification literature dealing with munbangsau(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金華寺夢遊錄> 국문본의 유통 양상과 수용 층위 김정녀 pp.7-64

안축과 정지용, 역사 전환기 대응 비교 신영명 pp.137-159

<장현전> 이본 연구 : 양승민본과 김광순본을 중심으로 소인호, 정대혁 pp.65-95

逸士傳을 통해 본 19세기 지식인의 시대인식 이찬욱, 심호남 pp.161-188

羅獻容의 벼루 소재 墓碣銘의 擬人化 양상과 의미 연구 유기옥 pp.189-221

활자본 고전소설의 유형에 대한 연구 최호석 pp.223-251

조선 후기 단군에 대한 기억의 변화와 그 所因 하윤섭 pp.253-286

해방/패전 이후 한일(韓日) 귀환자의 서사와 기억의 정치학 김경연 pp.289-330

근대초 조선가요 채보와 저작권 문제 : 이상준 제소사건을 중심으로 신경숙 pp.97-135

沈連洙 시의식 연구 김낙현, 권성호 pp.331-362

『한성신보』소재 야담계 기사(記事)의 서술 시각과 인물 형상 김찬기 pp.363-386

이육사 시「절정」의 비극적 실존 의식과 저항성 연구 류순태 pp.387-418

『만선일보』소재 동시 연구 박경수 pp.419-462

순응과 탈주 사이의 청년, 좌절의 에피그램 : 청년세대 소재 소설을 중심으로 오혜진 pp.463-488

통일신라 담론과 仙敎의 재발견 홍기돈 pp.519-542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돈' 황태묵 pp.543-573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증언의 소명과 구원'에 관한 연구 조회경 pp.489-517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具滋武編, 『韓國文房諸友詩文譜』(上 中 下), 보경문화사, 1994. 미소장
2 羅獻容, 『蕙田集』,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1937. 以文社(대전). 미소장
3 이덕무, 『청장관전서』 Ⅹ, 제61권 앙엽기 8, 민족문화추진회 국역본. 미소장
4 장영 외, 『淵鑑類函』 권205, 문학부 13, 14. 미소장
5 축목, 『事文類聚』, 문방사우부, 서광학술자료사, 1985. 미소장
6 『欽定四庫全書』 제843책, 蘇易簡, 『文房四譜』 권1, 대만 상무인서관 발행. 미소장
7 林沔浩의 <陳玄傳>에 대하여 소장
8 권호, 「묘지명의 문학성에 대한 일 시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1989. 미소장
9 김형호, 「다산 자찬묘지명 연구」, 성균관대 동아시아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1. 미소장
10 김창룡, 『가전을 읽는 방식』, 제이엔씨, 2006. 미소장
11 김창룡, 『고전명작 비교 읽기-한중가전』, 한성대학교출판부, 2009. 미소장
12 김창룡, 『우화의 뒷풍경-가전독법』, 박문사, 2010. 미소장
13 김창룡, 「한성리의 관성자전 고」, 『한성어문집』 제29집, 2010. 미소장
14 김창룡, 『문방열전-중국편』, 지식과 교양, 2012. 미소장
15 남종진, 「한유의 묘지명류 문장 연구」,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1. 미소장
16 박세라, 「고산유고의 비명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미소장
17 백미나, 「고려시대 묘지명과 열전의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18 存齋 朴允默의 假傳 硏究 소장
19 유기옥, 「문방사우의 문학적 변용-문숭사후전 평석을 중심으로」, 최태영외, 『한국어문논학논고』, 태학사, 1996. 미소장
20 文房四友系 假傳文學의 變移樣相과 意味 : 墨硯과 硯滴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소장
21 安曄의 文房四友傳 硏究 소장
22 韓·中 文房四友系 假傳의 文學的 變容樣相과 意味 : 붓과 종이를 소재로 한 작품을 중심으로 소장
23 Research on "Sauyeoljeon" written by Shin Heung-won 소장
24 유기옥, 「연적의 문학적 변용」, 『인문사회과학논총』 제1권, 우석대학교, 1998. 미소장
25 漢詩文에 受容된 벼루의 樣相과 意味 소장
26 벼루 소재 銘에 受容된 儒家的 處世의 指標와 意味 소장
27 羅獻容의 <中書門下同平章事管城侯毛君墓誌銘> 연구 소장
28 濯纓 金馹孫의 「管處士墓誌銘」에 대하여 소장
29 탁영의 관처사묘지명 소고 네이버 미소장